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연구분야 : B170900 사회과학 > 지역개발 > 국토/토지이용

클래스 : 지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0092

한자 : --萬錦

X01 지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새만금 간척지 [ --干拓地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새만금개발사업 [ --開發事業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간척지 [ 干拓地 ]

R1:개념적

RT (관련어)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갯벌 [wattenmeer]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간척 사업 [ 干拓事業 ]

유역공동체 조성사업과 환경정치 - ‘만경강 살리기 사업’의 사례: 레짐 vs 거버넌스

Establishment of Watershed Community and the Environmental Politics - Case Study on Mankyung River Restoration Project: Regime vs Governance

지역사회학(Korean Regional Sociology) | 14 | 1 | 2012 | 사회학

개발에 의한 생업환경(生業環境)의 변화와 공동체신앙의 적응 -계화도를 중심으로-

Revival of Village’s Religious Rituals : New Meanings and Functions -A case study for the Gyehwa-

실천민속학 연구 | 19 | 2012 | 역사학

생태 민주주의 관점에서 본 환경운동 사례연구

Case Study on Korean environmental movement in terms of Ecological Democracy

기억과 전망 | 25 | 2011 | 사회학

새만금 문화관광권의 문화자산 발굴 및 세계화 방안

The Discovery of Cultural Assets and its Globalization of Saemangeum Cultural Tourism Zone

관광학연구 | 34 | 9 | 2010 | 관광학

새만금 문화관광권의 문화자산 발굴 및 세계화 방안

The Discovery of Cultural Assets and its Globalization of Saemangeum Cultural Tourism Zone

관광학연구 | 34 | 9 | 2010 | 관광학

새만금 개발에 대한 김제시민의 관광개발 영향요인과 개발지지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ffect-Factor and Development Support on Gimje Residents Derived from the Development of Saemangeum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1 | 2 | 2011 | 기타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