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

연구분야 : B080600 사회과학 > 사회학 > 인구/노인/지역사회학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2795

한자 : 住居

c03-03 문화/생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주거 공간 [ 住居空間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주거 정책 [ 住居政策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주거 복지 [ 住居 保障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주거 문화 () [ 住居文化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주거 문제 [ 住居問題 ]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주거 단지 [ 住居團地 ]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거주 공간 () [ 居住空間 ]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주거 지역 [ 住居地域 ]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주거지 () [ 住居地 ]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아파트 [apartment]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주생활 [ 住生活 ]

R2:기능적

evaluatedBy (평가 방법)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주거 만족도 [ 住居滿足度 ]

evaluates (평가 대상)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주거 가치 [ 住居價値 ]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대한 고찰

Study on Social Integration of Persons with Mental Illness

한국사회 | 11 | 1 | 2010 | 사회변동/발전사회학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대한 고찰

Study on Social Integration of Persons with Mental Illness

한국사회 | 11 | 1 | 2010 | 사회변동/발전사회학

漢城百濟形成期土器遺物群의 變遷과 生産體系의 變動 –實用土器生産의 專門化에 대한 檢討–

The Specialization of Utilitarian Pottery Production in the Early State, Hanseon Baekje

한국상고사학보 | 71 | 71 | 2011 | 역사학

청년 세대, ‘집’의 의미를 묻다 : 고시원 주거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 45 | 2 | 2011 | 사회학

전통가옥 벽장·반침 공간의 해석을 통한 유형화 -경북지역 반가의 안방,사랑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raditional housing built-in closets and wardrobe spaces -focused on Kyung-buk area’s Ahn-Chae and Sarang-Chae

기초조형학연구 | 12 | 1 | 2011 | 예술일반

중부지역 신석기∼청동기시대 취락의 공간 구조와 그 의미

Settlement Structure and its Significance in the Central Region during the Neolithic to Bronze Age

고고학 | 11 | 2 | 2012 | 역사학

주거에서 발생하는 공간-권력에 대한 담론 연구 - 푸코와 라깡의 후기구조주의 담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scourse of Space-Power in a Dwelling Space - Focus on the Post-structuralism of Foucault and Lacan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 | 4 | 2011 | 디자인

노숙 진입의 원인과 과정

Entrance into Homelessness in Korea: Cause and Process

한국사회학 | 46 | 4 | 2012 | 사회학

18~20세기 초 동래지역의 인구와 주거양태

Population and Housing Aspect of Dongrae in 18th to Early 20th Century

역사와 세계 | 37 | 2010 | 기타역사일반

18~20세기 초 동래지역의 인구와 주거양태

Population and Housing Aspect of Dongrae in 18th to Early 20th Century

역사와 세계 | 37 | | 2010 | 기타역사일반

인사(人事) 커뮤니케이션 가운데 주거지 질문에 관한 주관성 연구

Questioning about Your Address in Daily Greetings

주관성 연구 | 24 | 2012 | 기타사회과학

생활유형에 따른 노후 주거 선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Preference about Elderly Housing Based on Lifestyle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2 | 2010 | 디자인

생활유형에 따른 노후 주거 선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Preference about Elderly Housing Based on Lifestyle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2 | 2010 | 디자인

한국과 중국의 전통 주거 내 창호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Chinese Traditional Housing, Focusing on Windows and Doors

기초조형학연구 | 11 | 6 | 2010 | 예술일반

한국과 중국의 전통 주거 내 창호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Chinese Traditional Housing, Focusing on Windows and Doors

기초조형학연구 | 11 | 6 | 2010 | 예술일반

스마트 공간에서 감성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건설사 미래 주택전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Design in Smart Space - Centered on Future Housing Gallery of Construction Companies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 | 6 | 2011 | 디자인

주거 관련 요인이 농촌 지역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sidential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among Rural Elders

한국지역사회복지학 | 42 | 2012 | 사회복지학일반

마을(村落)과 都市에 관한 考古學의 論議

Archaeological Approaches to the Transition from Village to City

고고학 | 11 | 2 | 2012 | 역사학

저소득층의 주거실태와 주거안정성에 관한 연구 −부산시 수급가구와 차상위가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Housing Status and Stability of the low income group

사회과학연구 | 26 | 2 | 2010 | 기타사회과학

저소득층의 주거실태와 주거안정성에 관한 연구 −부산시 수급가구와 차상위가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Housing Status and Stability of the low income group

사회과학연구 | 26 | 2 | 2010 | 기타사회과학

경찰관직무집행법 제7조에 따른 위험방지를 위한 출입에 있어서 “출입”의 개념

Rechtsprobleme des Betretens von Wohnungen zum Zwecke der Gefahrenabwehr

공법연구 | 39 | 2 | 2010 | 법학

경찰관직무집행법 제7조에 따른 위험방지를 위한 출입에 있어서 “출입”의 개념

Rechtsprobleme des Betretens von Wohnungen zum Zwecke der Gefahrenabwehr

공법연구 | 39 | 2 | 2010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