읍성

연구분야 : A020108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군사사(역사학)
B160209 사회과학 > 지리학 > 인문지리학 > 역사지리

클래스 : 건축물(시설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02

한자 : 邑城

a04-07 건축물(시설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hasPurpose (목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군사 [ 軍事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성(城) (성곽) [ 城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입지 선정 [ 立地選定 ]

isAffectedBy (영향요인)

 

 

주민수 [ 住民數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수원읍성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해미읍성 [ 海美邑城 ]

hasInstance (사례)

 

X01 지명 지명

서산읍성 [ 瑞山邑城 ]

조선초 巨濟縣의 복구와 治所 이동

The Restoration of GeojeHyeon(巨濟縣) and the Movement of Chiso(治所) in the Early Joseon Dynasty

문물연구 | 20 | 20 | 2011 | 역사학

영동지역 읍치의 입지와 경관 - 강릉과 삼척을 중심으로 -

Location and Landscape of the Traditional Eup Towns in Yeongdong Area

문화역사지리 | 22 | 3 | 2010 | 인문지리학

영동지역 읍치의 입지와 경관 - 강릉과 삼척을 중심으로 -

Location and Landscape of the Traditional Eup Towns in Yeongdong Area

문화역사지리 | 22 | 3 | 2010 | 인문지리학

대구시 중구 기성 시가지의 역사적 공간 분석을 통한 문화적 잠재성 개발을 위한 연구 -대구읍성 내 역사적 공간의 성격 변화를 중심으로-

A study for cultural potential development through historic space analysis of Daegu center District -Focusing on a character change of the historic space in the Daegu Eupseong-

주거환경 | 8 | 2 | 2010 | 국제/지역개발

대구시 중구 기성 시가지의 역사적 공간 분석을 통한 문화적 잠재성 개발을 위한 연구 -대구읍성 내 역사적 공간의 성격 변화를 중심으로-

A study for cultural potential development through historic space analysis of Daegu center District -Focusing on a character change of the historic space in the Daegu Eupseong-

주거환경 | 8 | 2 | 2010 | 국제/지역개발

읍성축조에 있어서 ‘築城新圖’의 반포 목적과 고고학적 검토

Purpose of Publishing New Guidelines on Fortress Construction for Walled Cities during the Joseon Dynsaty and Archaeological Research on the Guidelines

문물연구 | 22 | 22 | 2012 | 역사학

양양 읍성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cation and Spatial Structure of the Castle in Yangyang Town

국토지리학회지 | 44 | 2 | 2010 | 지리학

양양 읍성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cation and Spatial Structure of the Castle in Yangyang Town

국토지리학회지 | 44 | 2 | 2010 | 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