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 국가

연구분야 : B090100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사회복지학일반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1167

STNet ID : 9006069

한자 : 福祉國家
영어 : Welfare State

d02-01 사회제도

목적_t

국민전체의 복지 증진과 확보 및 행복 추구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사회 복지 국가 [ 社會福祉國家 ]

UF (비우선어)

 

 

복리 국가 [ 福利國家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국가 () [ 國家 ]

N1:종류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잔여주의적 복지국가 () [ 殘餘注意的福祉國家 ]

hasKind (종류)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유럽 복지 국가 [ --福祉國家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현대적 복지국가 () [ 現代的福祉國家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자유주의적 복지국가 () [ 自由主義的福祉國家 ]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고전적 복지국가 () [ 古典的福祉國家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보수주의적 복지국가 () [ 保守主義的福祉國家 ]

R1:개념적

affects (영향)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경제 윤리 교육 [ 經濟倫理敎育 ]

hasIssue (이슈/주제)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복지제도 [ 福祉制度 ]

hasIssue (이슈/주제)

 

C03 현상/이슈 현상/이슈

사회 문제 [ 社會問題 ]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x03-06-01 통합/결합/제휴 통합/결합/제휴

복지 동맹 [ 福祉 同盟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복지 행정 [ 福祉 行政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사회 복지 () [ 社會福祉 ]

RT (관련어)

 

 

복지 국가 체제 [ 福祉國家體制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복지 자본주의 () [ 福祉資本主義 ]

RT (관련어)

 

 

복지 국가 위기 [ 福祉國家危機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문화 국가 () [ 文化國家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복지 사회 [ 福祉社會 ]

RT (관련어)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포괄적 안보 [ 包括的 安保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공공 복리 [ 公共福利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사회 정책 [ 社會政策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사회 보장 [ 社會保障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복지 정치 [ 福祉政治 ]

노르웨이 에너지 자원정책과 지속발전전략: 북해모델에 관한 연구

Energy Resource Policy and Sustainable Develipment Strategy in Norway: A Study on the North Sea Model

EU학 연구 | 16 | 2 | 2011 | 경제학

미국의 경제적 불평등과 빈곤

Economic Inequality and Poverty in American Society

미국사연구 | 32 | 2010 | 역사학

미국의 경제적 불평등과 빈곤

Economic Inequality and Poverty in American Society

미국사연구 | 32 | | 2010 | 역사학

박정희정권하 사회개발 전략과 쟁점

The Strategies of Social Development during the Pak Chŏnghŭi Government and Related Conflicts

韓國史學報 | 38 | 2010 | 역사학

박정희정권하 사회개발 전략과 쟁점

The Strategies of Social Development during the Pak Chŏnghŭi Government and Related Conflicts

韓國史學報 | | 38 | 2010 | 역사학

가족정책, 복지국가의 새로운 역할 : 보편성과 다양성에 대한 요구

Family Policy and Emerging Role of Welfare State in Post-industiral Society

한국가족복지학 | 33 | 2011 | 사회복지학

복지국가 조세체제의 변화: 복지국가는 어떻게 조세규모를 확대했을까?

The Change of the tax structure in welfare states: Income tax, consumption tax, and tax expenditure

한국사회복지행정학 | 14 | 1 | 2012 | 사회복지학

서구 자유시장론과 복지국가론에 대한 공맹과 사마천의 무위시장 이념과 양민철학의 영향 공자주의 경제·복지철학의 보편성과 미래적 함의에 관한 비교철학적 탐색

The Influence of Confucius’s, Mencius’s and Sima Quian’s Philosophy of Wuwei(compulsion-free) Market and Yangmin(Maintaining and Enriching the People) on the Western Theory of Free Market and Welfare State

한국학 | 35 | 2 | 2012 | 기타인문학

개발국가, 복지국가, 위험가족: 한국의 개발자유주의와 사회재생산 위기

Developmental State, Welfare State, Risk Family: Developmental Liberalism and Social Reproduction Crisis in South Korea

