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후보자의 이미지 구성과 측정도구에 관한 탐색적 연구: 대학생의 후보자 이미지 속성과 지지도 영향
An exploratory study on attribute, structure, and measurement of political candidate's image : College student's image evaluation and impact on preference.
언론과학연구 |
11 |
4 |
2011 |
신문방송학
제17대 대통령 선거기간에 미디어 신뢰도와 정치행태에 관한 연구 -정치 신뢰도, 부정주의, 정치 정보효능감을 중심으로-
A Study of Media Credibility and Political Behavior in 2007 Presidential Election -With a Focus on the Political Trust, Negativism, Political Information Efficacy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
16 |
2010 |
정치커뮤니케이션
제17대 대통령 선거기간에 미디어 신뢰도와 정치행태에 관한 연구 -정치 신뢰도, 부정주의, 정치 정보효능감을 중심으로-
A Study of Media Credibility and Political Behavior in 2007 Presidential Election -With a Focus on the Political Trust, Negativism, Political Information Efficacy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
|
16 |
2010 |
정치커뮤니케이션
「공직선거법」에 규정된 법정 홍보매체의 효과 및 선거 PR 캠페인 전략 연구
The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promotional media stipulated in the Election Law and the election PR campaign strategy.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
24 |
2012 |
정치커뮤니케이션
2007년 대통령선거 기간 중 TV토론이 유권자의 정치인 이미지와 투표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the televised debates on politician image of voter and voting behavior in 2007 Presidential Election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
19 |
2010 |
정치커뮤니케이션
2007년 대통령선거 기간 중 TV토론이 유권자의 정치인 이미지와 투표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the televised debates on politician image of voter and voting behavior in 2007 Presidential Election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
|
19 |
2010 |
정치커뮤니케이션
2010 지방선거에서 미디어 이용과 TV토론관심시청이 정치효능감, 투표행위에 미치는 효과연구
The Effect of Media use, TV Debate Watching on Political Efficacy and Voting Behavior in 2010 Local Elections
한국언론학보 |
55 |
6 |
2011 |
신문방송학
19대 총선과 강원도민의 투표행위 - 유권자의 연령대별 구성과 투표율의 차이를 중심으로
The 19th General Election and Voting Behavior of the Inhabitants of the Gangwon-do - A Study on Focusing Difference and Change of Composition and Turnout According to Age Group of the Electorate
지역사회학(Korean Regional Sociology) |
14 |
1 |
2012 |
사회학
강원도민의 투표행위와 정치의식 - 4·27 도지사 보궐선거를 중심으로
Voting Behavior and Political Consciousness of the Inhabitants of the Gangwon-do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4·27 Governor by-election
지역사회학(Korean Regional Sociology) |
13 |
2 |
2012 |
사회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