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신뢰

연구분야 : B080000 사회과학 > 사회학

클래스 : 심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0062

한자 : 社會的信賴
영어 : Social trust

C02 심리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2 심리 심리

신뢰 () [ 信賴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공공 자본 () [ 社會間接資本 ]

R1:개념적

RT (관련어)

 

a01-04-06 공동체 공동체

사회 () [ 社會 ]

UCC 제작 동기 및 이용 동기에 반영된 사회자본적 속성에 관한 연구: 사회적 네트워크와 신뢰의 차원에서

Motivation for UCC Production and Usage and Social Capital Attributes: Focused on Social Network and Trust

한국소통학보 | 14 | 2010 | 휴먼커뮤니케이션

UCC 제작 동기 및 이용 동기에 반영된 사회자본적 속성에 관한 연구: 사회적 네트워크와 신뢰의 차원에서

Motivation for UCC Production and Usage and Social Capital Attributes: Focused on Social Network and Trust

한국소통학보 | | 14 | 2010 | 휴먼커뮤니케이션

블로그에서 자기표현적 글쓰기와 읽기 선호도가 대인적 및 사회적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블로그에서 공감경험의 매개적 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Blog Writing for Self-Presentation and Preference toward Others’ Blog Writing for Self-Presentation on Interpersonal and Social Trus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mpathic Experiences of Blog Use

한국언론학보 | 56 | 2 | 2012 | 신문방송학

고등교육의 생애역량 모형 탐색과 개선 방안: 사회적 자본 형성의 관점에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Model of Life Competencies Related to Social Capital in Higher Education

교육종합연구 | 9 | 1 | 2011 | 교육학

기부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행복감과 사회적 신뢰 및 두 요인의 상호작용효과 분석

An Empirical Exploration on Philanthropic Effort: Analysis on Happiness, Social Trust and Interaction Effect

한국사회복지행정학 | 14 | 2 | 2012 | 사회복지학

청소년의 사회참여활동이 시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 사회참여의식, 사회적 신뢰, 친사회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path analysis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y of youth influencing on citizenship Mediation of social participation attitude, prosociality, and social trust.

청소년학연구 | 17 | 2 | 2010 | 기타사회과학

청소년의 사회참여활동이 시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 사회참여의식, 사회적 신뢰, 친사회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path analysis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y of youth influencing on citizenship Mediation of social participation attitude, prosociality, and social trust.

청소년학연구 | 17 | 2 | 2010 | 기타사회과학

가치의 측정과 사회적 소망성 편향: 사회적 신뢰의 예

Social Desirability Bias in Measuring Modern Values in a Transitional Society: The Case of Social Trust

한국행정학보 | 44 | 2 | 2010 | 행정학

가치의 측정과 사회적 소망성 편향: 사회적 신뢰의 예

Social Desirability Bias in Measuring Modern Values in a Transitional Society: The Case of Social Trust

한국행정학보 | 44 | 2 | 2010 | 행정학

서비스경제 성장과 사회자본 구축 - 학교의 역할

The Growth of Service Economy and Social Capital - The Role of Schooling

직업능력개발연구 | 13 | 3 | 2010 | 교육학

서비스경제 성장과 사회자본 구축 - 학교의 역할

The Growth of Service Economy and Social Capital - The Role of Schooling

직업능력개발연구 | 13 | 3 | 2010 | 교육학

아시아에 있어서 정치ㆍ사회적 신뢰와 결사체민주주의

Political Trust, Social Trust and Associative Democracy in Asia

비교민주주의연구 | 8 | 1 | 2012 | 정치권력/정치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