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 개정

연구분야 : B130201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헌법

클래스 : 행위/활동
개혁(개편/재편/혁신)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0710

STNet ID : 1001444

한자 : 憲法改正
프랑스어 : Réforme constitutionnelle
영어 : Constitutional revision
독일어 : Verfassungsrevision

b01-01 행위/활동

b02-03 개혁(개편/재편/혁신)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개헌 [ 改憲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b01-01 행위/활동 / b02-03 개혁(개편/재편/혁신) 개혁(개편/재편/혁신)

법률 개정 [ 法律 改正 ]

N1:종류

hasKind (종류)

 

 

헌법 보장수단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x02-02 기간 기간

대통령 임기 () [ 大統領任期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면책특권 [ 免責特權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성문 헌법 [ 成文憲法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이원 정부제 [ 二元政府制 ]

R5:물리적

hasForm (형태/외형)

 

 

수정 형식

hasForm (형태/외형)

 

 

증보 형식

N3:사례

hasInstance (사례)

 

 

발췌개헌 () [ 拔萃改憲 ]

헌법문제로서의 검찰개혁

Reform of the Prosecution as Constitutional Subject

헌법학연구 | 17 | 4 | 2011 | 헌법

4월 혁명의 헌정사적 영향과 의회민주주의 실현의 과제 - 헌법개정 및 정치개혁과 관련하여 -

Der Einfluß der April-Revolution und die Aufgabe der Verwirklichung der parlamentarischen Demokratie : in bezug auf die Verfassungsänderung und die Reform der Politik

헌법학연구 | 16 | 2 | 2010 | 헌법

4월 혁명의 헌정사적 영향과 의회민주주의 실현의 과제 - 헌법개정 및 정치개혁과 관련하여 -

Der Einfluß der April-Revolution und die Aufgabe der Verwirklichung der parlamentarischen Demokratie : in bezug auf die Verfassungsänderung und die Reform der Politik

헌법학연구 | 16 | 2 | 2010 | 헌법

양원제 개헌론 재고(再考)

Reconsidering Bicameralism

법과사회 | 38 | 2010 | 법학

양원제 개헌론 재고(再考)

Reconsidering Bicameralism

법과사회 | | 38 | 2010 | 법학

정부형태 평가기준으로서의 권력분립

Separation of powers as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Regime Type

법학논총 | 23 | 2 | 2011 | 기타법학

헌법상 장애인과 아동의 기본권보장과 그 개정방안

The Rights for disabled and children in constitutional law and method of amendment

세계헌법연구 | 16 | 3 | 2010 | 법학

헌법상 장애인과 아동의 기본권보장과 그 개정방안

The Rights for disabled and children in constitutional law and method of amendment

세계헌법연구 | 16 | 3 | 2010 | 법학

우리나라의 헌법현실과 바람직한 정부형태

Verfassungswirklichkeit und das erwünschte Regierungssystem

헌법학연구 | 16 | 3 | 2010 | 헌법

우리나라의 헌법현실과 바람직한 정부형태

Verfassungswirklichkeit und das erwünschte Regierungssystem

헌법학연구 | 16 | 3 | 2010 | 헌법

남북한 통일합의서의 법적 쟁점과 체결방안

Study on legal issues and the conclusion of unification agreement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법조 | 60 | 11 | 2011 | 법학

영국 헌법개혁의 추이와 내용: 의원내각제의 현대적 전개

The Constitutional Reform of the United Kingdom As a Case Study of the Parliamentary System Development

세계헌법연구 | 16 | 4 | 2010 | 법학

영국 헌법개혁의 추이와 내용: 의원내각제의 현대적 전개

The Constitutional Reform of the United Kingdom As a Case Study of the Parliamentary System Development

세계헌법연구 | 16 | 4 | 2010 | 법학

정부형태의 특성 비교와 한국의 선택

Comparison of Forms of Government and South Korea's Choice

지역과 세계 | 34 | 1 | 2010 | 기타사회과학

정부형태의 특성 비교와 한국의 선택

Comparison of Forms of Government and South Korea's Choice

지역과 세계 | 34 | 1 | 2010 | 기타사회과학

전국단위 수준의 선거주기 조정에 대한 시론적 고찰

Contemporary Study on Cycle Adjustment of National Level Elections

의정연구 | 17 | 1 | 2011 | 정치외교학

기금운용의 재정법 원칙과 규율 방식

A Study on Jurisprudence and Legislation of the Public Finance Law on the Management of the Public Fund

가천법학 | 4 | 1 | 2011 | 법학

개인정보보호권에 관한 헌법적 연구

A Constitutional Study 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Right

