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의 종교문화와 평화공동체전망
A Prospect of Peace Community with a focus on East-Asian Religious Culture
윤리연구 |
1 |
83 |
2011 |
학제간연구
독일 통일 20년의 정치경제 ― 비판적 평가와 시사점
Critical Review on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Twenty Year German Unification
21세기정치학회보 |
21 |
1 |
2011 |
정치외교학
포스트 김정일 시대 중국의 변화와 한중관계
Study for Changes of Age in Post Kim, Jong-Il and South Korea-China Relations
대한정치학회보 |
19 |
3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북한급변사태와 중국의 군사개입 전망
Possibility of Cataclysm in North Korea and Probability of China's Military Intervention
국가전략 |
16 |
1 |
2010 |
정치외교학
북한급변사태와 중국의 군사개입 전망
Possibility of Cataclysm in North Korea and Probability of China's Military Intervention
국가전략 |
16 |
1 |
2010 |
정치외교학
제2장 도산 안창호의 평화사상과 한반도통일
The Study for the Peace Thought of Ahn, Chang Ho and Korean Unification
통일전략 |
11 |
4 |
2011 |
북한정치/통일
조선반도 평화 안정을 위한 중국의 역할과 전망
Roles of China for Korean Peninsular Peace
북한학보 |
35 |
1 |
2010 |
북한
조선반도 평화 안정을 위한 중국의 역할과 전망
Roles of China for Korean Peninsular Peace
북한학보 |
35 |
1 |
2010 |
북한
한반도 통일을 위한 남북협력 -6.15이후 협력과 갈등을 중심으로-
The Cooper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for Korea Unification
북한학연구 |
6 |
1 |
2010 |
북한
한반도 통일을 위한 남북협력 -6.15이후 협력과 갈등을 중심으로-
The Cooper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for Korea Unification
북한학연구 |
6 |
1 |
2010 |
북한
Deutsche Einheit als ein Muster- und Gegenbild für die koreanische Wiedervereinigung
한반도 통일의 모범이자 반면교사로서의 독일통일
독어독문학 |
52 |
4 |
2011 |
독일어와문학
탈냉전 이후 한반도 문제에 대한 한국 대외정책의 '주도적 위상'과 그 가능성
South Korea's Foreign Policy toward Korean Issues: The Feasibility for Independent Variable and Its Limits
한국과 국제정치 |
27 |
4 |
2011 |
정치외교학
다문화시대 한반도 통일ㆍ통합의 가치 및 정책방향: '상호문화주의' 시각과 교훈을 중심으로
Interculturalism for Unification and Social Integr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Multicultural Times
국제관계연구 |
17 |
1 |
2012 |
정치외교학
한일기본조약과 북한 문제: 유일합법성 조항과 그 현재적 함의
Korea-Japan Basic Treaty and North Korea Problem: the Only Lawfulness Provision and it's Implications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1 |
2 |
2010 |
정치외교학
한일기본조약과 북한 문제: 유일합법성 조항과 그 현재적 함의
Korea-Japan Basic Treaty and North Korea Problem: the Only Lawfulness Provision and it's Implications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1 |
2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 다문화 사회에서 한반도 통일의 가치 정립의 토대에 대한 연구 -문화 개념과 정서 개념의 다문화적 접근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the Foundation of Establishing the Value of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Muliticultural Society of Korea -focused on a possibility of the mulitucultural conception of culture and emotion
윤리연구 |
1 |
80 |
2011 |
학제간연구
패권국가로 변화하는 중국과 한반도 통일
A Study on the Rise of China and Korea Peninsula's Unification
통일전략 |
12 |
1 |
2012 |
북한정치/통일
독일 통일과 경제통합 과정에 대한 평가: 한국 언론에 비친 통일방식과 통일비용 논의를 중심으로
Appraisals of German Unification and Economic Integration: Focused on Modus and Costs of Unification Mirrored at Korean Newspapers
경상논총 |
29 |
3 |
2011 |
경제학
독일 통일의 교훈과 한반도 통일
The Lessons from the German Unification for the Korean Unification
한국보훈논총 |
11 |
2 |
2012 |
기타사회학
4강이 한반도 통일에 미치는 영향: 러시아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Russia's influence on the re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한국보훈논총 |
11 |
2 |
2012 |
기타사회학
통일로 가는 길목에서 국가유공자들의 역할
A study on the The role of national merits at the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한국보훈논총 |
11 |
2 |
2012 |
기타사회학
한반도 통일을 위한 중국의 정치적 역할
A Study on the political role of China in the Korean unification
북한학연구 |
6 |
1 |
2010 |
북한
한반도 통일을 위한 중국의 정치적 역할
A Study on the political role of China in the Korean unification
북한학연구 |
6 |
1 |
2010 |
북한
21세기 한반도 통일환경의 구조분석
A Study on the Unification Environment on the Korean Peninsula
북한학연구 |
6 |
1 |
2010 |
북한
21세기 한반도 통일환경의 구조분석
A Study on the Unification Environment on the Korean Peninsula
북한학연구 |
6 |
1 |
2010 |
북한
한반도 통일을 위한 중국의 경제적 역할-한반도 통일: 중국의 경제 작용
A Study on the economical role of China in the Korean unification
북한학연구 |
6 |
1 |
2010 |
북한
한반도 통일을 위한 중국의 경제적 역할-한반도 통일: 중국의 경제 작용
A Study on the economical role of China in the Korean unification
북한학연구 |
6 |
1 |
2010 |
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