한국사회정책 | 18 | 3 | 2011 | 의료/복지/사회정책

신 사회위험에 대한 지역사회의 인식태도와 대응기제

New Social Risks and Local Community : Welfare Attitude and Social Service Governance

GRI연구논총 | 13 | 3 | 2011 |

조세구조의 정치경제학 :한국 조세구조의 정치적 역설

The Political Economy of Tax Structure : The Political Paradox of Korean Tax Structure

한국정치학회보 | 44 | 4 | 2010 | 정치외교학

조세구조의 정치경제학 :한국 조세구조의 정치적 역설

The Political Economy of Tax Structure : The Political Paradox of Korean Tax Structure

한국정치학회보 | 44 | 4 | 2010 | 정치외교학

미국의 소수인종 통합정책 탐색: 교육, 복지, 언어정책을 중심으로

Education, Welfare, and Language Policies for Integrating Minorities in the United States

한국정책연구 | 10 | 1 | 2010 | 기타행정학

미국의 소수인종 통합정책 탐색: 교육, 복지, 언어정책을 중심으로

Education, Welfare, and Language Policies for Integrating Minorities in the United States

한국정책연구 | 10 | 1 | 2010 | 기타행정학

정당, 선거와 복지국가: 이론과 선진민주주의 국가의 경험

Parties, Election, and the Welfare State: Theories and Experiences of Advanced Democracies

의정연구 | 17 | 3 | 2011 | 정치외교학

대안적 발전론에서 ‘인간중심’ 담론에 대한 정치철학적 검토 : 센과 롤스를 중심으로

A Political and Philosophical Investigation on the ‘Humane Framework’ Discourses : Focusing on Amartya Sen and John Rawls

민주주의와 인권 | 10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대안적 발전론에서 ‘인간중심’ 담론에 대한 정치철학적 검토 : 센과 롤스를 중심으로

A Political and Philosophical Investigation on the ‘Humane Framework’ Discourses : Focusing on Amartya Sen and John Rawls

민주주의와 인권 | 10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한국 의료보험제도 일원화 개혁에 대한 계급동맹론적 설명

Class Alliance Approach to the Unification Reform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in Korea

사회보장연구 | 26 | 4 | 2010 | 사회복지학

한국 의료보험제도 일원화 개혁에 대한 계급동맹론적 설명

Class Alliance Approach to the Unification Reform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in Korea

사회보장연구 | 26 | 4 | 2010 | 사회복지학

보편주의를 둘러싼 주요쟁점 - 보편주의 복지정책을 위한 시론 -

The Essence of Universalism in Welfare Policy - The Issue of Universalism -

한국사회복지학 | 63 | 2 | 2011 | 사회복지학

비정규직 여성노동자의 사회권을 통해 본 한국의 젠더체제

The social rights of female non-regular workers and the gender regime in Korea

사회보장연구 | 26 | 1 | 2010 | 사회복지학

비정규직 여성노동자의 사회권을 통해 본 한국의 젠더체제

The social rights of female non-regular workers and the gender regime in Korea

사회보장연구 | 26 | 1 | 2010 | 사회복지학

영국 산재보험의 형성과 노동정치의 역할에 관한 연구

Formation of Welfare State and Labour Politics in Britain Focusing on National Insurance (Industrial Injuries) Act 1946

노동정책연구 | 12 | 1 | 2012 | 사회과학일반

한국 민주주의의 그늘과 사회통합의 제고: 정치사회학적 시각

Shadows of Democracy and Growth of Social Integration in Korea: A Perspective of Political Sociology

한국과 국제정치 | 27 | 2 | 2011 | 정치외교학

노동정치 유형과 민주주의 진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영국, 스웨덴의 비교 고찰 및 한국에 대한 함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tterns of Labour Politics and the Progress of Democracy: centered on the comparative examination of the cases Britain and Sweden and the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기억과 전망 | 22 | 2010 | 사회학

노동정치 유형과 민주주의 진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영국, 스웨덴의 비교 고찰 및 한국에 대한 함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tterns of Labour Politics and the Progress of Democracy: centered on the comparative examination of the cases Britain and Sweden and the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기억과 전망 | | 22 | 2010 | 사회학

