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법 수집 증거 배제 법칙

연구분야 : B130204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형사소송법

클래스 : 원칙/법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1482

STNet ID : 1001489

한자 : 違法收集證據排除法則

d01-02 원칙/법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위법수집증거배제 [ 違法蒐集證據排除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독수의 과실이론 [ 毒樹-- 果實理論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형사소송법 제308조의 2 [ 刑事訴訟法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증거 배제 [ 證據排除 ]

RT (관련어)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위법수집증거 [ 違法收集證據 ]

RT (관련어)

관련제도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자백배제법칙 [ 自白排除法則 ]

RT (관련어)

관련제도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c01-04 능력/힘/에너지 /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진술 거부권 [ 陳述拒否權 ]

RT (관련어)

관련제도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c01-04 능력/힘/에너지 /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증거능력 [ 證據能力 ]

RT (관련어)

관련제도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적법 절차 () [ 適法節次 ]

RT_Y (◄관련어)

관련법칙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압수수색 [ 押收搜索 ]

2009년 형사소송법 중요 판례

A Study on Precedents for Criminal Procedure in 2009

인권과 정의 | 403 | 2010 | 법학

2009년 형사소송법 중요 판례

A Study on Precedents for Criminal Procedure in 2009

인권과 정의 | | 403 | 2010 | 법학

2011년 형사소송법 중요 판례

A study of Supreme Court Decisions on Criminal Procedure in 2011

인권과 정의 | 424 | 2012 | 법학

혈액수집과 적법절차

Blood Collection and Due Process

형사법의 신동향 | 35 | 2012 | 형법

수사절차상 긴급 압수·수색 제도와 그에 관한 개선입법론

Die de lege lata und de lege ferenda zu dringenden Beschlagnahme und Durchsuchung im Koreanischen Strafprozessrecht

경희법학 | 46 | 3 | 2011 | 비교법학

압수·수색의 목적외 유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textual Search and Seizure

중앙법학 | 12 | 2 | 2010 | 법학

압수·수색의 목적외 유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textual Search and Seizure

중앙법학 | 12 | 2 | 2010 | 법학

강제채혈의 사전·사후 영장심사 및 위법수집증거 배제법칙 관련 문제점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warrantless extraction of blood samples with respect to the search and seizure warrant and the exclusionary rule

사법 | 1 | 20 | 2012 | 법정책학

영장에 의한 압수수색의 위법 및 증거능력에 관한 고찰

a study on illegality and admisssibility of evidence of search and seizure pursuant to warrant

형사법의 신동향 | 32 | 2011 | 형법

형사소송법상 압수수색 관련 규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Consideration of the Provisions Related to Seizure and Search in the Criminal Procedure Law

서울법학 | 19 | 1 | 2011 | 법학

압수수색 대상의 특정성에 관한 비판적 검토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Particularity of the Object of Seizure and Search

성균관법학 | 22 | 3 | 2010 | 법학

압수수색 대상의 특정성에 관한 비판적 검토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Particularity of the Object of Seizure and Search

성균관법학 | 22 | 3 | 2010 | 법학

2010년 형사소송법 중요 판례

A study of Supreme Court Decisions on Criminal Procedure in 2010

인권과 정의 | 415 | 2011 | 법학

자백배제법칙의 근거와 임의성의 판단 - 위법배제설의 관점에서 본 형사소송법 제309조의 의미 재검토 -

The Rationale of the Confession Rule and the Voluntariness

외법논집 | 35 | 3 | 2011 | 법학

수사방법으로서 사진촬영의 형사소송법적 쟁점 - 서울중앙지방법원 2012.2.23. 선고 2011고합1131 판결의 평석을 겸하여

A Study on Photograph-taking as a way of Investigation

민주법학 | 49 | 2012 | 법학

압수·수색영장 집행단계에서의 문제점 검토

Examination of the problem at the stage of Enforcing Search and Seizure Warrant

경찰학연구 | 10 | 3 | 2010 | 법학

압수·수색영장 집행단계에서의 문제점 검토

Examination of the problem at the stage of Enforcing Search and Seizure Warrant

경찰학연구 | 10 | 3 | 2010 | 법학

진술거부권불고지와 증거의 증거능력 - 대법원 2009. 3. 12. 선고 2008도11437 판결 -

A Study on no Notification of Right of Statement Veto and Admissibility of evidence

