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제

연구분야 : B020401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비교정치 > 정치권력/정치과정
B020106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 정치행정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0529

한자 : 聯邦制
영어 : federalism

d02-02 정치/법률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연방 제도 [ 聯邦制制度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정치 체제 [ 政治體制 ]

isKindOf (상위 유형)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정부 -> 10588 () [ 政府 ]

N1:종류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재정 연방제 [ 財政聯邦制 ]

hasKind (종류)

 

D02 제도(체제) 제도(체제)

협상 연방제 [ 協商聯邦制 ]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비대칭적 연방제 [ 非對稱的聯邦制 ]

동아시아의 종교문화와 평화공동체전망

A Prospect of Peace Community with a focus on East-Asian Religious Culture

윤리연구 | 1 | 83 | 2011 | 학제간연구

서구 정치사상에서 국가의 규모, 민주주의 그리고 중국의 정치체제

Western Discourses on the Relations of Size of States and Democracy, and the Political System of China

비교민주주의연구 | 7 | 2 | 2011 | 정치권력/정치과정

1920년대 천도교 신파의 ‘민족 자치’ 구상

Self-governing Plan by Choson Nation of the Chundogyo's New faction in the 1920's

동방학지 | 157 | 2012 | 기타인문학

북한 세습체제의 구축과 대남통일정책

The Establishment of Hereditary Regime of North Korea and Its Unification Policy

한국동북아논총 | 16 | 3 | 2011 | 사회과학일반

남북한의 통일정책 비교

Comparison of Unification Polici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한국보훈논총 | 11 | 2 | 2012 | 기타사회학

헌법개정과 남북한 통일

Verfassungsänderung und Wiedervereinigung― Revision of Constitution and Unification of Korea ―

공법연구 | 39 | 2 | 2010 | 법학

헌법개정과 남북한 통일

Verfassungsänderung und Wiedervereinigung― Revision of Constitution and Unification of Korea ―

공법연구 | 39 | 2 | 2010 | 법학

민주적 연방주의와 평화

Democratic Federalism and the Peace

법학연구 | 53 | 2 | 2012 | 기초법

南北統一에 대비한 憲法改正의 必要性과 方向

The Direction of the Amendment of Constitution in Preparation for the Unification of Korea

공법연구 | 39 | 2 | 2010 | 법학

南北統一에 대비한 憲法改正의 必要性과 方向

The Direction of the Amendment of Constitution in Preparation for the Unification of Korea

공법연구 | 39 | 2 | 2010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