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자주의

연구분야 : B020101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 정치이론
B020501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 > 국제관계/협력
B080100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이론/사상사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0059

한자 : 多者主義
영어 : multilateralism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다각주의 [ 多角主義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신안보 개념 [ 新安保槪念 ]

R1:개념적

RT (관련어)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연성 균형 [ 延性 均衡 ]

RT (관련어)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인프라/구조/범위

정치 경제 질서 [ 政治經濟秩序 ]

RT (관련어)

 

d04-04 전략/전술 전략/전술

다자안보협력 [ 多者安保協力 ]

RT (관련어)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다자 주의 외교 [ 多者主義外交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y05-02 조약/협약 조약/협약

세계 무역 기구 협정 [ 世界貿易機構協定 ]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우루과이 라운드 [Uruguay round]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도하 개발 어젠다 [ --開發-- ]

한·중 관계의 발전추세와 전망: 바람직한 중국정책을 위한 시론(試論)

Developmental Trends of Sino-South Korean Relations and Its Prospect: A Proposal of South Korea's China Policy

국제.지역연구 | 20 | 1 | 2011 | 정치외교학

Rethinking Global Tax Governance

글로벌 조세 거버넌스의 재고

원광법학 | 27 | 4 | 2011 | 기타법학

중국의 대미균형을 위한 다극화전략: -소프트 파워, 다자주의, 자원외교를 중심으로―

중국학논총 | 31 | 2010 | 중국문화학

중국의 대미균형을 위한 다극화전략: -소프트 파워, 다자주의, 자원외교를 중심으로―

중국학논총 | | 31 | 2010 | 중국문화학

한-러 '전략적 (협력)동반자관계'에 대한 비판적 검토: 공유이익과 실현전략의 관점에서

A Critical Review of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between Korea and Russia

한국과 국제정치 | 26 | 1 | 2010 | 정치외교학

한-러 '전략적 (협력)동반자관계'에 대한 비판적 검토: 공유이익과 실현전략의 관점에서

A Critical Review of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between Korea and Russia

한국과 국제정치 | 26 | 1 | 2010 | 정치외교학

양자간 투자협정상 최혜국대우규정의 절차법적 적용에 관한 연구 -다자주의로의 전환을 중심으로-

How to Treat the Most-Favored-Nation Treatment Clauses under BITs -A Multilateralist Proposal-

법학연구 | 39 | 2010 | 법학

양자간 투자협정상 최혜국대우규정의 절차법적 적용에 관한 연구 -다자주의로의 전환을 중심으로-

How to Treat the Most-Favored-Nation Treatment Clauses under BITs -A Multilateralist Proposal-

법학연구 | | 39 | 2010 | 법학

중국의 대외정책기조 변화와 연속성에 관한 연구 -‘新安全觀’에서‘和諧世界’로의 전환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hange and Continuity in China's Foreign Policy - Focusing on Changing from ‘New Security Concept’to Harmonic World-

한국군사학논집 | 67 | 1 | 2011 | 군사이론

동북아 다자적 협력 질서 변화와 6자 회담: 다자적 협상과 지역질서 변화를 중심으로

The 6 Party Talk and Change in Northeast Asia’s Multilateral Cooperative Order: Dynamics of the Multilateral Negotiation and Its Impact on the Regional Order

국제.지역연구 | 21 | 1 | 2012 | 정치외교학

아시아의 양자주의 무역질서와 한국의 다자화 전략

Korea and Multilateralizing the Bilateral Trade Governance in the Asia Pacific

국제정치연구 | 15 | 1 | 2012 | 사회과학

세계화의 패러독스: 지역주의의 병존과 심화

The Paradox of Globalization: Coexistence and Deepening of Regionalism

세계지역연구논총 | 28 | 3 | 2010 | 정치외교학

세계화의 패러독스: 지역주의의 병존과 심화

The Paradox of Globalization: Coexistence and Deepening of Regionalism

세계지역연구논총 | 28 | 3 | 2010 | 정치외교학

통일독일의 다자안보 경험과 동북아 평화에의 함의

Experiences of the Unified Germany in Multilateral Security and Its Implication in Northeast Asian Peace

Oughtopia (오토피아) | 25 | 3 | 2010 | 기타정치외교학

통일독일의 다자안보 경험과 동북아 평화에의 함의

Experiences of the Unified Germany in Multilateral Security and Its Implication in Northeast Asian Peace

Oughtopia (오토피아) | 25 | 3 | 2010 | 기타정치외교학

상하이협력기구(SCO)와 러시아의 군사안보적 이해에 대한 고찰: 대(對)미 견제를 중심으로

A Review on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SCO) and the Military Safety Comprehension of Russia:FocusingonContaining US Influence

평화학연구 | 11 | 1 | 2010 | 정치외교학

상하이협력기구(SCO)와 러시아의 군사안보적 이해에 대한 고찰: 대(對)미 견제를 중심으로

A Review on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SCO) and the Military Safety Comprehension of Russia:FocusingonContaining US Influence

평화학연구 | 11 | 1 | 2010 | 정치외교학

러시아의 중앙아시아정책과 다자주의

Russia's Policy toward Central Asia and Multilateralism

한국과 국제정치 | 26 | 1 | 2010 | 정치외교학

러시아의 중앙아시아정책과 다자주의

Russia's Policy toward Central Asia and Multilateralism

한국과 국제정치 | 26 | 1 | 2010 | 정치외교학

东北亚多边安全合作的现状与对策研究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Strategy of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한국동북아논총 | 16 | 4 | 2011 | 사회과학일반

미국 오바마 행정부의 아태정책 : 아시아로의 귀환?

Asia Pacific Strategy of the Obama Administration of the United States: Returning to Asia?

국제관계연구 | 16 | 2 | 2011 | 정치외교학

북한 핵문제와 다자주의적 접근의 유용성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the Effectiveness of Multilateral Approaches

국제정치연구 | 13 | 1 | 2010 | 사회과학

북한 핵문제와 다자주의적 접근의 유용성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the Effectiveness of Multilateral Approaches

국제정치연구 | 13 | 1 | 2010 | 사회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