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 도시

연구분야 : B160307 사회과학 > 지리학 > 자연지리학 > 생태지리

클래스 : 인위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3790

한자 : 生態都市

e04-01 인위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환경 도시 [ 環境都市 ]

UF (비우선어)

 

 

녹색 도시 [ 綠色都市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도시 () [ 都市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도시농촌계획 [ 都市農村計劃 ]

RT (관련어)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도시 생태학 [ 都市生態學 ]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생태 문화 [ 生態 文化 ]

RT (관련어)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비오톱 [biotope]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슬로시티 [Slow City]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생태 공동체 [ 生態共同體 ]

R2:기능적

isSolutionFor (대상 문제/이슈)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생태 위기 [ 生態 危機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쿠리치바 [Curitiba]

미디어 아트 속 도시주의 : 호주의 도시주의

Urbanism envisaged into Media Art: Australian Urbanism

한국영상학회논문집 | 9 | 2 | 2011 | 예술일반

건강도시 모델 개발을 위한 고베시 사례 연구

The Case Study of Kobe City for Modeling of Healthy City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8 | 2 | 2012 | 지리학

지역 환경에 따른 경관 색채분석에 관한 연구- 전라남도 담양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 Landscape Color Analysis according to Regional Environment - Centering on Damyang County, Jeollnamdo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1 | 4 | 2012 | 디자인

신도시의 생태적개발에 관한 연구 - 2동탄신도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cological Development of New-town -Centering on 2 Dongtan New Town-

부동산학보 | 45 | 2011 | 국제/지역개발

생태적 도시공동체 형성을 위한 지역교회의 과제

A Study on the Eco-city Movement and the Roles of the Local Churches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74 | 2011 | 기독교신학

도시유형에 따른 저탄소 도시계획요소 간의 상대적 중요도

Assessment of Low-Carbon City Planning Elements Relative to Urban Types

환경정책 | 18 | 1 | 2010 | 정책학

도시유형에 따른 저탄소 도시계획요소 간의 상대적 중요도

Assessment of Low-Carbon City Planning Elements Relative to Urban Types

환경정책 | 18 | 1 | 2010 | 정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