유라시아 국가의 권위주의와 경제발전: 민주화와 경제성장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Authoritarianism and Economic Development in Eurasian Countries: Focused on the Relations between Democracy and Growth
국제지역연구 |
14 |
2 |
2010 |
지역학
유라시아 국가의 권위주의와 경제발전: 민주화와 경제성장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Authoritarianism and Economic Development in Eurasian Countries: Focused on the Relations between Democracy and Growth
국제지역연구 |
14 |
2 |
2010 |
지역학
동북아 개발협력:북한의 인식과 법제적 대응
Northeast Asian Development Cooperation: North Korea’s Perceptions and Legislative Responses
통일정책연구 |
19 |
2 |
2010 |
정치외교학
동북아 개발협력:북한의 인식과 법제적 대응
Northeast Asian Development Cooperation: North Korea’s Perceptions and Legislative Responses
통일정책연구 |
19 |
2 |
2010 |
정치외교학
경제연구(1986-1999)로 바라본 북한의 경제개혁에 대한 고찰
The analysis of North Korea’s economy reform: focused on th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1986-1999)
북한학연구 |
6 |
2 |
2010 |
북한
경제연구(1986-1999)로 바라본 북한의 경제개혁에 대한 고찰
The analysis of North Korea’s economy reform: focused on th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1986-1999)
북한학연구 |
6 |
2 |
2010 |
북한
체제전환 이후 폴란드 여성문제와 여성운동
Women’s movement in Poland since system transition
국제정치논총 |
51 |
3 |
2011 |
정치외교학
북한 사회복지 연구 동향
The Research Trends of Social Welfare of North Korea
사회복지연구 |
42 |
3 |
2011 |
사회복지학
북한의 범죄행태 연구에 대한 이론적 검토: 사회통제이론과 합리적 범죄선택이론을 중심으로
The Theoretical Review about the Analysis of North Korea's Criminal Behaviour: Focused on the Social-Control Theory and Ration Crime Choice Theory
한국동북아논총 |
17 |
2 |
2012 |
사회과학일반
우즈베키스탄의 ‘경제성장 역설’에 대한 고찰: 초기조건, 체제전환전략, 경제실적
Paradox of Economic Growth in Uzbekistan: Initial Conditions, Transition Strategy, and Economic Performance
비교경제연구 |
17 |
1 |
2010 |
경제학
우즈베키스탄의 ‘경제성장 역설’에 대한 고찰: 초기조건, 체제전환전략, 경제실적
Paradox of Economic Growth in Uzbekistan: Initial Conditions, Transition Strategy, and Economic Performance
비교경제연구 |
17 |
1 |
2010 |
경제학
독일의 통일과정에서 복지국가의 역할
The Role of the Welfare State in the Process of Reunification of Germany
경상논총 |
29 |
3 |
2011 |
경제학
러시아 자본주의 이행과정 속의 러시아마피야 현상: 부패를 중심으로
The Phenomenon of ‘Russian Mafiya’ in the Process of Russian Capitalism: Focusing on Corruption
한국동북아논총 |
15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러시아 자본주의 이행과정 속의 러시아마피야 현상: 부패를 중심으로
The Phenomenon of ‘Russian Mafiya’ in the Process of Russian Capitalism: Focusing on Corruption
한국동북아논총 |
15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러시아 체제전환: 민주화 이행과정에서의 시민사회의 역할과 한계
Переходный период России: роль гражданского общества в процессе демократизации
슬라브학보 |
27 |
1 |
2012 |
러시아어와문학
몽골의 수출입구조 분석과 무역정책 혁신 방안
An Analysis of Trade Structure in Mongolia and Renovation of Trade Policy
몽골학 |
28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몽골의 수출입구조 분석과 무역정책 혁신 방안
An Analysis of Trade Structure in Mongolia and Renovation of Trade Policy
몽골학 |
|
28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체제전환국 경제개혁‧개방정책의 특성과 효과: 라오스(Lao PDR)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 of policies for economic reform and liberalization in transitional county: A case of study on the Lao PDR
민주주의와 인권 |
11 |
3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김정은 체제 북한 사회의 과제와 변화 전망
The Problems and the Potential for Change in North Korean Society under the Kim Jong-un Regime
통일정책연구 |
21 |
1 |
2012 |
정치외교학
북한 체제 변화와 ‘청년동맹’: 동유럽 사례와 비교
North Korea's regime transformation and 'Youth League': comparing with the cases of Eastern European countries
평화학연구 |
11 |
1 |
2010 |
정치외교학
북한 체제 변화와 ‘청년동맹’: 동유럽 사례와 비교
North Korea's regime transformation and 'Youth League': comparing with the cases of Eastern European countries
평화학연구 |
11 |
1 |
2010 |
정치외교학
중동부유럽에서의 두 가지 체제전환(體制轉換)
The Two Transition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유라시아연구 |
