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터민

연구분야 : B020305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한국정치 > 북한정치/통일

클래스 : 인간(거주상황)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2602

한자 : --民

a01-04-03 인간(거주상황)

성별

[성별구분없음]

연령

[연령구분없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탈북 [ 脫北 ]

S:전후

PT (이전명)

 

a01-04-03 인간(거주상황) 인간(거주상황)

탈북자 [ 脫北者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1-04-03 인간(거주상황) 인간(거주상황)

실향민 [ 失鄕民 ]

N1:종류

hasKind (종류)

 

a01-04-03 인간(거주상황) 인간(거주상황)

입국 초기 새터민 [ 入國初期--民 ]

hasKind (종류)

 

a01-02-02 인간(연령) 인간(연령)
a01-02-02 인간(연령) / a01-04-03 인간(거주상황) 인간(거주상황)

탈북 청소년 [ 脫北靑少年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D01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탈북자 신앙 [ 脫北者信仰 ]

hasIssue (이슈/주제)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탈북자 종교 [ 脫北者宗敎 ]

hasIssue (이슈/주제)

 

 

탈북자 적응 [ 脫北者適應 ]

hasPatient (대상자)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새터민 조력자 [ --助力者 ]

hasPatient (대상자)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하나원 [ --院 ]

hasPatient (대상자)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북한이탈주민후원회 () [ 北韓離脫住民後援會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탈북자 문제 [ 脫北者問題 ]

RT (관련어)

 

 

귀순

RT (관련어)

 

a01-04-03 인간(거주상황) 인간(거주상황)

난민 () [ 難民 ]

외국인에 대한 한국 대학생의 인식:6개 외국인 집단을 대상으로

Cognition of Korean College Students for Six Foreigner Group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 25 | 1 | 2011 | 심리과학

사회취약계층을 위한 맞춤식 경제교육 방안 -대구ㆍ경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stomized Economy Education Plans for the Lowest Social Stratum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Daegu and Geongbuk Province-

경제교육연구 | 17 | 1 | 2010 | 경제교육

사회취약계층을 위한 맞춤식 경제교육 방안 -대구ㆍ경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stomized Economy Education Plans for the Lowest Social Stratum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Daegu and Geongbuk Province-

경제교육연구 | 17 | 1 | 2010 | 경제교육

중등학교 다문화교육 교과의 활성화 방향 - 교육정책과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

Direc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Secondary Level School - Focused on of educational policy and schooling -

한국학연구 | 36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이주정책의 성격과 전망

Features of Korean Immigrant Policies

경제와 사회 | 90 | 2011 | 사회학

다문화사회와 새터민 청소년의 교육문제

Education problem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Saeteomin teenagers

윤리교육연구 | 21 | 2010 | 윤리교육학

다문화사회와 새터민 청소년의 교육문제

Education problem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Saeteomin teenagers

윤리교육연구 | | 21 | 2010 | 윤리교육학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적 약자를 위한 행정체제 : A시의 새터민 행정을 중심으로

Local Administrative System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 Focused on City A’s Administration System for Saetumin

지방행정연구 | 25 | 4 | 2011 | 행정학

북한 여성의 헤어스타일에 관한 연구 —2000년 이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Hair Style Design in North Korea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 11 | 4 | 2010 | 미용

북한 여성의 헤어스타일에 관한 연구 —2000년 이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Hair Style Design in North Korea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 11 | 4 | 2010 | 미용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질’이 지역정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아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f the Impac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North Korean Settlers on their Settlement in South Korea : the Case of Asan Si(City)

한국지방자치학회보 | 23 | 4 | 2011 | 정치외교학

북한이탈주민(새터민)의 정착장애요인 분석을 통한 정착지원 방안

North Korean Refugee Supporting Policy Based on Barrier Factor Analysis

통일문제연구 | 22 | 1 | 2010 | 정치외교학

북한이탈주민(새터민)의 정착장애요인 분석을 통한 정착지원 방안

North Korean Refugee Supporting Policy Based on Barrier Factor Analysis

통일문제연구 | 22 | 1 | 2010 | 정치외교학

새터민에 대한 지역사회주민의 사회적 지지 영향요인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ocial Support of Community Members Provided to North Korean Settlers

사회과학연구 | 22 | 2 | 2011 | 사회과학일반

새터민을 위한 교양국어 수업의 원칙과 방향

The principles and direction of Korean classes as liberal arts for North Korean defectors

교양교육연구 | 5 | 1 | 2011 | 학제간연구

새터민의 남한 사이버 교육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North Korean Defector's e-Learning Experience in South Korea

아시아교육연구 | 11 | 2 | 2010 | 교육학

새터민의 남한 사이버 교육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North Korean Defector's e-Learning Experience in South Korea

아시아교육연구 | 11 | 2 | 2010 | 교육학

새터민을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방안

A Proposal of Korean Vocabulary Education for North Korean Refugee

한국언어문화학 | 8 | 2 | 2011 | 한국어교육학

새터민의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화행 교육 방안 연구 - 거절하는 말하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eech acts for improving Speaking ability of North Korean Refugees

우리말글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새터민의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화행 교육 방안 연구 - 거절하는 말하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eech acts for improving Speaking ability of North Korean Refugees

우리말글 | 49 | | 2010 | 한국어와문학

새터민 심리적응을 위한 셀프파워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the Self-Power Program for psychologic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22 | 3 | 2010 | 심리과학

새터민 심리적응을 위한 셀프파워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the Self-Power Program for psychologic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22 | 3 | 2010 | 심리과학

새터민청소년을 위한 미술과 교육과정 연구

A Study on Art Curriculum for North Korea Refugee Young People

조형교육 | 42 | 2012 | 미술교육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정착지원정책 합리화의 함의도출을 위한 인식조사*1)

A Study on the North Korean Refugees Promote Adaption in the South Korea Society

한국정책연구 | 10 | 3 | 2010 | 기타행정학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정착지원정책 합리화의 함의도출을 위한 인식조사*1)

A Study on the North Korean Refugees Promote Adaption in the South Korea Society

한국정책연구 | 10 | 3 | 2010 | 기타행정학

새터민 여성들의 드라마 시청과 젠더 담론 수용

North-Korean Immigrant Women’s Reception of Gender Issues in Korean Television Drama

미디어, 젠더 & 문화 | 23 | 2012 | 신문방송학

북한 새터민에 대한 사회통합 방안 - 독일 사례를 바탕으로 -

Social integration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based on Germany’s example

정치·정보연구 | 13 | 1 | 2010 | 정치외교학

북한 새터민에 대한 사회통합 방안 - 독일 사례를 바탕으로 -

Social integration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based on Germany’s example

정치·정보연구 | 13 | 1 | 2010 | 정치외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