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의제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0587

한자 : 代議制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간접 민주주의 () [ 間接民主主義 ]

아렌트(H. Arendt)의 연방 평의회 체제와 한국 민주주의

The System of Federal Council in Arendt and the Question of Democracy in Korea

시민사회와 NGO | 8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아렌트(H. Arendt)의 연방 평의회 체제와 한국 민주주의

The System of Federal Council in Arendt and the Question of Democracy in Korea

시민사회와 NGO | 8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서구 정치사상에서 국가의 규모, 민주주의 그리고 중국의 정치체제

Western Discourses on the Relations of Size of States and Democracy, and the Political System of China

비교민주주의연구 | 7 | 2 | 2011 | 정치권력/정치과정

민주주의 정치이론과 헌법원리: 자유주의적 이해를 넘어

Democracy as a constitutional principle: beyond the liberal understanding

공법연구 | 39 | 1 | 2010 | 법학

민주주의 정치이론과 헌법원리: 자유주의적 이해를 넘어

Democracy as a constitutional principle: beyond the liberal understanding

공법연구 | 39 | 1 | 2010 | 법학

‘민주주의 이후의 민주화론’에 대한 맑스주의적 비판

Marxist criticism on the theory of democratization in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민족문화연구 | 56 | 2012 | 기타인문학

주민소환제의 헌법적 의미 - 헌재 2009. 3. 26 선고 2007헌마843 결정을 중심으로 -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n Recall

지방자치법연구 | 12 | 3 | 2012 | 법학

국회의원 정수에 관한 헌법적 고찰

A Study on Optimum Nu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공법학연구 | 13 | 2 | 2012 | 법학

대중의 정책 선호에 대한 대통령의 대응이 국민적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zing the Influence of Presidential Responsiveness on Public Support for the President

사회과학연구 | 28 | 1 | 2012 | 기타사회과학

투명성의 관점에서 본 대의제의 한계와 극복방안 — 미국과 프랑스의 예를 중심으로 —

Representative system and Transparency —Focused on U.S.A. and France—

미국헌법연구 | 22 | 3 | 2011 | 헌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