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비전 뉴스

연구분야 : B190203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언론학/언론정보학 > 언론·정보

클래스 : 저작(창작)물/정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0658

STNet ID : 9006152

한자 :
영어 : television news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TV 뉴스 [TV news]

UF (비우선어)

 

 

디스코 뉴스 [disco news]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매체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뉴스 [news]

R1:개념적

RT (관련어)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앵커 [anchor]

RT (관련어)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라디오 뉴스 [radio news]

전국 네트워크 텔레비전 뉴스 프로그램의 지역 뉴스 보도 관행에 대한 연구: 내용 분석과 내러티브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f Reporting Practice of Regional Coverage in the National News Program: Using Content Analysis and Narrative Analysis

미디어 경제와 문화 | 8 | 3 | 2010 | 기타신문방송학

전국 네트워크 텔레비전 뉴스 프로그램의 지역 뉴스 보도 관행에 대한 연구: 내용 분석과 내러티브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f Reporting Practice of Regional Coverage in the National News Program: Using Content Analysis and Narrative Analysis

미디어 경제와 문화 | 8 | 3 | 2010 | 기타신문방송학

텔레비전 뉴스의 영상점화효과 -환경이슈를 중심으로

Visual Priming Effect of Television News-Focusing on the Environmental Issue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 18 | 2010 | 정치커뮤니케이션

텔레비전 뉴스의 영상점화효과 -환경이슈를 중심으로

Visual Priming Effect of Television News-Focusing on the Environmental Issue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 | 18 | 2010 | 정치커뮤니케이션

텔레비전 뉴스의 시각적 요소가 수용자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sual Cues in TV Environmental News on the Viewer's Approval Rating of 4 Major-Rivers Project : Focusing on the Priming & ELM theory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 | 5 | 3 | 2010 | 기타신문방송학

텔레비전 뉴스의 시각적 요소가 수용자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sual Cues in TV Environmental News on the Viewer's Approval Rating of 4 Major-Rivers Project : Focusing on the Priming & ELM theory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 | 5 | 3 | 2010 | 기타신문방송학

텔레비전 뉴스의 영상과 음향의 미디어효과 - 4대강사업 관련 뉴스를 중심으로 -

Media Effect of Imagery and Sound of TV News - Focused on 4 Major-Rivers Project News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36 | 2011 | 정보디자인

TV 뉴스 앵커의 젠더와 기사의 주제, 형식, 중요도 상관성 - 여성앵커 위상변화를 중심으로 -

Corelation of anchor’s gender with theme, form, importance of TV News article - Focused on the change of woman anchor’s phas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37 | 2011 | 정보디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