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위

연구분야 : A030103 인문학 > 철학 > 철학일반 > 윤리학

클래스 : 기준/규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136

한자 : 當爲
영어 : ought to

e02-03 기준/규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졸렌 [sollen]

N1:종류

hasKind (종류)

 

 

정언적 당위 [ 定言的當爲 ]

hasKind (종류)

 

 

가언적 당위 [ 假言的當爲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C01 특성(성질) 특성(성질)

당위성 [ 當爲性 ]

RT (관련어)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규범 [ 規範 ]

한스 켈젠의 자연법 무용론에 대한 비판적 논의

A Critical Study in Hans Kelsen’s Arguments against Theory of Natural Law

철학연구 | 123 | 2012 | 철학

주희 성리학에서의 소이연과 소당연의 도덕 실재적 함의

The Real Morality of the Oughtness(所當然) and the Being(所以然) in the Zhu Xi’s NeoConfucianism

법학논총 | 34 | 1 | 2010 | 법학

주희 성리학에서의 소이연과 소당연의 도덕 실재적 함의

The Real Morality of the Oughtness(所當然) and the Being(所以然) in the Zhu Xi’s NeoConfucianism

법학논총 | 34 | 1 | 2010 | 법학

남대현의 ≪청춘송가≫ 연구 - 주인공의 의식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eongchun Songa(A hymn of youth)≫ by Nam Dae-Hyeon - Mainly concerns the changes of the protagonist's consciousness

한국언어문화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남대현의 ≪청춘송가≫ 연구 - 주인공의 의식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eongchun Songa(A hymn of youth)≫ by Nam Dae-Hyeon - Mainly concerns the changes of the protagonist's consciousness

한국언어문화 |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법의 공정성: 허구적 당위에서 실천으로

The Fairness of Law : from Fictitious Ought to Practice

법학연구 | 51 | 2 | 2010 | 기초법

법의 공정성: 허구적 당위에서 실천으로

The Fairness of Law : from Fictitious Ought to Practice

법학연구 | 51 | 2 | 2010 | 기초법

도덕과의 통일교육 연구

A Study on the Unification Education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R.O.K.

도덕윤리과교육 | 32 | 2011 | 교육학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 나타난 사실과 당위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of fact and ought in a little ball launched by a dwarf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 나타난 사실과 당위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of fact and ought in a little ball launched by a dwarf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