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제

연구분야 : B020000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9980

STNet ID : 1001366

한자 : 大統領制

d02-02 정치/법률제도

관련법률/제도명

제헌 헌법 (制憲憲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대통령 책임제 [ 大統領責任制 ]

UF (비우선어)

 

 

대통령 중심제 [ 大統領中心制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R] 국가 형태 () [ 國家形態 ]

isKindOf (상위 유형)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인프라/구조/범위

통치 구조 () [ 統治構造 ]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정부 -> 10588 () [ 政府 ]

R1:개념적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부통령제 [ 副統領 ]

RT (관련어)

 

a02-01 행정/공공기관 행정/공공기관

일원적 행정부 [ 一元的 行政府 ]

RT (관련어)

 

a02-01 행정/공공기관 행정/공공기관

분점 정부 () [ 分店政府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책임 정치 [ 責任政治 ]

RT (관련어)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국가 원수 [ 國家元首 ]

RT (관련어)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국무 총리 [ 國務總理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이원 정부제 [ 二元政府制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대통령 고유권 [ 大統領固有權 ]

RT (관련어)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대통령 [ 大統領 ]

R2:기능적

isAdvocatedBy (주창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수카르노 [Sukarno]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골리즘 [Gaullism]

한국 민주정치 발전을 위한 정치제도적 조건 : 제도적 상보성을 중심으로

Political Institutional Conditions for the Advancement of Korean Democracy: The Importance of Institutional Complementarity

21세기정치학회보 | 20 | 1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 민주정치 발전을 위한 정치제도적 조건 : 제도적 상보성을 중심으로

Political Institutional Conditions for the Advancement of Korean Democracy: The Importance of Institutional Complementarity

21세기정치학회보 | 20 | 1 | 2010 | 정치외교학

大統領의 全體 國民 代表性에 관한 批判的 考察

A Critical Analysis on Presidential Representativeness

미국헌법연구 | 21 | 2 | 2010 | 헌법

大統領의 全體 國民 代表性에 관한 批判的 考察

A Critical Analysis on Presidential Representativeness

미국헌법연구 | 21 | 2 | 2010 | 헌법

정당공천의 입법적 규제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A Comparative Perspective on the Statutory Regulation of Candidate Selection by Political Parties

미국헌법연구 | 23 | 1 | 2012 | 헌법

‘1962년 헌법’의 준비과정에서의 미국헌법에 관한 논의-미국헌법의 계수에 대한 실증적 평가-

Comments on the U.S. Constitution in Preparing the Constitution of Korea of 1962-A Positive Evaluation on the Reception of American Constitution-

법학논총 | 27 | 3 | 2010 | 법학

‘1962년 헌법’의 준비과정에서의 미국헌법에 관한 논의-미국헌법의 계수에 대한 실증적 평가-

Comments on the U.S. Constitution in Preparing the Constitution of Korea of 1962-A Positive Evaluation on the Reception of American Constitution-

법학논총 | 27 | 3 | 2010 | 법학

日本における議院内閣制の運用上の諸問題

일본에 있어서의 의원내각제의 운용상의 문제점

강원법학 | 32 | 2011 | 기타법학

양원제 개헌론 재고(再考)

Reconsidering Bicameralism

법과사회 | 38 | 2010 | 법학

양원제 개헌론 재고(再考)

Reconsidering Bicameralism

법과사회 | | 38 | 2010 | 법학

개헌의 필요성과 바람직한 정부형태

The Necessity of Constitutional Revision and the Desirable Government System

법학연구 | 21 | 2 | 2010 | 법학

개헌의 필요성과 바람직한 정부형태

The Necessity of Constitutional Revision and the Desirable Government System

법학연구 | 21 | 2 | 2010 | 법학

민주주의 심화과정에서 본 2009년 인도네시아 선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2009 Indonesian Election through Democratic Deepening

한국정당학회보 | 9 | 2 | 2010 | 정치권력/정치과정

민주주의 심화과정에서 본 2009년 인도네시아 선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2009 Indonesian Election through Democratic Deepening

한국정당학회보 | 9 | 2 | 2010 | 정치권력/정치과정

벨라루스(The Republic of Belarus)의 국가발전 양상: 대통령 중심제 구축과 실용주의적 외교정책을 중심으로

Aspects of the State Development of The Republic of Belarus: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of a Presidential System and Pragmatic Diplomatic Policy

세계지역연구논총 | 29 | 1 | 2011 | 정치외교학

전국단위 수준의 선거주기 조정에 대한 시론적 고찰

Contemporary Study on Cycle Adjustment of National Level Elections

의정연구 | 17 | 1 | 2011 | 정치외교학

정부형태 개헌의 필요성과 방향

The Necessity and the Desirable Direction of Constitutional Revision on the Governmental Form

헌법학연구 | 16 | 3 | 2010 | 헌법

정부형태 개헌의 필요성과 방향

The Necessity and the Desirable Direction of Constitutional Revision on the Governmental Form

