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소설과 철도의 표상 : 이인직과 이해조의 소설을 중심으로
‘Sinsosoel’ and the Representation of Railroad
민족문학사연구 |
49 |
2012 |
한국어와문학
<太平天下>에 나타난 ‘자본’의 문제
A Study on the Capitals of TaePyungCeunha
한국언어문학 |
77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광래 희곡의 내적논리와 그 의미
The Inner Logic of Lee Gwang rae’s Dramas and Its Meanings
어문학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광래 희곡의 내적논리와 그 의미
The Inner Logic of Lee Gwang rae’s Dramas and Its Meanings
어문학 |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조선의 문화사업, 극장업
The Theatre: A Cultural Enterprise in Colony
대동문화연구 |
69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 조선의 문화사업, 극장업
The Theatre: A Cultural Enterprise in Colony
대동문화연구 |
|
69 |
2010 |
기타인문학
라틴아메리카의 세계화와 반세계화 - 사파티스타운동과 저스티스 글로벌리즘 -
Globalization and Anti-Globalization in Latin America - The Zapatista Revolt and Justice Globalism -
인문연구 |
60 |
2010 |
기타인문학
라틴아메리카의 세계화와 반세계화 - 사파티스타운동과 저스티스 글로벌리즘 -
Globalization and Anti-Globalization in Latin America - The Zapatista Revolt and Justice Globalism -
인문연구 |
|
60 |
2010 |
기타인문학
엔리께 두셀의 해방철학과 트랜스모더니티
Enrique Dussel’s Philosophy of Liberation and Transmodernity.
이베로아메리카 연구 |
21 |
2 |
2010 |
스페인어와문학
엔리께 두셀의 해방철학과 트랜스모더니티
Enrique Dussel’s Philosophy of Liberation and Transmodernity.
이베로아메리카 연구 |
21 |
2 |
2010 |
스페인어와문학
동아시아적 ‘개인’의 등장: 루쉰의 ‘탈식민적 개인주의’에 관한 시론
The Appearance of Eastern Asia’s Individual: Essay about Lu Xun’s ‘Decolonial Dividualism’
현대중국연구 |
11 |
2 |
2010 |
중국
동아시아적 ‘개인’의 등장: 루쉰의 ‘탈식민적 개인주의’에 관한 시론
The Appearance of Eastern Asia’s Individual: Essay about Lu Xun’s ‘Decolonial Dividualism’
현대중국연구 |
11 |
2 |
2010 |
중국
로컬리티의 재구성 : 조선/문학/전집의 사상
Reconstruction of Locality: The Thought of ‘Joseon/ Literature/Anthology’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민속연구에서 문화이론의 문제설정
Problematique of Cultural Studies in Folk Research
비교민속학 |
47 |
2012 |
역사학
탈식민주의 문학교육과 이병주의 <관부연락선>
Post-colonial Literature Education and Lee Byung-Ju'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또 다른 식민성: 버마 종족 관계의 역사적 전개와 카렌족의 식민성 형성에 관한 연구
Other Colonial Subject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Ethnic Relations in Burma and Construction of Coloniality among the Karen
동남아시아연구 |
22 |
1 |
2012 |
지역학
아일랜드 문학의 전유와 민족문학 상상의 젠더
The Appropriation of Irish Literature and Imagining of Korean National Literature-Focusing o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민족문학사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아일랜드 문학의 전유와 민족문학 상상의 젠더
The Appropriation of Irish Literature and Imagining of Korean National Literature-Focusing o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민족문학사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론과 현실 사이에서 : 부르디외 이론의 적용과 변용, 혹은 생성
Back and forth between theory and reality: Application, appropriation or generation of P. Bourdieu theories
언론과 사회 |
19 |
4 |
2011 |
신문방송학
유럽중심주의 세계사에 대한 비판과 반비판을 넘어
Beyond Criticism and Recriticism on Eurocentric History of World
역사학연구 |
39 |
2010 |
역사학
유럽중심주의 세계사에 대한 비판과 반비판을 넘어
Beyond Criticism and Recriticism on Eurocentric History of World
역사학연구 |
|
39 |
2010 |
역사학
남정현의 「분지」에 나타난 한국근대소설의 식민성
The Coloniality of Korean Modern Novels in the Nam, Jung-hyeun's BUNJI
민족문학사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유학사와 식민주의
朝鮮儒學史與植民主義
대동철학 |
55 |
2011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