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제 21

연구분야 : B020402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비교정치 > 지방정치/지방자치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0929

한자 : 地方議題 二十一
영어 : Local Agenda 21

d02-02 정치/법률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y05-03 정책(제도)명 정책(제도)명

의제 21 [ 議題 二十一 ]

RT (관련어)

 

x03-06-03 참여/중재 참여/중재

주민 참여 [ 住民 參與 ]

지방의제21 추진경험의 특성과 협력의 평가방안: 경기의제21 추진과정을 중심으로

The Peculiarity in the Process of Local Agenda 21 and the Evaluation of Collaboration: Focusing on the Process of Gyeonggi Agenda 21

국정관리연구 | 5 | 1 | 2010 | 기타행정학

지방의제21 추진경험의 특성과 협력의 평가방안: 경기의제21 추진과정을 중심으로

The Peculiarity in the Process of Local Agenda 21 and the Evaluation of Collaboration: Focusing on the Process of Gyeonggi Agenda 21

국정관리연구 | 5 | 1 | 2010 | 기타행정학

녹색성장 프로그램의 성공요인 연구

A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Green Growth Program

환경정책 | 18 | 1 | 2010 | 정책학

녹색성장 프로그램의 성공요인 연구

A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Green Growth Program

환경정책 | 18 | 1 | 2010 | 정책학

덴마크의 지방의제21 추진과정 분석: 한국과의 비교와 함의

An Analysis on the Promoting Process of Local Agenda 21 - Implication Compared with Korea’s Case-

한국비교정부학보 | 16 | 2 | 2012 | 행정학

환경거버넌스 체제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 지방의제21 추진기구 구성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s of Environmental Governance System : Focused on Members' Perception of Local Agenda 21 Organizations

지방정부연구 | 16 | 1 | 2012 | 행정학

영국과 독일의 지방의제21 추진과정 비교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Promoting Processes of Local Agenda 21 in UK and Germany

한국비교정부학보 | 15 | 3 | 2011 | 행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