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만 제국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3800

한자 : --帝國
영어 : the Ottoman Empire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x01-02 국가명 국가명

오스만 투르크 제국 [ --帝國 ]

오스만 제국을 바라보는 독일의 시선-‘동방문제(Die orientalische Frage)’ 인식과 팽창의 판타지-

The ‘Eastern Question’ and German Attitudes to the Ottoman Empire: Focusing on German fantasy of overseas expansion

서양사론 | 113 | 2012 | 역사학

서구화 이후 터키와 한국의 여성 문제 연구 -파트마 알리예 하늠과 나혜석의 소설을 중심으로-

WOMEN'S PROBLEM AFTER WESTERNIZATION IN TURKEY AND KOREA -Comparing with Fatma Aliye Hanim's and Na Hye Seok's Novel-

한국학연구 | 32 | 2010 | 기타인문학

서구화 이후 터키와 한국의 여성 문제 연구 -파트마 알리예 하늠과 나혜석의 소설을 중심으로-

WOMEN'S PROBLEM AFTER WESTERNIZATION IN TURKEY AND KOREA -Comparing with Fatma Aliye Hanim's and Na Hye Seok's Novel-

한국학연구 | | 32 | 2010 | 기타인문학

19세기 오스만제국의 위기와 ‘이슬람적 근대화’

‘Islamic Modernization’ in the Nineteenth Century Ottoman Empire

서양사연구 | 42 | 2010 | 기타서양사

19세기 오스만제국의 위기와 ‘이슬람적 근대화’

‘Islamic Modernization’ in the Nineteenth Century Ottoman Empire

서양사연구 | | 42 | 2010 | 기타서양사

오스만제국 근대 개혁기 군주의 역할 : 셀림 3세에서 압뒬하미드 2세에 이르기까지

Sultan's Role in the Ottoman Reforms : From Selim III to Abdülhamid II

역사학보 | 208 | 2010 | 역사학

오스만제국 근대 개혁기 군주의 역할 : 셀림 3세에서 압뒬하미드 2세에 이르기까지

Sultan's Role in the Ottoman Reforms : From Selim III to Abdülhamid II

역사학보 | | 208 | 2010 | 역사학

16-17세기 오스만 황실 여성의 사회적 위상과 공적 역할- 오스만 황태후의 역할을 중심으로

The Ottoman Royal Women’s Public Status and Role

여성과 역사 | 16 | 2012 | 여성사(역사학)

오르한 파묵의 작품에 나타난 다문화적 요소

Multicultural Factors Presented Within Orhan Pamuk's Literary Works

한국이슬람학회논총 | 22 | 1 | 2012 | 종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