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위기

연구분야 : B141010 사회과학 > 행정학 > 분야별행정 > 국방/안보행정
B020305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한국정치 > 북한정치/통일

클래스 : 정치/국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2484

한자 : 北核危機
영어 : North Korean nuclear crisis

c03-05 정치/국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2차 북핵 위기 () [ 二次北核危機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체제 안정성 () [ 體制安定性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6-02 정부(왕조)명 정부(왕조)명

김정일 정권 () [ 金正日政權 ]

RT (관련어)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북한 핵무기 개발 의혹 [ 北韓核武器開發疑惑 ]

RT (관련어)

 

 

북한 핵사찰 [ 北韓核査察 ]

RT (관련어)

 

y05-02 조약/협약 조약/협약

핵무기의 비확산에 관한 조약 () [ 核武器--非擴散--關--條約 ]

RT (관련어)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연성 균형 [ 延性 均衡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1차 북핵 위기 () [ 一次北核危機 ]

체계, 선거, 그리고 대통령: 무엇이 미국의 대북정책을 결정하는가?

Systems, Elections, and Presidents: What Decides U.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

한국과 국제정치 | 26 | 2 | 2010 | 정치외교학

체계, 선거, 그리고 대통령: 무엇이 미국의 대북정책을 결정하는가?

Systems, Elections, and Presidents: What Decides U.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

한국과 국제정치 | 26 | 2 | 2010 | 정치외교학

김정일-후진타오 시대의 북중관계: 불안정한 북한과 부강한 중국의 비대칭협력 강화

Sino-North Korea's Relations during Kim Jongil-Hu Jintao's Era: Asymmetric Cooperation between Unstable North Korea and Wealthy China

한국과 국제정치 | 26 | 4 | 2010 | 정치외교학

김정일-후진타오 시대의 북중관계: 불안정한 북한과 부강한 중국의 비대칭협력 강화

Sino-North Korea's Relations during Kim Jongil-Hu Jintao's Era: Asymmetric Cooperation between Unstable North Korea and Wealthy China

한국과 국제정치 | 26 | 4 | 2010 | 정치외교학

제2차 북핵위기와 미국 패권의 능력 그리고 한계

The Second North Korean Nuclear Crisis: The Capability and Limit of U.S. Hegemony

한국과 국제정치 | 28 | 2 | 2012 | 정치외교학

제9장 북한의 핵 위기 대응 전략의 특성 - 1990-1994 핵 일정 분석 -

North Korea's Strategy during 1990∼1994 Nuclear Crisis

통일전략 | 11 | 1 | 2011 | 북한정치/통일

한국의 핵비확산 외교와 원자력정책

South Korea’s Nuclear Non-proliferation Policies and the Peaceful Use of Nuclear Energy

한국과 국제정치 | 27 | 1 | 2011 | 정치외교학

한미(韓美) 언론의 북핵 위기 프레임 효과 연구1) -미디어 프레임, 수용자 프레임, 그리고 스키마를 중심으로

Framing North Korea’s nuclear crisis - Comparing the media and audiences’ frames in U.S. and South Korea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 17 | 2010 | 정치커뮤니케이션

한미(韓美) 언론의 북핵 위기 프레임 효과 연구1) -미디어 프레임, 수용자 프레임, 그리고 스키마를 중심으로

Framing North Korea’s nuclear crisis - Comparing the media and audiences’ frames in U.S. and South Korea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 | 17 | 2010 | 정치커뮤니케이션

제3차 북핵 위기와 러시아의 입장 변화

The Third North Korean Nuclear Crisis and Change of Russian Position

통일연구 | 14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제3차 북핵 위기와 러시아의 입장 변화

The Third North Korean Nuclear Crisis and Change of Russian Position

통일연구 | 14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The Limited Influence of the Kim Young-sam Government on U.S. Policy: Causes and Factors

한국동북아논총 | 15 | 3 | 2010 | 사회과학일반

The Limited Influence of the Kim Young-sam Government on U.S. Policy: Causes and Factors

한국동북아논총 | 15 | 3 | 2010 | 사회과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