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종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B020301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한국정치 > 한국정치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080

STNet ID : 1000244

한자 : 端宗
재위기간 : 1452-1455

y01-01 실존인물

시대

조선 전기 (朝鮮前期)

직업

왕(王) (王)

생몰년_t

1441 - 1457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본명

 

이홍위 [ 李弘暐 ]

UF (비우선어)

 

노산군 [ 魯山君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06

a01-04-02 국민 국민
a01-04-02 국민 /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R] 조선 국왕 () [ 朝鮮國王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장릉지 [ 莊陵誌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단종복위운동 () [ 端宗復位運動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생육신 () [ 生六臣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단종실록 [ 端宗實錄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정순왕후 [ 定順王后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장릉 (단종) [ 莊陵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금성대군 [ 錦城大君 ]

RT (관련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사육신 () [ 死六臣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단종태실지 [ 端宗胎室址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세조 (1455-1468) [ 世祖 ]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문종 (1450-1452) [ 文宗 ]

R5:물리적

Relative_1 (친인척)

모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현덕왕후 [ 顯德王后 ]

Relative_1 (친인척)

조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권전 [ 權專 ]

濯纓 金馹孫의 詩文學 小考

A Study on the Poetic Literature of Tak-yeong Kim Yilson

韓國古典硏究 | 25 | 2012 | 고전산문

순흥 錦城壇 관련 詩文에 나타난 충절의식

A Study on the Poetry of a single-hearted devotion to King Danjong on related Sunheng Kemseongdan

한국사상과 문화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奈城誌」의 공간과 기억의 재구성

The space of and the reconstitution of the memory

민족문학사연구 | 49 | 2012 | 한국어와문학

濯纓 金馹孫의 詩文學 小考

A Study on the Poetic Literature of Tak-yeong Kim Yilson

韓國古典硏究 | 25 | 2012 | 고전산문

「奈城誌」의 공간과 기억의 재구성

The space of and the reconstitution of the memory

민족문학사연구 | 49 | 2012 | 한국어와문학

18세기 ‘단종제신’ 포장의 확대와 ‘生六臣’의 성립

Honoring(褒獎) the Loyal Vassals of King Danjong(‘端宗諸臣’), and new management of their history, in the 18th century-Examination of the ‘6 loyal vassals who survived(生六臣)’

역사문화연구 | 36 | 2010 | 역사학

18세기 ‘단종제신’ 포장의 확대와 ‘生六臣’의 성립

Honoring(褒獎) the Loyal Vassals of King Danjong(‘端宗諸臣’), and new management of their history, in the 18th century-Examination of the ‘6 loyal vassals who survived(生六臣)’

역사문화연구 | | 36 | 2010 | 역사학

18세기 ‘단종제신’ 포장의 확대와 ‘生六臣’의 성립

Honoring(褒獎) the Loyal Vassals of King Danjong(‘端宗諸臣’), and new management of their history, in the 18th century-Examination of the ‘6 loyal vassals who survived(生六臣)’

역사문화연구 | 36 | 2010 | 역사학

18세기 ‘단종제신’ 포장의 확대와 ‘生六臣’의 성립

Honoring(褒獎) the Loyal Vassals of King Danjong(‘端宗諸臣’), and new management of their history, in the 18th century-Examination of the ‘6 loyal vassals who survived(生六臣)’

역사문화연구 | | 36 | 2010 | 역사학

조선 단종의 가봉태실에 대한 문헌·고고학적 검토

A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Study on Gabong Taesil of King Dangjong in Joseon

문화재 | 45 | 3 | 2012 | 역사학

단종충신 追復 논의와 세조의 사육신 인식

The discussions about reinstatement and posthumous honoring of King Danjong's royal subjects and the change of King Sejo's perception of Sayuksin

사학연구 | 98 | 2010 | 역사학

단종충신 追復 논의와 세조의 사육신 인식

The discussions about reinstatement and posthumous honoring of King Danjong's royal subjects and the change of King Sejo's perception of Sayuksin

사학연구 | | 98 | 2010 | 역사학

세종대~단종대의 정치 변동과 풍수지리-풍수가 목효지의 사례를 중심으로-

Political fluctuation and influence of feng shui theory from the stage of Se-jong(世宗) to that of Dan-jong(端宗)-Through feng shui expert Mok-hyo-Ji(睦孝智)’s case-

역사민속학 | 36 | 2011 | 역사학

세종대~단종대의 정치 변동과 풍수지리-풍수가 목효지의 사례를 중심으로-

Political fluctuation and influence of feng shui theory from the stage of Se-jong(世宗) to that of Dan-jong(端宗)-Through feng shui expert Mok-hyo-Ji(睦孝智)’s case-

역사민속학 | 36 | 2011 | 역사학

조선후기 단종 복위와 충신 현창

Danjong's reinstatement in the Joseon dynasty's latter half period, and honoring of loyal vassals

사학연구 | 98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단종 복위와 충신 현창

Danjong's reinstatement in the Joseon dynasty's latter half period, and honoring of loyal vassals

사학연구 | | 98 | 2010 | 역사학

錦城大君의 端宗復位 順興義擧

Royal Prince Geum Seong’s Reinstatement Drive in Sunheung Prefecture for King Danjong

민족문화 | 34 | 34 | 2010 | 기타인문학

錦城大君의 端宗復位 順興義擧

Royal Prince Geum Seong’s Reinstatement Drive in Sunheung Prefecture for King Danjong

민족문화 | 34 | 34 | 2010 | 기타인문학

순흥지역 단종복위의거 관련 詩文을 통해 본 선비정신 연구

A Study on the Spirit of Literati-scholars in the Poetry about a worthy Undertaking of Reinstatement on related King Danjong in Sunheng

한국사상과 문화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