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 분쟁

연구분야 : B130324 사회과학 > 법학 > 사법 > 해사/해상/해상운송/해상보험법

클래스 : 역(대립/논쟁/투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0249

한자 : 海洋紛爭
영어 : Maritime Disputes

x03-06-05 역(대립/논쟁/투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해양 () [ 海洋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x03-06-05 역(대립/논쟁/투쟁) 역(대립/논쟁/투쟁)

분쟁 [ 紛爭 ]

N1:종류

hasKind (종류)

 

x03-06-05 역(대립/논쟁/투쟁) 역(대립/논쟁/투쟁)

어업 분쟁 [ 漁業紛爭 ]

R1:개념적

isPhenomenonOf (현상의 대상개념)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R] 해양지명 () [ 海洋地名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해양경계획정 [ 海洋境界劃定 ]

R2:기능적

isManagedBy (관리 주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국제 해양법 재판소 [ 國際 海洋法 裁判所 ]

미래 한국의 해상교통로 보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of Future ROK’s SLOC

국방정책연구 | 27 | 1 | 2011 | 정책학

한․중 이어도 관할권 논쟁의 함의 및 대응방안

The East China Sea Jurisdiction Dispute over Ieodo: It's Implication and Response Strategy

평화학연구 | 12 | 1 | 2011 | 정치외교학

萬國公法과 淸末의 海洋紛爭 -1860-70년대를 중심으로-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 and Ocean Disputes in the Late Ching Dynasty - Focused on 1860-70 -

중국사연구 | 78 | 2012 | 동양사

한국의 해양안보위협의 변화와 전개양상에 관한 연구:미국의 新 국방전략지침 발표 이후 미·중 경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 and Development Trends in Korea’ Maritime Security Threats

국가안보와 전략 | 12 | 3 | 2012 | 정치외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