한국의 특수성과 다문화 정책

'Korean Specialities' and Multicultural Policy

국제관계연구 | 17 | 1 | 2012 | 정치외교학

노르딕 사민주의의 이론적 이해

Theories of Nordic Social Democracy

통일연구 | 15 | 1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국가경제정책에 대한 유럽 주요 국가별 인식 비교 - 사회인구학적·정치의식 특성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Perception of National Economic Policy Among UK, France, Sweden and Czech

유럽사회문화 | 1 | 2011 | 기타인문학

복지국가와 시민사회 : 제도의존을 넘어서

Welfare State and Civil Society : Beyond the Institution Dependence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 30 | 2012 | 사회복지조사/분석

조소앙의 삼균주의와 헌법사상

“Principle of Three Equalities” (Samgyunjuyi), Thought of So-Ang Cho and Constitutional Ideas of Korea

민주법학 | 48 | 2012 | 법학

선진국의 아동 및 노령층 빈곤율 격차의 원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1980-2005년 기간을 중심으로

A Study on Determinant Factor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ild Poverty Rate and the Elderly Poverty Rate in Advanced Industrial Democracies During the Period 1980-2005

현대사회와 행정 | 21 | 3 | 2011 | 사회과학일반

정당의 복지정책 변동과 정당정치적 요인의 영향: 1980-2010년 유럽연합 15개국 정당의 사례

Partisan Politics Effect on Parties' Welfare Policy Shifts in 15 EU States

정치·정보연구 | 15 | 1 | 2012 | 정치외교학

민주주주의, 법치국가, 복지국가의 친화성: 사회보장법에 의회유보(Parlamentsvorbehalt)원칙의 적용과 사회보장제도 발달과의 관계- 한국과 독일비교

Affinity between Democracy, Rule of Law and Welfare State: Application of the Parlamentsvorbehalt to the Social Security Act and its Rel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Security Programs: Compare Korea and Germany

한국사회정책 | 17 | 3 | 2010 | 의료/복지/사회정책

민주주주의, 법치국가, 복지국가의 친화성: 사회보장법에 의회유보(Parlamentsvorbehalt)원칙의 적용과 사회보장제도 발달과의 관계- 한국과 독일비교

Affinity between Democracy, Rule of Law and Welfare State: Application of the Parlamentsvorbehalt to the Social Security Act and its Rel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Security Programs: Compare Korea and Germany

한국사회정책 | 17 | 3 | 2010 | 의료/복지/사회정책

사회지출의 자동안정화기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utomatic Stabilizers of Social Expenditures

경제발전연구 | 17 | 1 | 2011 | 경제학

한국의 사회적 위험 관리전략과 거버넌스

Social Risk Management and Governance in Korea

정부학연구 | 17 | 2 | 2011 | 행정학

누가 집권하는가는 중요한가? 정부당파성, 복지국가, 그리고 자본주의의 다양성

Does Who Governs Matter? Government Partisanship, Welfare States, and Varieties of Capitalism

한국정치학회보 | 44 | 1 | 2010 | 정치외교학

누가 집권하는가는 중요한가? 정부당파성, 복지국가, 그리고 자본주의의 다양성

Does Who Governs Matter? Government Partisanship, Welfare States, and Varieties of Capitalism

한국정치학회보 | 44 | 1 | 2010 | 정치외교학

무상급식논쟁을 통해본 보수의 담론ㆍ진보의 담론: 신문 미디어의 프레이밍 분석을 중심으로

The Argument presented by th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seen through Controversy over the Free Elementary School Meal Project: Centering on the Framing of the Newspaper Media

한국정치학회보 | 45 | 2 | 2011 | 정치외교학

다문화사회와 복지국가 발달의 관계에 관한 연구: Fuzzy-set 질적 비교분석을 이용하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Society and Welfare States: Using a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한국공공관리학보 | 26 | 2 | 2012 | 사회과학

Globalization and Welfare State in the East Asian Developing Countries: A Comparative Study of South Korea and Taiwan

