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족 호칭어

연구분야 : B110500 사회과학 > 인류학 > 친족및혼인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2783

한자 : 親族呼稱語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자체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친족 호칭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친족 명칭 [ 親族名稱 ]

N1:종류

hasKind (종류)

 

a01-03-01 인간(친족관계) 인간(친족관계)

숙부 [ 叔父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종자명 호칭 () [ 從子名呼稱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종지명 호칭 () [ 從地名呼稱 ]

hasKind (종류)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3-01 인간(친족관계) 인간(친족관계)

외삼촌 [ 外三寸 ]

hasKind (종류)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3-01 인간(친족관계) 인간(친족관계)

친삼촌 [ 親三寸 ]

hasKind (종류)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3-01 인간(친족관계) 인간(친족관계)

아버지 () [ 父 ]

hasKind (종류)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3-01 인간(친족관계) 인간(친족관계)

숙모 [ 叔母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서방 (호칭) [ 書房 ]

hasInstance (사례)

 

 

백부 [ 伯父 ]

현대국어 호칭어의 유형과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n Modern Korean Terms of address

한국어 의미학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대국어 호칭어의 유형과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n Modern Korean Terms of address

한국어 의미학 | 33 |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 · 일 친족 호칭어 대조연구

A Contrastive Study on Appellations Kinship of Korean and Japanese

일본어문학 | 53 | 2011 | 일본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