제도와 경제 | 5 | 2 | 2011 | 경제학일반

태국의 정치개혁 확산과 내재화의 실패: 1997년 헌법 개정을 중심으로

Diffusion of Political Reform and Failure of Internalization in Thailand: With Focus on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in 1997

국제정치논총 | 50 | 1 | 2010 | 정치외교학

태국의 정치개혁 확산과 내재화의 실패: 1997년 헌법 개정을 중심으로

Diffusion of Political Reform and Failure of Internalization in Thailand: With Focus on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in 1997

국제정치논총 | 50 | 1 | 2010 | 정치외교학

議院內閣制의 受容必要性과 條件에 관한 考察

Die Notwendigkeiten und Bedingungen für die erfolgreiche Übernahme des parlamentarischen Regierungssystems

세계헌법연구 | 16 | 3 | 2010 | 법학

議院內閣制의 受容必要性과 條件에 관한 考察

Die Notwendigkeiten und Bedingungen für die erfolgreiche Übernahme des parlamentarischen Regierungssystems

세계헌법연구 | 16 | 3 | 2010 | 법학

헌법전문의 기능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A Comparative Perspective on the Function of Preamble in the Constitution

홍익법학 | 13 | 1 | 2012 | 법학

법령에 대한 헌법소원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about Laws, Administrative Decrees and Regulations

사법 | 1 | 15 | 2011 | 법정책학

권력분립의 역사적 전개에 관한 연구 - 현대적 권력분립의 새로운 변화 추이를 중심으로 -

Eine Untersuchung über die historische Entwicklung der Gewaltenteilung -neue Wandlungstendenz der heutigen Gewaltenteilung-

고려법학 | 58 | 2010 | 법학

권력분립의 역사적 전개에 관한 연구 - 현대적 권력분립의 새로운 변화 추이를 중심으로 -

Eine Untersuchung über die historische Entwicklung der Gewaltenteilung -neue Wandlungstendenz der heutigen Gewaltenteilung-

고려법학 | | 58 | 2010 | 법학

지방분권에 관한 비교헌법적 분석

A Comparative Constitutional Analysis on Local Decentralization

토지공법연구 | 51 | 2010 | 법학

지방분권에 관한 비교헌법적 분석

A Comparative Constitutional Analysis on Local Decentralization

토지공법연구 | 51 | | 2010 | 법학

‘반 대통령제’ 개헌론 재고(再考): 제도적-행태적 비교연구에 근거한 비판적 헌법정책론

From Presidentialism to Semi-presidentialism?: Critics from Institutional-behavioral Approaches of Recent Comparative Studies

법과사회 | 40 | 2011 | 법학

한국지방자치제도의 입법사적 고찰- 『헌법』과 『지방자치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Korean Local Autonomy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of Legislation - focused on 『Constitutional Law』 and 『Local Autonomy Law』

공법학연구 | 11 | 2 | 2010 | 법학

한국지방자치제도의 입법사적 고찰- 『헌법』과 『지방자치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Korean Local Autonomy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of Legislation - focused on 『Constitutional Law』 and 『Local Autonomy Law』

공법학연구 | 11 | 2 | 2010 | 법학

한국 헌법의 정신사: 헌법전문의 “4・19 민주이념 도입”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The History of Korean Constitution in terms of its Spirit: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the April 19 Uprising into the Preamble to the Constitution

정치사상연구 | 17 | 1 | 2011 | 정치외교학

일본 ‘평화헌법’의 경로의존성

The Path dependency of Japanese pacific constitution

국제정치논총 | 50 | 1 | 2010 | 정치외교학

일본 ‘평화헌법’의 경로의존성

The Path dependency of Japanese pacific constitution

국제정치논총 | 50 | 1 | 2010 | 정치외교학

현행 헌법상 지방자치제도의 개정 필요성과 방향

The need and directions for amendment of local government system in the Korean Constitution

헌법학연구 | 16 | 3 | 2010 | 헌법

현행 헌법상 지방자치제도의 개정 필요성과 방향

The need and directions for amendment of local government system in the Korean Constitution

헌법학연구 | 16 | 3 | 2010 | 헌법

環境變化에 따른 基本權保障 强化方案 - 政治圈의 憲法改正論議와 관련하여 -

How to Strengthen Fundermental Rights in Changing Environments

헌법학연구 | 16 | 3 | 2010 | 헌법

環境變化에 따른 基本權保障 强化方案 - 政治圈의 憲法改正論議와 관련하여 -

How to Strengthen Fundermental Rights in Changing Environments

헌법학연구 | 16 | 3 | 2010 | 헌법

기본권과 기본의무의 개정 필요성과 방향 - 기본권 총론 부분과 인간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추구권을 중심으로 -

