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 미군

연구분야 : B020300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한국정치

클래스 : 기관/조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9883

STNet ID : 9009720

한자 : 駐韓美軍
영어 : United States Forces Korea

A02 기관/조직

대상

대한민국 (大韓民國)

관련제도/법률

한미상호방위조약 (韓美相互防衛條約)

목적_t1

한반도 전쟁억지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주한 미 지상군 [ 駐韓美地上軍 ]

UF (비우선어)

두문자어

 

USFK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2-01 행정/공공기관 행정/공공기관

주둔 미군 [ 駐屯美軍 ]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a02-01 행정/공공기관 행정/공공기관

미국 군사 [ 美國軍隊 ]

N2:부분

hasMember (구성원)

 

 

주한 미군 사령관 [ 駐韓美軍司令官 ]

R1:개념적

RT (관련어)

 

C02 심리 심리

반미 여론 [ 反美輿論 ]

RT (관련어)

 

b01-04 위법행위 위법행위

북한 테러 () [ 北韓-- ]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근대 관광 (한국) [ 近代觀光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미군 재배치 () [ 美軍再配置 ]

RT (관련어)

 

x03-06-01 통합/결합/제휴 통합/결합/제휴

다자간 협의체 [ 多者間協議體 ]

RT (관련어)

 

a02-01 행정/공공기관 행정/공공기관

주일 미군 () [ 駐日美軍 ]

6·25전쟁 이후 북한 대남도발 현황과 과제 -연대별·집권정부별 사례를 중심으로-

North Korea's Terrorism and Provocations after the Korean War against the ROK and Its Countermeasures

군사 | 75 | 2010 | 역사학

6·25전쟁 이후 북한 대남도발 현황과 과제 -연대별·집권정부별 사례를 중심으로-

North Korea's Terrorism and Provocations after the Korean War against the ROK and Its Countermeasures

군사 | | 75 | 2010 | 역사학

6·25전쟁 이후 북한 대남도발 현황과 과제 -연대별·집권정부별 사례를 중심으로-

North Korea's Terrorism and Provocations after the Korean War against the ROK and Its Countermeasures

군사 | 75 | 2010 | 역사학

6·25전쟁 이후 북한 대남도발 현황과 과제 -연대별·집권정부별 사례를 중심으로-

North Korea's Terrorism and Provocations after the Korean War against the ROK and Its Countermeasures

군사 | | 75 | 2010 | 역사학

박정희와 1970년대의 한미동맹

President Park Chung-hee and the ROK-US Alliance in the 1970s

군사 | 75 | 2010 | 역사학

박정희와 1970년대의 한미동맹

President Park Chung-hee and the ROK-US Alliance in the 1970s

군사 | | 75 | 2010 | 역사학

6・25전쟁 60주년과 한미동맹의 미래

The 6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 and Future of the ROK-US Alliance

국방정책연구 | 26 | 1 | 2010 | 정책학

6・25전쟁 60주년과 한미동맹의 미래

The 6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 and Future of the ROK-US Alliance

국방정책연구 | 26 | 1 | 2010 | 정책학

6・25전쟁 60주년과 한미동맹의 미래

The 6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 and Future of the ROK-US Alliance

국방정책연구 | 26 | 1 | 2010 | 정책학

6・25전쟁 60주년과 한미동맹의 미래

The 6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 and Future of the ROK-US Alliance

국방정책연구 | 26 | 1 | 2010 | 정책학

북미관계와 한반도 평화체제: 역사적 고찰

North Korean-US Relations and the Peace System of the Korean Peninsula: A Historical Inquiry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3 | 2 | 2012 | 정치외교학

박정희와 1970년대의 한미동맹

President Park Chung-hee and the ROK-US Alliance in the 1970s

군사 | 75 | 2010 | 역사학

박정희와 1970년대의 한미동맹

President Park Chung-hee and the ROK-US Alliance in the 1970s

군사 | | 75 | 2010 | 역사학

Impact of the Peace Regime Building on Security in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한미동맹 파급 영향

국제관계연구 | 15 | 1 | 2010 | 정치외교학

Impact of the Peace Regime Building on Security in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한미동맹 파급 영향

국제관계연구 | 15 | 1 | 2010 | 정치외교학

창군 초기 한국군 여단 편제의 성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 of the structure of Brigades of the South Korean Army

사림 | 35 | 2010 | 역사학

창군 초기 한국군 여단 편제의 성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 of the structure of Brigades of the South Korean Army

사림 | | 35 | 2010 | 역사학

역사적 관점에서 본 한국인의 대미인식의 원천

Sources of Korean Perceptions of the United States: Historical Perspectives

역사교육논집 | 44 | 2010 | 역사학

역사적 관점에서 본 한국인의 대미인식의 원천

Sources of Korean Perceptions of the United States: Historical Perspectives

역사교육논집 | | 44 | 2010 | 역사학

기지촌 혼종 가족의 초상 —『유령 형의 기억』

The Portrait of Hybrid Family of Kijichon-Memories of My Ghost Brother

현대영미소설 | 18 | 3 | 2011 | 영어와문학

한반도 평화협정에 대한 중국 담론

Chinese perspectives on shaping of Korean peace treaty

Oughtopia (오토피아) | 26 | 3 | 2011 | 기타정치외교학

Impact of the Peace Regime Building on Security in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한미동맹 파급 영향

국제관계연구 | 15 | 1 | 2010 | 정치외교학

Impact of the Peace Regime Building on Security in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한미동맹 파급 영향

국제관계연구 | 15 | 1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의 안보딜레마와 한미동맹의 가치

Korea’s Security Dilemma and the Value of the ROK-US Alliance

통일전략 | 12 | 3 | 2012 | 북한정치/통일

카터 행정부의 북한 군사력 재평가: 주한미지상군 철수중지 결정과정

Re-evaluation of North Korean Military Capability and Carter’s Decision Shift

신아세아 | 18 | 4 | 2011 | 정치외교학

카터 행정부의 북한 군사력 재평가: 주한미지상군 철수중지 결정과정

Re-evaluation of North Korean Military Capability and Carter’s Decision Shift

신아세아 | 18 | 4 | 2011 | 정치외교학

주한미군과 평택지역 재배치에 대한 고찰 :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과 과제

An Analysis of the USFK and Its Relocation to Pyeongtaek Region: Establishment and Tasks of the Cooperative Governance

평화학연구 | 12 | 4 | 2011 | 정치외교학

주한미군과 평택지역 재배치에 대한 고찰 :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과 과제

An Analysis of the USFK and Its Relocation to Pyeongtaek Region: Establishment and Tasks of the Cooperative Governance

평화학연구 | 12 | 4 | 2011 | 정치외교학

주한미군의 가치 추정: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대체비용 추정

The Value Estimation of the United States Armed Forces in Korea

국방연구 | 54 | 2 | 2011 | 정책학

주한미군이전에 따른 동두천시 지원특별법제정을 위한 법정책적 당위성에 관한 검토

The Validity of Special Support Legislation concerning USFK Base Relocation from Dongducheon City - A Review from a Legal Policy Perspective -

법과정책연구 | 12 | 3 | 2012 | 법학

주한미군이전에 따른 동두천시 지원특별법제정을 위한 법정책적 당위성에 관한 검토

The Validity of Special Support Legislation concerning USFK Base Relocation from Dongducheon City - A Review from a Legal Policy Perspective -

법과정책연구 | 12 | 3 | 2012 | 법학

주한미군의 가치 추정: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대체비용 추정

The Value Estimation of the United States Armed Forces in Korea

국방연구 | 54 | 2 | 2011 | 정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