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주권

연구분야 : B130201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헌법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1206

STNet ID : 1001476

한자 : 國民主權
영어 : popular sovereignty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affects (영향)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선거의 자유 [ 選擧--自由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민주 공화국 [ 民主 共和國 ]

박정희 시기의 헌법 정신과 내용의 해석―절차, 조항, 개념, 의미를 중심으로

Interpreting Constitutional Principles, Articles, and Practice under the Park Chung-Hee Era

역사비평 | 96 | 2011 | 역사학

자연법과 역사 - 존 로크 법철학의 양면성?

Naturrecht und Geschichte-Zwiespältigkeit der Rechtsphilosophie von Locke?

강원법학 | 34 | 2011 | 기타법학

조소앙의 <대한독립선언서>의 법사상

The Legal Thought of “The Kore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So-Ang Cho

법철학연구 | 14 | 3 | 2011 | 법학

정보사회 민주주의의 이론적 재검토 ― 직접민주제 구현 vs. 대의민주제 보완 ―

Democracy in the Information Society: A Polemic Review between Prototype and Transformation

미국헌법연구 | 21 | 3 | 2010 | 헌법

정보사회 민주주의의 이론적 재검토 ― 직접민주제 구현 vs. 대의민주제 보완 ―

Democracy in the Information Society: A Polemic Review between Prototype and Transformation

미국헌법연구 | 21 | 3 | 2010 | 헌법

권력분립의 역사적 전개에 관한 연구 - 현대적 권력분립의 새로운 변화 추이를 중심으로 -

Eine Untersuchung über die historische Entwicklung der Gewaltenteilung -neue Wandlungstendenz der heutigen Gewaltenteilung-

고려법학 | 58 | 2010 | 법학

권력분립의 역사적 전개에 관한 연구 - 현대적 권력분립의 새로운 변화 추이를 중심으로 -

Eine Untersuchung über die historische Entwicklung der Gewaltenteilung -neue Wandlungstendenz der heutigen Gewaltenteilung-

고려법학 | | 58 | 2010 | 법학

주권과 인민주권: 라캉과 함께 아감벤을

Sovereignty and Popular sovereignty: G. Agamben with J. Lacan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 19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주민주권론과 지방자치의 발전

Residents Sovereignty and Development of Local Autonomy

지방행정연구 | 26 | 1 | 2012 | 행정학

국민주권을 통치권의 정당화원리로 보는 것에 대한 비판

Criticism on Seeing the Popular Sovereignty as a Principle to Justify the Government Power

헌법학연구 | 17 | 1 | 2011 | 헌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