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연구분야 : B101101 사회과학 > 지역학 > 동아시아 > 한국

클래스 : 도시/구/동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2325

STNet ID : 9007481

한자 : 木浦

x01-03 도시/구/동명

위치

전라남도 (全羅南道)

면적_t

47.92

인구_t

244801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지역 문화담론의 식민지적 대응양상 고찰 - 1930년대 『호남평론』의 경우

A study on the local culture discourse’s confrontation way in colonial situation. - focused on The Honam review in 193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1920~30년대 목포 노동자들의 현실과 문학적 재현

The Reality and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e Laborers from 1920s to 1930s in Mokpo —Focused on Park, Hwa-seong's novels—

국어국문학 | 154 | 2010 | 한국어와문학

1920~30년대 목포 노동자들의 현실과 문학적 재현

The Reality and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e Laborers from 1920s to 1930s in Mokpo —Focused on Park, Hwa-seong's novels—

국어국문학 | | 154 | 2010 | 한국어와문학

러일전쟁기 일본해군의 玉島 八口浦防備隊 설치와 활용

Assembly of Palgupo Coast Guard by Japanese Navy Force at Okdo during Russo-Japanese Wars and the Use

『도서문화』 | 38 | 2011 | 기타인문학

朝鮮後期~韓末 榮山江 水運과 市場

Youngsan River water transport and market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도서문화』 | 38 | 2011 | 기타인문학

해양 목포시의 상징 모티브를 이용한 생활문화상품디자인개발

A Development of Living Cultural Products Design Using Symbol of a Maritime Mokpo City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12 | 4 | 2010 | 의상

해양 목포시의 상징 모티브를 이용한 생활문화상품디자인개발

A Development of Living Cultural Products Design Using Symbol of a Maritime Mokpo City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12 | 4 | 2010 | 의상

목포의 海港性과 개항장 형성과정의 특징

The Seaport Nature of Mokpo and the Features in the Formative Process of the Opening to a Trade Port

한국민족문화 | 39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