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 총선을 통해 본 여성 정치할당제의 지속가능성과 여성 정치세력화
An Analysis of the Sustainability of the Political Quota for Women in the 19th General Election and Women’s Political Empowerment
경제와 사회 |
94 |
2012 |
사회학
기초의회 지역구 여성의원의 당선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선거제도의 영향을 중심으로-
Women Councilors' Winning Determinants of Local Election -Focusing on the Election System-
한국지방자치연구 |
14 |
1 |
2012 |
기타행정학
1950년대 한국-일본의 밀무역 구조와 상품
The System and goods of contraband trade between Korea and Japan in 1950's
역사와경계 |
74 |
2010 |
역사학
1950년대 한국-일본의 밀무역 구조와 상품
The System and goods of contraband trade between Korea and Japan in 1950's
역사와경계 |
|
74 |
2010 |
역사학
여성대표성 확보의 기제로서 할당제 효과: 16, 17대 여성의원의 대표발의 활동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Gender Quota as a Mechanism for Women's Representation: focusing on the initiative bills by women legislators in 16th and 17th National Assembly
의정연구 |
16 |
2 |
2010 |
정치외교학
여성대표성 확보의 기제로서 할당제 효과: 16, 17대 여성의원의 대표발의 활동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Gender Quota as a Mechanism for Women's Representation: focusing on the initiative bills by women legislators in 16th and 17th National Assembly
의정연구 |
16 |
2 |
2010 |
정치외교학
여성정치할당 10년의 성과와 한계
The Gender Quota System in Korean Politics Ten Years’ Experiences
동향과 전망 |
79 |
2010 |
사회과학일반
여성정치할당 10년의 성과와 한계
The Gender Quota System in Korean Politics Ten Years’ Experiences
동향과 전망 |
|
79 |
2010 |
사회과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