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 공동체

연구분야 : B160207 사회과학 > 지리학 > 인문지리학 > 농촌지리

클래스 : 공동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0829

한자 : --共同體
영어 : village community

a01-04-06 공동체

성별

[성별구분없음]

연령

[연령구분없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부락 공동체 [ 部落共同體 ]

UF (비우선어)

 

 

촌락 공동체 [ 村落共同體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1-04-06 공동체 공동체

지역사회 () [ 地域社會 ]

R1:개념적

RT (관련어)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동답 [ 洞畓 ]

RT (관련어)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사회(종교)조직/단체

마을 위원회 [ --委員會 ]

RT (관련어)

 

 

농경 사회 [ 農耕社會 ]

RT (관련어)

 

a01-04-06 공동체 공동체

생활 공동체 [ 生活共同體 ]

RT (관련어)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사회(종교)조직/단체

마을 조직 [ --組織 ]

X: 제외

isOppositionOf (대항/억제)

 

a01-04-06 공동체 공동체

도시 공동체 [ 都市共同體 ]

전남의 누정과 그 연구 동향

A Study on Nujeong of Jeonnam and Its Research Trends

국학연구론총 | 8 | 2011 | 기타인문학

식민지 주민 동원의 유산과 변용

The Remains and Transformation of the Residents Mobilization System developed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tic Rule.

한국학논총 | 38 | 2012 | 역사이론

신자유주의적 공간재편의 맥락에서 본 구룡마을 경관에 대한 비판적 해석

The Critical Interpretation of Guryong Village Landscape in the Context of Neoliberal Spatial Reorganization

문화역사지리 | 24 | 2 | 2012 | 인문지리학

칠석마을 공동체의 지속과 변화

Continuity and Change of the Chilseok Village Community

호남학 | 50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