Notwendigkeit und Richtung der Änderung von Grundrechte und Grundpflichte

헌법학연구 | 16 | 3 | 2010 | 헌법

1980년대 한국의 민주화운동과 정치구조의 변화

The 1980s Democratization Movement in Korea and It's Change of Political Structure

한국동북아논총 | 17 | 2 | 2012 | 사회과학일반

모로코의 사법제도와 헌법 개정의 방향

세계헌법연구 | 18 | 1 | 2012 | 법학

한국 민주주의 공고화와 대통령제 개선 논의: 러시아 사례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The Consolidation of Democracy and Discussions on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Presidential System in Korea: Focusing on the Case of Russia

한국동북아논총 | 16 | 3 | 2011 | 사회과학일반

제2공화국 헌법상의 의원내각제

The Parliamentary Cabinet System of the Constitution of the Second Republic of Korea

공법학연구 | 11 | 2 | 2010 | 법학

제2공화국 헌법상의 의원내각제

The Parliamentary Cabinet System of the Constitution of the Second Republic of Korea

공법학연구 | 11 | 2 | 2010 | 법학

한국 헌법의 경찰제도 관련 조항의 문제점과 개헌방향

Problems of Police Clause in Korea Constitution and its Constitutional Amendment

한국경찰연구 | 10 | 1 | 2011 | 사회과학

임시정부헌법의 역사적 의미와 대한민국 헌법의 제정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Constitution of Provisional Government &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고려법학 | 57 | 2010 | 법학

임시정부헌법의 역사적 의미와 대한민국 헌법의 제정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Constitution of Provisional Government &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고려법학 | | 57 | 2010 | 법학

南北統一에 대비한 憲法改正의 必要性과 方向

The Direction of the Amendment of Constitution in Preparation for the Unification of Korea

공법연구 | 39 | 2 | 2010 | 법학

南北統一에 대비한 憲法改正의 必要性과 方向

The Direction of the Amendment of Constitution in Preparation for the Unification of Korea

공법연구 | 39 | 2 | 2010 | 법학

첨단과학기술사회에서 헌법개정의 필요성과 한계에 관한 고찰

Die Untersuchung über die Notwendigkeit und Grenze der Verfassungsänderung in der hoch entwickelten technologischen Gesellschaft

성균관법학 | 22 | 2 | 2010 | 법학

첨단과학기술사회에서 헌법개정의 필요성과 한계에 관한 고찰

Die Untersuchung über die Notwendigkeit und Grenze der Verfassungsänderung in der hoch entwickelten technologischen Gesellschaft

성균관법학 | 22 | 2 | 2010 | 법학

현행 정부형태의 문제점과 헌법개정에 관한 고찰

Review on the Problems of Current Government System and the Constitution Revision

한양법학 | 33 | 2011 | 법해석학

헌법개정을 위한 기본권 관련 쟁점에 관한 고찰

Die kritische Untersuchung über Streitpunkte des Grundrechtsabschnittes in dem koreanischen Verfassungsrecht

세계헌법연구 | 16 | 2 | 2010 | 법학

헌법개정을 위한 기본권 관련 쟁점에 관한 고찰

Die kritische Untersuchung über Streitpunkte des Grundrechtsabschnittes in dem koreanischen Verfassungsrecht

세계헌법연구 | 16 | 2 | 2010 | 법학

지방자치의 헌법적 보장에 관한 담론

Guarantee of Constitutional Law on Local Autonomy

지방자치법연구 | 11 | 4 | 2011 | 법학

Verfassunggebung und Verfassungsänderung in Korea - insbesondere in bezug auf die erste Änderung der ‘Juni-Verfassung

한국에서의 헌법제정과 헌법개정 : ‘6월헌법’의 제1차 개정과 관련하여

서울대학교 법학 | 51 | 3 | 2010 | 법학

Verfassunggebung und Verfassungsänderung in Korea - insbesondere in bezug auf die erste Änderung der ‘Juni-Verfassung

