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 안보

연구분야 : B020506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 > 외교/안보/통일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0098

STNet ID : 9005170

한자 : 協力安保
영어 : cooperative security

b01-01 행위/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국가 안보 [ 國家安保 ]

R1:개념적

hasPhenomenon (현상)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안보 문제 [ 安保問題 ]

RT (관련어)

 

x03-06 상호작용 상호작용

협력 () [ 協力 ]

안보협력 개념들의 의미 분화와 적용: 안보연구와 정책에 주는 함의

The Subdivision and Application of Security Cooperation Concepts : Implications for Security Studies and Policy

국제정치논총 | 51 | 1 | 2011 | 정치외교학

동북아 안보정세의 변화에 따른 동북아 안보협력체제 구축의 방향 모색

Exploring Directions for Building the Northeast Asia's Security and Cooperation System on the Changes of the Security Conditions in Northeast Asia

평화학연구 | 11 | 3 | 2010 | 정치외교학

동북아 안보정세의 변화에 따른 동북아 안보협력체제 구축의 방향 모색

Exploring Directions for Building the Northeast Asia's Security and Cooperation System on the Changes of the Security Conditions in Northeast Asia

평화학연구 | 11 | 3 | 2010 | 정치외교학

천안함 사태 이후 인간안보의 논의 방향: 국가안보와의 조화를 중심으로

The Proposal on Human Security after the Warship Cheonan Incident: Focused on the Harmony with National Security

평화학연구 | 11 | 3 | 2010 | 정치외교학

천안함 사태 이후 인간안보의 논의 방향: 국가안보와의 조화를 중심으로

The Proposal on Human Security after the Warship Cheonan Incident: Focused on the Harmony with National Security

평화학연구 | 11 | 3 | 2010 | 정치외교학

다자 안보협력 체제의 이해: 집단안보, 공동안보, 협력안보의 개념과 현실

Collective Security, Common Security, Cooperative Security: Concept and Reality

국제관계연구 | 15 | 1 | 2010 | 정치외교학

다자 안보협력 체제의 이해: 집단안보, 공동안보, 협력안보의 개념과 현실

Collective Security, Common Security, Cooperative Security: Concept and Reality

국제관계연구 | 15 | 1 | 2010 | 정치외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