동아시아 개발국에서의 세계화와 복지국가: 한국과 대만에 관한 비교 연구

21세기정치학회보 | 21 | 2 | 2011 | 정치외교학

복지국가 스웨덴과 개신교 디아코니아 관련성 연구

Research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wedish Welfare State and the Diaconia of the Protestant Church

신학과 실천 | 32 | 2012 | 기독교신학

David Hume’s Insight into Responsibility and the Welfare State

데이비드 흄의 책임성에 대한 통찰과 복지국가

정치사상연구 | 18 | 1 | 2012 | 정치외교학

Responsibility and Politics

책임과 정치

한국정치학회보 | 45 | 6 | 2011 | 정치외교학

위험 관리자로서의 복지국가: 사회적 위험에 대한 이론적 이해

Welfare State as a Risk Manager: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Social Risks

정부학연구 | 17 | 2 | 2011 | 행정학

오페의 복지국가이론과 복지국가 성격 논쟁

Claus Offe’s Welfare State Theory and Korean Welfare State Debate

경제와 사회 | 93 | 2012 | 사회학

동유럽의 복지국가 개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elfare state reform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유럽연구 | 29 | 2 | 2011 | 지역학

보수주의 복지국가들의 가족정책적 경로의존성에 대한 연구 - 독일과 스위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ath Dependancy of Family Policies in Conservative Welfare States - focused on Germany and Switzerland

한독사회과학논총 | 21 | 2 | 2011 | 지역학

복지국가 관점에서 바라본 교육복지우선지원 사업정책 분석 -Esping-Andersen의 복지국가 유형 분류를 중심으로-

Analysis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in a Broader Sense of The Prospective Welfare-State -Focusing on Esping-Anderson’s Typology of Welfare-State-

한국아동복지학 | 36 | 2011 | 사회복지학

Multicultural Challenges and the Recession of the Welfare State: The British Case in the 1940s-1960s

유럽연구 | 29 | 1 | 2011 | 지역학

OECD 국가들의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른 노인복지지출의 수렴현상에 관한 분석

A Convergence Analysis in Social Expenditure for Old Age in twenty Countries of OECD from 1980 to 2005: the impact of demographic change on the social expenditure for old age

사회보장연구 | 26 | 1 | 2010 | 사회복지학

OECD 국가들의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른 노인복지지출의 수렴현상에 관한 분석

A Convergence Analysis in Social Expenditure for Old Age in twenty Countries of OECD from 1980 to 2005: the impact of demographic change on the social expenditure for old age

사회보장연구 | 26 | 1 | 2010 | 사회복지학

한국정당의 복지정책과 선거

Political Parties, Elections, and Welfare Politics after 2010 in South Korea

의정연구 | 17 | 3 | 2011 | 정치외교학

사회투자모델의 유형과 성과

The Effects of Social Investment and its Typology

사회복지정책 | 39 | 1 | 2012 | 사회복지학

한국의 사회복지정책을 다시 생각한다 : 복지국가에 대한 신화와 진실, 그리고 나아갈 방향

Rethinking Social Welfare Policy in Korea : Myth, Truth and Desirable Course about Welfare State

평화학연구 | 13 | 1 | 2012 | 정치외교학

복지국가의 변화 측정을 위한 새로운 시도

Exploratory Measuring the Welfare State Change

한국사회복지학 | 62 | 1 | 2010 | 사회복지학

복지국가의 변화 측정을 위한 새로운 시도

Exploratory Measuring the Welfare State Change

한국사회복지학 | 62 | 1 | 2010 | 사회복지학

서구 복지국가에서의 ‘일과 가족 양립’ 문제: 여성 고용률과 아동케어를 중심으로

The Problem of ‘Work-Family Balance’ in European Welfare States: Focusing on the Women’s Employment and Child Care

사회복지정책 | 37 | 1 | 2010 | 사회복지학

서구 복지국가에서의 ‘일과 가족 양립’ 문제: 여성 고용률과 아동케어를 중심으로

The Problem of ‘Work-Family Balance’ in European Welfare States: Focusing on the Women’s Employment and Child Care