한국에서의 헌법제정과 헌법개정 : ‘6월헌법’의 제1차 개정과 관련하여

서울대학교 법학 | 51 | 3 | 2010 | 법학

헌법의 침해

Verfassungsdurchbrechung

공법연구 | 39 | 4 | 2011 | 법학

분권헌법으로의 전환을 위한 개헌과제- 지방의회민주주의 강화를 위한 과제 -

Problem to Constitutional Reform for Security of Local Government System

지방자치법연구 | 10 | 3 | 2010 | 법학

분권헌법으로의 전환을 위한 개헌과제- 지방의회민주주의 강화를 위한 과제 -

Problem to Constitutional Reform for Security of Local Government System

지방자치법연구 | 10 | 3 | 2010 | 법학

헌법 재정조항의 개정방향 : 헌법연구 자문위원회(안)을 중심으로

제도와 경제 | 4 | 2 | 2010 | 경제학일반

헌법 재정조항의 개정방향 : 헌법연구 자문위원회(안)을 중심으로

제도와 경제 | 4 | 2 | 2010 | 경제학일반

정부형태의 개정방향에 관한 소고

A review on government form at discussion of constitutional amendment

법학논총 | 26 | 2011 | 법해석학

Constitutional Review and Its Procedures

헌법 개정과 그 절차들

법학논총 | 23 | 2010 | 법해석학

Constitutional Review and Its Procedures

헌법 개정과 그 절차들

법학논총 | 23 | | 2010 | 법해석학

국민참여재판제도의 헌법합치적인 정비방안

A Constitutional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Act on Citizen Participation in Criminal Trials

헌법학연구 | 18 | 3 | 2012 | 헌법

기본권 조항 개정의 쟁점

Issues on Revision of Fundamental Right Provisions

성균관법학 | 23 | 2 | 2011 | 법학

기본권보장제도 디자인으로서의 헌법개정

Verfassungsrevision als Design der verfassungsrangigen Grundrechtsgewährleistungsinstitute

헌법학연구 | 16 | 2 | 2010 | 헌법

기본권보장제도 디자인으로서의 헌법개정

Verfassungsrevision als Design der verfassungsrangigen Grundrechtsgewährleistungsinstitute

헌법학연구 | 16 | 2 | 2010 | 헌법

헌법개정 논의 - 헌법개정의 필요성과 개헌절차·방법에 관한 검토 -

The Discussion about Constitutional Amendment

동아법학 | 47 | 2010 | 법학

헌법개정 논의 - 헌법개정의 필요성과 개헌절차·방법에 관한 검토 -

The Discussion about Constitutional Amendment

동아법학 | | 47 | 2010 | 법학

중앙-지방자치단체간 헌법상사무배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stitutional Obligatory Provisions of the Transfer of Powers from Central to Regional government

지방자치법연구 | 10 | 2 | 2010 | 법학

중앙-지방자치단체간 헌법상사무배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stitutional Obligatory Provisions of the Transfer of Powers from Central to Regional government

지방자치법연구 | 10 | 2 | 2010 | 법학

헌법개정 논의에 붙여: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Is It Necessary to Revise the Constitution of 1987?

헌법학연구 | 16 | 2 | 2010 | 헌법

헌법개정 논의에 붙여: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Is It Necessary to Revise the Constitution of 1987?

헌법학연구 | 16 | 2 | 2010 | 헌법

헌법개정론의 원인진단과 개정방안의 실효성에 대한 소고-헌법연구자문위원회의 보고서를 중심으로-

Does Korean Democracy Really Need Another Constitutional Revision?: A Critical Review on Proposals of the Advisory Commission for Constitutional Revision for the Speaker of the National Assembly

법과사회 | 38 | 2010 | 법학

헌법개정론의 원인진단과 개정방안의 실효성에 대한 소고-헌법연구자문위원회의 보고서를 중심으로-

Does Korean Democracy Really Need Another Constitutional Revision?: A Critical Review on Proposals of the Advisory Commission for Constitutional Revision for the Speaker of the National Assembly

법과사회 | | 38 | 2010 | 법학

2009년 개정 북한헌법에 대한 분석과 평가 -권력구조를 중심으로-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n the 2009 amendment of the North Korea`s Constitution

세계헌법연구 | 16 | 3 | 2010 | 법학

2009년 개정 북한헌법에 대한 분석과 평가 -권력구조를 중심으로-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n the 2009 amendment of the North Korea`s Constitution

세계헌법연구 | 16 | 3 | 2010 | 법학

개헌의 필요성과 바람직한 정부형태

The Necessity of Constitutional Revision and the Desirable Government System

법학연구 | 21 | 2 | 2010 | 법학

개헌의 필요성과 바람직한 정부형태

The Necessity of Constitutional Revision and the Desirable Government System

법학연구 | 21 | 2 | 2010 | 법학

한국 민주정치 발전을 위한 정치제도적 조건 : 제도적 상보성을 중심으로

Political Institutional Conditions for the Advancement of Korean Democracy: The Importance of Institutional Complementarity

