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인 커뮤니케이션

연구분야 : B190504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커뮤니케이션학 > 대인/미시커뮤니케이션

클래스 : 교환/교류/교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1036

STNet ID : 9006021

한자 : 對人--
영어 : interpersonal communication

x03-06-02 교환/교류/교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x03-06-02 교환/교류/교제 교환/교류/교제

의사소통 () [ 意思疏通 ]

R1:개념적

hasPhenomenon (현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자기 연출 [ 自己演出 ]

RT (관련어)

 

x03-06-05 역(대립/논쟁/투쟁) 역(대립/논쟁/투쟁)

대인 관계 () [ 對人關係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x03-06-02 교환/교류/교제 교환/교류/교제

의료 커뮤니케이션 [ 醫療-- ]

이주 소수자의 미디어 이용, 대인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적대적 지각: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적 적응에 대한 탐색

Immigrant Minorities’ Media Use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Hostile Perceptions: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한국언론학보 | 56 | 4 | 2012 | 신문방송학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ss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Risk to Youth Unemployment

언론과학연구 | 11 | 3 | 2011 | 신문방송학

청소년의 커뮤니케이션 이용 유형이 이들의 정치사회적 의식과 참여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Use of Media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by Adolescents on Their Political Perceptions and Participation

한국청소년연구 | 23 | 2 | 2012 | 기타사회과학

사회 자본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사후 장기 기증 의도에 미치는 영향: 계획된 행동 이론의 적용 및 확장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n the Posthumous Organ Donation Intentions: Application and Expans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한국언론학보 | 54 | 6 | 2010 | 신문방송학

사회 자본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사후 장기 기증 의도에 미치는 영향: 계획된 행동 이론의 적용 및 확장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n the Posthumous Organ Donation Intentions: Application and Expans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한국언론학보 | 54 | 6 | 2010 | 신문방송학

대학생의 문제성 음주의도 및 예방요인에 관한 연구:계획된 행동이론, 관여도, 대인커뮤니케이션 의도를 중심으로

Examining College Students’ Problem Drinking Intention and Problem Drinking Preventing Factors:Focusing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volvement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한국언론학보 | 56 | 2 | 2012 | 신문방송학

미디어와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남성 화장품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a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n Intentions for Purchasing Men's Cosmetics

한국소통학보 | 18 | 2012 | 휴먼커뮤니케이션

이주민의 대인커뮤니케이션 및 미디어 이용이 한국사회의 가치(value)에 대한 인식 및 한국사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Korean Media Consumption on the Perception of Korean Values and on the Attitude Toward Korea among Immigrants and Sojourners in Korea

한국언론학보 | 55 | 6 | 2011 | 신문방송학

이주노동자의 대인 커뮤니케이션 및 미디어 이용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Korean Media Consumption on Acculturative Stress Among Migrants Workers in Korea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 13 | 1 | 2012 | 신문방송학

커뮤니케이션 채널이 원자력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비개인적 영향가설 검증

Effects of Communication Channels on Nuclear Risk Perception: Testing Impersonal Impact Hypothesis

한국언론학보 | 55 | 6 | 2011 | 신문방송학

30대 여성과 4,50대 중장년 여성의 유방암 검진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암 예방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중심으로

Examining factors affecting young and middle age women‘s breast cancer screen intention : focusing on cancer communication channel

언론과학연구 | 11 | 4 | 2011 | 신문방송학

대인커뮤니케이션 유형별 대중매체 이용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비교

The Effect of Mass Media Use by Different Type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n Social Capit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s Moderating Variable

한국언론학보 | 54 | 6 | 2010 | 신문방송학

대인커뮤니케이션 유형별 대중매체 이용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비교

The Effect of Mass Media Use by Different Type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n Social Capit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s Moderating Variable

한국언론학보 | 54 | 6 | 2010 | 신문방송학

対人コミュニケーションにおける対人緩衝機能への拡張 -「ていうか」「とか」「なんか」「みたい(な)」の類似機能を中心に-

대인커뮤니케이션에서의 대인완충기능으로의 확장 -「ていうか」「とか」「なんか」「みたい(な)」의 유사기능을 중심으로-

일본어학연구 | 34 | 2012 | 일본어와문학

초등학교에서 미술교육을 통한 대인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방안 - 미디어생태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Teaching Methods through Arts Education for the activation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 Elementary School: Mainly in The Media Eecology Perspective

미술교육논총 | 25 | 2 | 2011 | 미술

대인커뮤니케이션 매체 적합성 인식의 매체 간 비교연구

The meta-research on the appropriateness perception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media

언론과학연구 | 10 | 4 | 2010 | 신문방송학

대인커뮤니케이션 매체 적합성 인식의 매체 간 비교연구

The meta-research on the appropriateness perception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media

언론과학연구 | 10 | 4 | 2010 | 신문방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