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생활

연구분야 : B089900 사회과학 > 사회학 > 기타사회학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1714

STNet ID : 1001508

한자 : 食生活
영어 : dietary life

c03-03 문화/생활

원인_t

생명의 유지 및 생체의 활동에 필요한 영양분을 섭취하기 위함.

결과_t

여러 가지 음식을 먹는 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의식주 [ 衣食住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식생활 교육 [ 食生活敎育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영양 상담 [ 營養 相談 ]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음식 문화 [ 飮食文化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e02-02 패턴 패턴

식생활 라이프 스타일 () [ 食生活-- ]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먹거리 정치 () [ --政治 ]

유가 사상으로 본 식생활 공간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in Eating Life Space From the View point of Confucianism

디자인학연구 | 24 | 4 | 2011 | 디자인

실과 식생활 영역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the Dietary life Area of Practical Arts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3 | 4 | 2010 | 교육학

실과 식생활 영역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the Dietary life Area of Practical Arts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3 | 4 | 2010 | 교육학

여성 결혼 이민자의 한국 식생활 적응요인 및 식행동 연구

Influential Factor on Korean Dietary Life and Eating Behaviour of Female Marriage Migrants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9 | 1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인의 식생활 속의 다문화 실천: 국제결혼 가정을 중심으로

Re-defining‘ Korean Cuisine’: The Dietary Lives of Internationally-Married Couples

한국문화인류학 | 45 | 2 | 2012 | 역사학

佛家의 食生活과 修行의 연관성

The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and Ascetic practices in Buddhist

대각사상 | 13 | 2010 | 불교학

佛家의 食生活과 修行의 연관성

The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and Ascetic practices in Buddhist

대각사상 | | 13 | 2010 | 불교학

식생활교육을 통한 초등학교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mentary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by Dietary Education

실과교육연구 | 18 | 1 | 2012 | 교육학

로컬푸드시스템 구축을 위한 제주도민의 식생활 현황과 먹을거리 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od-related lifestyles and food consciousness of Jeju island for establishing local food system

농촌사회 | 20 | 2 | 2010 | 사회학

로컬푸드시스템 구축을 위한 제주도민의 식생활 현황과 먹을거리 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od-related lifestyles and food consciousness of Jeju island for establishing local food system

농촌사회 | 20 | 2 | 2010 | 사회학

식생활 중심으로 한 초등학생 녹색소비자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A Development and Effects of Green Consumer Educational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Based on Dietary Field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3 | 3 | 2010 | 교육학

식생활 중심으로 한 초등학생 녹색소비자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A Development and Effects of Green Consumer Educational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Based on Dietary Field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3 | 3 | 2010 | 교육학

실과 식생활 교육내용에 대한 인천지역 초등 교사들의 요구도 분석

Needs assess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the dietary life area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3 | 2 | 2010 | 교육학

실과 식생활 교육내용에 대한 인천지역 초등 교사들의 요구도 분석

Needs assess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the dietary life area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3 | 2 | 2010 | 교육학

학교 식생활교육의 교육적 의의와 효율적 추진 방안

Educational Meanings and Effective Practical Plans of School Dietary Life Education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22 | 1 | 2010 | 교육학

학교 식생활교육의 교육적 의의와 효율적 추진 방안

Educational Meanings and Effective Practical Plans of School Dietary Life Education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22 | 1 | 2010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