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확산

연구분야 : B020506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 > 외교/안보/통일

클래스 : 강화(증가/확장/신장)
정치/국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1317

한자 : 核擴散
영어 : nuclear proliferation

b02-02 강화(증가/확장/신장)

행위대상(자)1

핵무기 (核武器)

c03-05 정치/국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핵무기 확산 [ 核武器擴散 ]

R1:개념적

affects (영향)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사회(종교)조직/단체

핵무기 보유국 [ 核保有國 ]

isAffectedBy (영향요인)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핵무기 개발 [ 核武器開發 ]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b02-01 완화(감소/축소/쇠퇴) 완화(감소/축소/쇠퇴)
b02-01 완화(감소/축소/쇠퇴) /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핵군축 [ 核軍縮 ]

hasOpposition (대항/억제)

 

y05-02 조약/협약 조약/협약

핵무기의 비확산에 관한 조약 () [ 核武器--非擴散--關--條約 ]

신현실주의 관점에서 본 북한의 핵정책 고찰(1945~2009)

A Study on North Korea's Nuclear Policy from A Neorealist Perspective (1945~2009)

국제정치논총 | 52 | 3 | 2012 | 정치외교학

러시아와 미국의 핵전략 관계와 핵확산방지체제에서의 함의

중소연구 | 33 | 4 | 2010 | 사회과학

러시아와 미국의 핵전략 관계와 핵확산방지체제에서의 함의

중소연구 | 33 | 4 | 2010 | 사회과학

미국의 위기외교와 동아시아정책

US crisis diplomacy and its foreign policy on East Asia

한국동북아논총 | 15 | 3 | 2010 | 사회과학일반

미국의 위기외교와 동아시아정책

US crisis diplomacy and its foreign policy on East Asia

한국동북아논총 | 15 | 3 | 2010 | 사회과학일반

핵폐기 사례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 사례의 함의와 한계

Nuclear Rollback: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outh Africa Case

한국과 국제정치 | 27 | 1 | 2011 | 정치외교학

핵비확산의 국제정치학과 정책대안

International Politics of Nuclear Non-Proliferation and Policy Alternatives

국가안보와 전략 | 12 | 1 | 2012 | 정치외교학

핵확산의 추세 vs. 비확산의 방책

Trend of Nuclear Proliferation vs. Measures of Non-proliferation

한국과 국제정치 | 27 | 1 | 2011 | 정치외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