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 설계 모형

연구분야 : B1203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수이론/교육방법/교수법

클래스 : 모델/모형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1881

한자 : 敎授設計模型
영어 : instructional design model

e02-01 모델/모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교수 설계 계획 [ 敎授設計計劃 ]

UF (비우선어)

 

 

교수 설계 모델 [ 敎授設計-- ]

N1:종류

hasKind (종류)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Seels와 Glasgow 모형 [ --模型 ]

hasKind (종류)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Dick과 Carey 모형 [ --模型 ]

R1:개념적

RT (관련어)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ADDIE모형 [ -模形 ]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구성주의 교수설계 [ 構成主義 敎授設計 ]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수업 설계 [ 受業設計 ]

RT (관련어)

 

 

교수 설계 이론 [ 敎授設計理論 ]

증강현실 기반 학습프로그램이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Keller의 동기설계 모형을 적용한 초등과학 학습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Effects of reality based science learning program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lementary school level's science learning program applied the Keller's ARCS model

교육의 이론과 실천 | 15 | 1 | 2010 | 교육철학/사상

증강현실 기반 학습프로그램이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Keller의 동기설계 모형을 적용한 초등과학 학습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Effects of reality based science learning program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lementary school level's science learning program applied the Keller's ARCS model

교육의 이론과 실천 | 15 | 1 | 2010 | 교육철학/사상

교수-학습 환경에서의 맥락설계 원리 및 모형 개발 연구

Developing Context Design Principles and Model for Teaching and Learning

교육정보미디어연구 | 17 | 1 | 2011 | 교육학

교과교실제 기반의 사회과 수준별 탐구학습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Differentiated Inquiry Learning in the Social Studies Subject-Matter Oriented Classroom Environment

한국교원교육연구 | 27 | 4 | 2010 | 교육학

교과교실제 기반의 사회과 수준별 탐구학습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Differentiated Inquiry Learning in the Social Studies Subject-Matter Oriented Classroom Environment

한국교원교육연구 | 27 | 4 | 2010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