헌법학연구 | 16 | 3 | 2010 | 헌법

The Prime Minister in Korean and Thai Constitutions

태국과 한국 헌법상의 총리제도

외법논집 | 34 | 1 | 2010 | 법학

The Prime Minister in Korean and Thai Constitutions

태국과 한국 헌법상의 총리제도

외법논집 | 34 | 1 | 2010 | 법학

정부조직법에 근거한 강력한 행정부의 대두와 대통령비서실의 역할: 제1공화국을 중심으로

The Establishment of the Powerful Executive Branch and the Role of Presidential Office based on the Government Organization Law: the First Republic

한국행정사학지 | 27 | 2010 | 행정사

정부조직법에 근거한 강력한 행정부의 대두와 대통령비서실의 역할: 제1공화국을 중심으로

The Establishment of the Powerful Executive Branch and the Role of Presidential Office based on the Government Organization Law: the First Republic

한국행정사학지 | | 27 | 2010 | 행정사

建國憲法의 內容과 正當性

Contents and Legitimacy of the first Constitution of KOREA(1948)

공법연구 | 40 | 4 | 2012 | 법학

정부형태 평가기준으로서의 권력분립

Separation of powers as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Regime Type

법학논총 | 23 | 2 | 2011 | 기타법학

국회 인사청문회의 정치적 의미, 기능 및 문제점

National Assembly Confirmation Hearings: Politics, Functions, and Drawbacks

의정연구 | 16 | 1 | 2010 | 정치외교학

국회 인사청문회의 정치적 의미, 기능 및 문제점

National Assembly Confirmation Hearings: Politics, Functions, and Drawbacks

의정연구 | 16 | 1 | 2010 | 정치외교학

우리나라의 헌법현실과 바람직한 정부형태

Verfassungswirklichkeit und das erwünschte Regierungssystem

헌법학연구 | 16 | 3 | 2010 | 헌법

우리나라의 헌법현실과 바람직한 정부형태

Verfassungswirklichkeit und das erwünschte Regierungssystem

헌법학연구 | 16 | 3 | 2010 | 헌법

개헌 정치의 정치학: 제도변동 이론과 권력구조 개헌의 가능성

Political Science and Constitutional Politics: Exploring Possibilities of Constitutional Change from Institutional Change Theories

21세기정치학회보 | 21 | 3 | 2011 | 정치외교학

議院內閣制의 受容必要性과 條件에 관한 考察

Die Notwendigkeiten und Bedingungen für die erfolgreiche Übernahme des parlamentarischen Regierungssystems

세계헌법연구 | 16 | 3 | 2010 | 법학

議院內閣制의 受容必要性과 條件에 관한 考察

Die Notwendigkeiten und Bedingungen für die erfolgreiche Übernahme des parlamentarischen Regierungssystems

세계헌법연구 | 16 | 3 | 2010 | 법학

미국 민주주의의 사각지대: 대통령제의 권력분립과 대외정책

A Blind Spot in American Democracy: Separation of Power in Foreign Policy under Presidentialism

미국학 논집 | 42 | 2 | 2010 | 영어와문학

미국 민주주의의 사각지대: 대통령제의 권력분립과 대외정책

A Blind Spot in American Democracy: Separation of Power in Foreign Policy under Presidentialism

미국학 논집 | 42 | 2 | 2010 | 영어와문학

연합정치의 비교정치적 맥락과 한국적 적용

Coalition Politics and Korea: Comparative Contexts and Application to Korean Politics

역사비평 | 98 | 2012 | 역사학

현행 헌법의 의원내각제적 요소에 대한 평가

A Review on the Elements from the Parliamentary System of the Present Constitution

강원법학 | 32 | 2011 | 기타법학

대통령중심제에서 의원내각제로: 키르기스스탄의 새로운 제도 디자인

From Presidentialism to Parliamentarism: A New Institutional Design in Kyrgyzstan

국제정치논총 | 51 | 1 | 2011 | 정치외교학

大統領制와 複數 行政府制 結合의 問題點과 그 限界

The Problem and Limitation of a Combination of a Presidential System and a Plural Executive

미국헌법연구 | 21 | 1 | 2010 | 헌법

大統領制와 複數 行政府制 結合의 問題點과 그 限界

The Problem and Limitation of a Combination of a Presidential System and a Plural Executive

미국헌법연구 | 21 | 1 | 2010 | 헌법

세종시(市) 수정 논란의 진행 과정에서 나타난 대통령제의 특성에 관한 시론(試論)

Preliminary Essay on the Characteristics of Presidential System and the Sejong Controversies

사회과학연구 | 17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세종시(市) 수정 논란의 진행 과정에서 나타난 대통령제의 특성에 관한 시론(試論)

Preliminary Essay on the Characteristics of Presidential System and the Sejong Controversies

사회과학연구 | 17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Could the British Style of Parliamentary Government Be Successful in the Republic of Korea

한국비교정부학보 | 16 | 2 | 2012 | 행정학

정부형태의 특성 비교와 한국의 선택

Comparison of Forms of Government and South Korea's Choice

지역과 세계 | 34 | 1 | 2010 | 기타사회과학

정부형태의 특성 비교와 한국의 선택

Comparison of Forms of Government and South Korea's Choice

지역과 세계 | 34 | 1 | 2010 | 기타사회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