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의 역사적 기억과 배반, 그리고 계승을 둘러싼 이념정치 -3․1운동의 보편(주의)적 지평과 과소/과잉의 대표성-
Historical memory and betrayal of the 3.1 Movement, and ideological politics about it’s succession
한국근대문학연구 |
24 |
2011 |
한국어와문학
2012년 총선에 대한 집합자료 분석
An Analysis of 2012 Korean National Assmebly Elections By using Collective Data
정치·정보연구 |
15 |
1 |
2012 |
정치외교학
한국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증가와 여성정치할당제의 제도화
The Increase in the Political Representativeness of Korean Women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Gender Quota System
평화학연구 |
12 |
4 |
2011 |
정치외교학
당내 후보선출과정의 갈등과 여론조사:최근 선거 사례를 중심으로
Intra-party Candidate Nomination and Opinion Surveys
분쟁해결연구 |
9 |
2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한국 여성공무원의 여성대표적 역할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f Representative Role Perceptions of Women in Korean Government
한국행정연구 |
19 |
1 |
2010 |
행정학
한국 여성공무원의 여성대표적 역할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f Representative Role Perceptions of Women in Korean Government
한국행정연구 |
19 |
1 |
2010 |
행정학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텍스트 선정 및 배열의 타당성 연구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Text Selection and the Alignment in the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교육과정평가연구 |
13 |
1 |
2010 |
교육학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텍스트 선정 및 배열의 타당성 연구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Text Selection and the Alignment in the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교육과정평가연구 |
13 |
1 |
2010 |
교육학
사회조사 실습과정과 지역사회 서베이 자료의 생산
Practices of Social Research and the Production of Local Survey Data
지역사회학(Korean Regional Sociology) |
12 |
2 |
2011 |
사회학
지방선거에 의한 지방정부 평가: 대표성, 자율성, 책임성 - 강원도 동시지방선거의 결과를 중심으로
An Evalu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Government Organized by the Local Elections: Representation, Autonomy, Accountability - focusing on the Local Elections in Kangwon Province
한국지방자치학회보 |
22 |
4 |
2010 |
정치외교학
지방선거에 의한 지방정부 평가: 대표성, 자율성, 책임성 - 강원도 동시지방선거의 결과를 중심으로
An Evalu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Government Organized by the Local Elections: Representation, Autonomy, Accountability - focusing on the Local Elections in Kangwon Province
한국지방자치학회보 |
22 |
4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 정당의 후보공천과 대표성: 제19대 국회의원선거를 중심으로
Candidate Nomination and Representation of Political Party in Korea: With Focus on the 19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정치·정보연구 |
15 |
1 |
2012 |
정치외교학
국회의원 정수에 관한 헌법적 고찰
A Study on Optimum Nu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공법학연구 |
13 |
2 |
2012 |
법학
사법권독립과 민주주의의 조화 -미국의 州법관선거제도에 대한 찬반논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alance between Judicial Independence and Democratic Accountability -Focused on Debates about the State Judge Election System in the United States-
미국헌법연구 |
22 |
2 |
2011 |
헌법
무용공연 자신감척도(DPCS)의 타당도
Validity of Dance Performance Confidence Scale
우리춤과 과학기술 |
8 |
1 |
2012 |
무용
Do American Minorities Respond to Substantive Representation?: Minority Policies and Political Knowledge among Latinos and Asian Americans
미국 소수인종 집단은 실질 대표성의 제고에 어떻게 반응하는가?: 소수인종 우호정책과 히스패닉계와 아시아계 미국인의 정치지식
미국학 논집 |
43 |
1 |
2011 |
영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