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춘수의 시와 세계관
The Study of Kim-Choon soo′s Poems and Outlook on the world
한국문학논총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춘수의 시와 세계관
The Study of Kim-Choon soo′s Poems and Outlook on the world
한국문학논총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각의 예술가와 청각의 예술가: 도스토예프스키와 톨스토이의 장편소설에 나타난 예술적 특성
The Paintings and the Music: Artistic Features of Dostoevsky and Tolstoy
노어노문학 |
24 |
3 |
2012 |
러시아어와문학
번역을 향한 증오
The Hatred of Translation
비교문학 |
54 |
2011 |
인문학
엄밀한 학이 아닌 엄연한 지역학으로서 철학-제2부 ― 학문과 예술의 초월론적 근간으로서 ‘지역’과 철학의 근본문제들 ―
Philosophy as Rigorous Regional Studies, not as Rigorous Science, Part Two ― 'Region' as the Transcendental Ground of Arts and Sciences and the Basic Problems of Philosophy ―
철학 |
104 |
2010 |
철학
엄밀한 학이 아닌 엄연한 지역학으로서 철학-제2부 ― 학문과 예술의 초월론적 근간으로서 ‘지역’과 철학의 근본문제들 ―
Philosophy as Rigorous Regional Studies, not as Rigorous Science, Part Two ― 'Region' as the Transcendental Ground of Arts and Sciences and the Basic Problems of Philosophy ―
철학 |
|
104 |
2010 |
철학
범슬라브주의의 프리즘으로 본 『안나 카레니나』
"Анна Каренина" через призм Панславизма
외국학연구 |
16 |
2011 |
기타인문학
고통과 상상력 그리고 글쓰기: 도스토예프스키의『지하로부터의 수기』를 중심으로
Suffering, Imagination and Writing: A Study on Dostoevsky’s Notes from Underground
슬라브학보 |
27 |
3 |
2012 |
러시아어와문학
톨스토이와 도스토예프스키: 인간 고통의 두 양상
Tolstoy and Dostoevsky: Two aspects of human suffering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36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고백의 서사와 도스토예프스키 -『미성년』을 중심으로
Повествованине Исповеди и Достоевский - на Материале Романа <Подросток>
러시아연구 |
22 |
1 |
2012 |
러시아어와문학
『미성년』에 나타난 주인공의 글쓰기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aspect of the hero's writing in 『A Raw Youth』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34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미성년』에 나타난 주인공의 글쓰기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aspect of the hero's writing in 『A Raw Youth』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
34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리터러시와 상상: 도스또옙스끼의 『악령』연구
Literacy and imagination: a study on the novel 『The Possessed』 of F. M. Dostoevsky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36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환경과 인간: 페테르부르크 생리학과 젊은 도스토예프스키
Среда и человек: физиология Петербурга и молодой Достоевский
러시아연구 |
20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환경과 인간: 페테르부르크 생리학과 젊은 도스토예프스키
Среда и человек: физиология Петербурга и молодой Достоевский
러시아연구 |
20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벌할 수 없는 죄: 무의식의 코드를 통해 본 『죄와 벌』
Unpunishable Crime : The unconscious code of 『Crime and Punishment』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34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벌할 수 없는 죄: 무의식의 코드를 통해 본 『죄와 벌』
Unpunishable Crime : The unconscious code of 『Crime and Punishment』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
34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스타브로긴의 황금시대의 꿈: 태양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Stavrogin’s Dream of the Golden Age: the Image of Sun
노어노문학 |
23 |
1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도스토예프스키 신화화와 벨르이의 『페테르부르크』
Mythologization of Dostoevsky and Bely's 『Petersburg』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35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도스토예프스키 신화화와 벨르이의 『페테르부르크』
Mythologization of Dostoevsky and Bely's 『Petersburg』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
35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도스또옙스끼의 <영원한 남편>에 나타난 ‘영원성’의 문제 연구
A study on ‘eternity’ in the novel of F. M. Dostoevsky's < The eternal husband>
노어노문학 |
22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도스또옙스끼의 <영원한 남편>에 나타난 ‘영원성’의 문제 연구
A study on ‘eternity’ in the novel of F. M. Dostoevsky's < The eternal husband>
노어노문학 |
22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