법학논총 | 18 | 3 | 2011 | 비교법학

진술거부권 불고지에 대한 소송법적 문제

The Gloomy Reality of Miranda Warning and Exclusionary Rule in Korea

형사법연구 | 22 | 1 | 2010 | 법학

진술거부권 불고지에 대한 소송법적 문제

The Gloomy Reality of Miranda Warning and Exclusionary Rule in Korea

형사법연구 | 22 | 1 | 2010 | 법학

우리나라에서의 독수독과론의 적용에 관한 소고 - [대법원 2009.3.12. 선고 2008도11437 판결]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clusionary Rule for Evidence Obtained in Violation of the Due Process and the Exceptions of the Rule in Korea - Focused on [Supreme Court Decision 2008Do11437] and the Cases in the United States -

경희법학 | 46 | 3 | 2011 | 비교법학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의 적용기준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형사판례연구 | 18 | 2010 | 형사정책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의 적용기준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형사판례연구 | 18 | | 2010 | 형사정책

위법수집증거배제의 기준 - 대상판결 : 대법원 2009. 12. 24. 선고 2009 도 11401 판결 -

The Criteria on the Exclusion of the Illegally Obtained Evidence

저스티스 | 118 | 2010 | 기타법학

위법수집증거배제의 기준 - 대상판결 : 대법원 2009. 12. 24. 선고 2009 도 11401 판결 -

The Criteria on the Exclusion of the Illegally Obtained Evidence

저스티스 | | 118 | 2010 | 기타법학

私人이 범죄행위로 수집한 위법증거의 증거능력 - 대법원 2010. 9. 9. 선고 2008도3990 판결 -

Admissibility of Evidence Illegally Obtained by a Private Person

법학논총 | 17 | 3 | 2010 | 비교법학

私人이 범죄행위로 수집한 위법증거의 증거능력 - 대법원 2010. 9. 9. 선고 2008도3990 판결 -

Admissibility of Evidence Illegally Obtained by a Private Person

법학논총 | 17 | 3 | 2010 | 비교법학

미국의 체포․수색․압수제도의 이해 -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과 명확성 원칙의 관점에서 -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of Search and Seizure of the United States from the Perspective of Exclusionary & Bright-line Rules

경찰학연구 | 11 | 1 | 2011 | 법학

違法한 押收搜索에 의하여 蒐集된 證據의 排除에 관한 比較法的考察

A Comparative Study about the Exclusionary Rule Regarding Physical Evidence Obtained Through A Illegal Search and Seizure

형사법의 신동향 | 31 | 2011 | 형법

위법수집증거 배제기준의 정립에 관한 고찰

Die Untersuchung der Aufstellung von Kriterium für die Beweisverbote in korStPO § 308-2

저스티스 | 120 | 2010 | 기타법학

위법수집증거 배제기준의 정립에 관한 고찰

Die Untersuchung der Aufstellung von Kriterium für die Beweisverbote in korStPO § 308-2

저스티스 | | 120 | 2010 | 기타법학

위법하게 수집한 증거의 예외적 허용에 관한 소고

A Study on the Exceptionally Permissible Range of Illegally Collected Evidence

법학연구 | 15 | 1 | 2012 | 법학

위법수집 비진술증거의 증거배제에 관한 대법원 판결의 흐름과 전망

Trends and prospects of the Supreme Court on the exclusionary rule of illegally obtained non-statement evidence

아주법학 | 6 | 1 | 2012 | 법학

진술거부권 고지 없이 얻은 진술에 기초한 2차적 증거의 증거능력

Admissibility of Secondary Evidence Obtained through Statement without Miranda Warning

성균관법학 | 22 | 3 | 2010 | 법학

진술거부권 고지 없이 얻은 진술에 기초한 2차적 증거의 증거능력

Admissibility of Secondary Evidence Obtained through Statement without Miranda Warning

성균관법학 | 22 | 3 | 2010 | 법학

私人에 의한 위법수집증거의 배제범위

The exclusion sphere of the illegally obtained evidence by private person

중앙법학 | 12 | 4 | 2010 | 법학

私人에 의한 위법수집증거의 배제범위

The exclusion sphere of the illegally obtained evidence by private person

중앙법학 | 12 | 4 | 2010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