사회복지정책 | 37 | 1 | 2010 | 사회복지학

복지국가의 변화에 대한 이념형 분석 : 신사회위험의 등장과 사회투자전략의 모색

Ideal Type Analysis on the Welfare State Change : Capturing the New Social Risks and the Social Investment Strategies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 25 | 2010 | 사회복지조사/분석

복지국가의 변화에 대한 이념형 분석 : 신사회위험의 등장과 사회투자전략의 모색

Ideal Type Analysis on the Welfare State Change : Capturing the New Social Risks and the Social Investment Strategies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 25 | | 2010 | 사회복지조사/분석

복지국가 조세체계의 구조화

Structures of Tax System in 12 Welfare States

사회복지정책 | 38 | 4 | 2011 | 사회복지학

복지국가의 변화과정과 전략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Welfare State Changes and Strategies

한국사회정책 | 18 | 3 | 2011 | 의료/복지/사회정책

복지국가의 가족정책이 성역할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 분석

The role of family policy in explaining gender role attitudes: a comparative multi-level analysis of welfare states

사회보장연구 | 28 | 2 | 2012 | 사회복지학

세계경제위기와 남유럽복지모델의 상관성: 이탈리아와 스페인의 복지정책을 중심으로

The Changing Aspects of Welfare Policies Caused by the World Economic Crisis - Concentrating on the Southern European Model

유럽연구 | 29 | 3 | 2011 | 지역학

유럽 복지국가에서의 비정형적(atypical) 고용 - 현황과 대응

The 'Atypical' Employment in European Welfare States -Situations and Policy Responses

EU연구 | 30 | 2012 | 지역학

독일 복지국가의 변화와 정당정치

The Change of German Welfare State and Party Politics

한독사회과학논총 | 22 | 3 | 2012 | 지역학

유가의 복지: 유형, 이념, 실천

儒家福祉:類型, 理念, 實踐

철학논총 | 69 | 4 | 2012 | 철학

복지제도에 대한 영국인들의 태도 변화, 1983-2010 ―실업을 중심으로―

Changes in British attitudes towards unemployment benefits and other welfare programs, 1983-2010

영국연구 | 27 | 2012 | 역사학

복지국가와 금융: 연금제도를 중심으로

Welfare-States and Finance: Focusing on Pension Fund

법과사회 | 40 | 2011 | 법학

복지국가 위기의 제약요인으로서 정부간 관계의 정치 -캐나다의 경우-

The Politics of Intergovernmental Relations as Constraints of the Welfare State Crisis - In the Case of Canada -

한국거버넌스학회보 | 18 | 2 | 2011 | 행정학

지속가능성과 복지국가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Welfare State

법학연구 | 22 | 2 | 2012 | 기타법학

복지와 경제성장간의 실증적 분석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Analysis of Welfare and Economic Growth :Using Latent Growth Model

지방정부연구 | 15 | 3 | 2011 | 행정학

119구급대의 환자 이송 단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atient-transfer Step in 119 Emergency Aid Team

Crisisonomy | 6 | 4 | 2010 | 정책학일반

119구급대의 환자 이송 단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atient-transfer Step in 119 Emergency Aid Team

Crisisonomy | 6 | 4 | 2010 | 정책학일반

복지국가발전에서 정당 이데올로기의 역할에 대한 재조명 - 정치구조와의 역학관계를 중심으로 -

Rethinking the Role of Political Ideology in the Welfare State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a Political Structure

한국정책학회보 | 20 | 3 | 2011 | 정책학

金大中政府の社会保障改革の評価をめぐって

김대중 정부의 사회보장 개혁에 대한 평가

GRI연구논총 | 12 | 2 | 2010 |

金大中政府の社会保障改革の評価をめぐって

김대중 정부의 사회보장 개혁에 대한 평가

GRI연구논총 | 12 | 2 | 2010 |

한국의 低福祉 현상: 실상과 배경

The Poor Welfare State in Korea: Realities and Background

경제발전연구 | 16 | 2 | 2010 | 경제학

한국의 低福祉 현상: 실상과 배경

The Poor Welfare State in Korea: Realities and Background

경제발전연구 | 16 | 2 | 2010 | 경제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