21세기정치학회보 | 20 | 1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 민주정치 발전을 위한 정치제도적 조건 : 제도적 상보성을 중심으로

Political Institutional Conditions for the Advancement of Korean Democracy: The Importance of Institutional Complementarity

21세기정치학회보 | 20 | 1 | 2010 | 정치외교학

지방분권과 개헌 : 지방분권 개헌론의 내용과 쟁점, 그리고 그에 관한 정치학적 논의

Decentralization and Constitutional Reform: Issues and Their Political Implication

의정논총 | 5 | 1 | 2010 | 정치행정

지방분권과 개헌 : 지방분권 개헌론의 내용과 쟁점, 그리고 그에 관한 정치학적 논의

Decentralization and Constitutional Reform: Issues and Their Political Implication

의정논총 | 5 | 1 | 2010 | 정치행정

북한의 헌법개정과 권력구조 변화 연구: 2009년 개정헌법의 특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2009 Constitutional Revision and Its Impact on the Power Structure in North Korea

평화연구 | 18 | 1 | 2010 | 정치외교학

북한의 헌법개정과 권력구조 변화 연구: 2009년 개정헌법의 특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2009 Constitutional Revision and Its Impact on the Power Structure in North Korea

평화연구 | 18 | 1 | 2010 | 정치외교학

헌법개정논의에 있어서 “헌법재판소 구성”과 “헌법재판관 선임”의 문제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appointment of constitutional justice" in regard to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고려법학 | 56 | 2010 | 법학

헌법개정논의에 있어서 “헌법재판소 구성”과 “헌법재판관 선임”의 문제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appointment of constitutional justice" in regard to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고려법학 | | 56 | 2010 | 법학

사법제도의 개정 필요성과 방향

Constitutional Revision and Judicial Reform

헌법학연구 | 16 | 3 | 2010 | 헌법

사법제도의 개정 필요성과 방향

Constitutional Revision and Judicial Reform

헌법학연구 | 16 | 3 | 2010 | 헌법

헌법 총강의 개정 필요성과 방향

Necessity and Direction of Amendment of the General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헌법학연구 | 16 | 3 | 2010 | 헌법

헌법 총강의 개정 필요성과 방향

Necessity and Direction of Amendment of the General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헌법학연구 | 16 | 3 | 2010 | 헌법

정부형태 개헌의 필요성과 방향

The Necessity and the Desirable Direction of Constitutional Revision on the Governmental Form

헌법학연구 | 16 | 3 | 2010 | 헌법

정부형태 개헌의 필요성과 방향

The Necessity and the Desirable Direction of Constitutional Revision on the Governmental Form

헌법학연구 | 16 | 3 | 2010 | 헌법

사법제도의 개정 필요성과 방향

Constitutional Revision and Judicial Reform

헌법학연구 | 16 | 3 | 2010 | 헌법

사법제도의 개정 필요성과 방향

Constitutional Revision and Judicial Reform

헌법학연구 | 16 | 3 | 2010 | 헌법

헌법개정과 남북한 통일

Verfassungsänderung und Wiedervereinigung― Revision of Constitution and Unification of Korea ―

공법연구 | 39 | 2 | 2010 | 법학

헌법개정과 남북한 통일

Verfassungsänderung und Wiedervereinigung― Revision of Constitution and Unification of Korea ―

공법연구 | 39 | 2 | 2010 | 법학

헌법개정의 절차적 방법론 - 헌법개정안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

How to Integrate the Public Opinion upon the Constitutional Reform Proposal

헌법학연구 | 16 | 2 | 2010 | 헌법

헌법개정의 절차적 방법론 - 헌법개정안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

How to Integrate the Public Opinion upon the Constitutional Reform Proposal

헌법학연구 | 16 | 2 | 2010 | 헌법

지방자치제의 헌법 개정의 필요성과 방향

The demand and resolution of constitutional amendment about local autonomy system

헌법학연구 | 16 | 2 | 2010 | 헌법

지방자치제의 헌법 개정의 필요성과 방향

The demand and resolution of constitutional amendment about local autonomy system

헌법학연구 | 16 | 2 | 2010 | 헌법

지방자치제의 헌법 개정의 필요성과 방향

The demand and resolution of constitutional amendment about local autonomy system

헌법학연구 | 16 | 2 | 2010 | 헌법

지방자치제의 헌법 개정의 필요성과 방향

The demand and resolution of constitutional amendment about local autonomy system

헌법학연구 | 16 | 2 | 2010 | 헌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