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이도

연구분야 : B101101 사회과학 > 지역학 > 동아시아 > 한국

클래스 : 대륙(반도)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2710

한자 : 牛耳島
영어 : Wooi-do

x01-01 대륙(반도)명

위치

신안군 (新安郡)

면적_t

10.704㎦

인구_t

152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우개도

UF (비우선어)

 

 

소구섬

B2:전체

isSpatiallyIncludedIn (공간적 전체)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전라남도 [ 全羅南道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귀양지 [ 歸鄕地 ]

R1:개념적

RT (관련어)

 

 

사빈해안

19세기 초 문순득의 표류경험과 그 영향

Mun Sun-deuk’s Drifting Experiences and Influences in the Early 19th Century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1 | 2010 | 역사학

19세기 초 문순득의 표류경험과 그 영향

Mun Sun-deuk’s Drifting Experiences and Influences in the Early 19th Century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1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문순득의 표류노정과 송환체제

A Study on Mun Sun-Deuk’s Drift Path and the Repatriation System during the Latter Period of Joseon

한국민족문화 | 43 | 2012 | 기타인문학

유배인 김약행의 <遊大黑記>를 통해 본 조선후기 대흑산도

Daeheuksan-do in Late Chosun through an Exile Kim Yak-Haeng's Yudaeheukgi

한국민족문화 | 36 | 2010 | 기타인문학

유배인 김약행의 <遊大黑記>를 통해 본 조선후기 대흑산도

Daeheuksan-do in Late Chosun through an Exile Kim Yak-Haeng's Yudaeheukgi

한국민족문화 | | 36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