7 |
3 |
2010 |
기타사회과학
중동부유럽에서의 두 가지 체제전환(體制轉換)
The Two Transition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유라시아연구 |
7 |
3 |
2010 |
기타사회과학
소련 및 동구 사회주의 체제전환과 북한 급변사태의 비교 고찰 : 정권 붕괴 유형 및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of System Change in Soviet Union and Eastern Europe, and Sudden Change in North Korea : At Type and Scenario of Regime Collapse
신아세아 |
17 |
3 |
2010 |
정치외교학
소련 및 동구 사회주의 체제전환과 북한 급변사태의 비교 고찰 : 정권 붕괴 유형 및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of System Change in Soviet Union and Eastern Europe, and Sudden Change in North Korea : At Type and Scenario of Regime Collapse
신아세아 |
17 |
3 |
2010 |
정치외교학
북한의 체제전환과 남북통합을 위한 법・제도 구축 - 시나리오 기법을 중심으로 -
Establishment of Laws and Systems for Regime Transition in North Korea and Integration of Two Koreas - Using Scenario Planning -
법학논총 |
25 |
1 |
2012 |
기타법학
타지키스탄의 경제체제 전환의 성과와 문제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Outcome and Problems of Economic Transition in Tajikistan
세계지역연구논총 |
29 |
1 |
2011 |
정치외교학
베트남 도이머이 정책의 북한적용 가능성: 체제전환의 관점에서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Doi Moi Policy to North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Economic Transition
국제통상연구 |
16 |
4 |
2011 |
무역학
체제전환과 헌법재판소 -헝가리와 남아공의 경험-
Regime Change and Constitutional Court: Experiences of Hungary and of South Africa
홍익법학 |
11 |
2 |
2010 |
법학
체제전환과 헌법재판소 -헝가리와 남아공의 경험-
Regime Change and Constitutional Court: Experiences of Hungary and of South Africa
홍익법학 |
11 |
2 |
2010 |
법학
체제전환 과정에서 사회안정을 고려한 부동산 제도의 도입원칙
Principles of Real Estate System in the Area of Transformation from the Aspect of Social Stability
부동산연구 |
21 |
2 |
2011 |
토지/부동산/주택/농지법
통일 이후 구동독 공업도시들의 도시특성과 도시성장에 관한 연구: 라이프찌히와 할레를 중심으로
A Study on Urban Characteristics and Urban Growth of the Cities in the Former GDR After German Unification: In the Case of Leipzig and Halle
통일정책연구 |
19 |
2 |
2010 |
정치외교학
통일 이후 구동독 공업도시들의 도시특성과 도시성장에 관한 연구: 라이프찌히와 할레를 중심으로
A Study on Urban Characteristics and Urban Growth of the Cities in the Former GDR After German Unification: In the Case of Leipzig and Halle
통일정책연구 |
19 |
2 |
2010 |
정치외교학
강성대국 건설, 체제전환을 위한 체제개혁의 시도인가? 체제유지를 위한 또 다른 이데올로기인가? - 선군정치를 중심으로 -
Strong and Prosperous State Building of North Korea, The Attempt of ‘System Reform’ for System transformation? or a Ideology for System Maintenance?
시민사회와 NGO |
10 |
1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체제전환 이후 러시아의 국가 지배력:수준과 변화요인
State Control Power in Russia after System Transformation:Level and Variation Factor
중소연구 |
35 |
4 |
2012 |
사회과학
사회주의 체제전환과 북한 급변사태 - 이론, 변수, 사례의 도출 및 대비를 중심으로
중소연구 |
34 |
2 |
2010 |
사회과학
사회주의 체제전환과 북한 급변사태 - 이론, 변수, 사례의 도출 및 대비를 중심으로
중소연구 |
34 |
2 |
2010 |
사회과학
김정일 정권의 체제전환 과정: 지속과 한계
대한정치학회보 |
18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김정일 정권의 체제전환 과정: 지속과 한계
대한정치학회보 |
18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단절과 연속(Megszakíttoság és folyamatosság) -체제전환시기(1989-1990) 이전과 이후의 헝가리 역사서술 방식의 변화-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Changes in the Form of Narration in Historiography Before and After Hungary’s Political Transformation to Democracy
서양사론 |
111 |
2011 |
역사학
체제 전환에서의 도덕적 한계와 새로운 상상력
Moral Limit and A New Imagination in Regime Transformation
신학연구 |
48 |
2 |
2011 |
기독교신학
러시아의 체제전환과 의료보장개혁
Transition to Market Economy and Health Care Reform in Russian Federation
사회보장연구 |
26 |
1 |
2010 |
사회복지학
러시아의 체제전환과 의료보장개혁
Transition to Market Economy and Health Care Reform in Russian Federation
사회보장연구 |
26 |
1 |
2010 |
사회복지학
통독 20년 구동독 지역 노동시장정책의 성과와 교훈
The results and lessons of labor market policy in the East German area for 20 years since unification
한독사회과학논총 |
21 |
3 |
2011 |
지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