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체제기 노동․소비 담론에 나타난 젠더 정치 - 잡지 『여성』을 중심으로 -
A Gender Politics in the Discourse on Labor and Consumption during Period of War Basis - Focused on the Journal -
인문연구 |
59 |
2010 |
기타인문학
전시체제기 노동․소비 담론에 나타난 젠더 정치 - 잡지 『여성』을 중심으로 -
A Gender Politics in the Discourse on Labor and Consumption during Period of War Basis - Focused on the Journal -
인문연구 |
|
59 |
2010 |
기타인문학
이상 문학과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竜之介) ― 시대를 체현하는 문화현상으로서의 모던걸 표상을 중심으로
李箱の文学と芥川竜之介 ― 時代を具現する文化現象としてのモダンガール表象を中心に―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2 |
2010 |
기타인문학
이상 문학과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竜之介) ― 시대를 체현하는 문화현상으로서의 모던걸 표상을 중심으로
李箱の文学と芥川竜之介 ― 時代を具現する文化現象としてのモダンガール表象を中心に―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2 |
2010 |
기타인문학
계몽의 전사 石評梅(1902-1928)
Shi Ping-mei(石評梅 1902-1928), the Forerunner of the New Culture Movement in the 1920s China
중국근현대사연구 |
51 |
2011 |
중국현대사
성별화된 몸, 그 의미와 잉여의 두께 ― 브램 스토커의 『드라큘라』
The Gendered Body as the Descriptive Surplus in Bram Stoker's Dracula
영미문화 |
10 |
3 |
2010 |
영어와문학
성별화된 몸, 그 의미와 잉여의 두께 ― 브램 스토커의 『드라큘라』
The Gendered Body as the Descriptive Surplus in Bram Stoker's Dracula
영미문화 |
10 |
3 |
2010 |
영어와문학
일제강점기 조선영화에 나타난 가족 이데올로기 연구-<미몽><지원병><조선해협>의 여성 이미지를 중심으로-
A Study of Family Ideology in Korean Cinem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cusing on female image in Sweet Dream (Mimong), Volunteer (Ji―wonbyeong), and Straits of Joseon (Joseonhaehyeob)
한민족문화연구 |
37 |
2011 |
한국어와문학
1930年代上海‘新女性談論’의 企劃 -『申報』와 『晨報』의 영화평과 독자평을 중심으로-
1930年代上海“新女性談論”的企劃 -以『申报』, 『晨报』的影评以及读者评为中心-
중국사연구 |
70 |
2011 |
동양사
Mrs Warren's Profession: 쇼와 마르크스의 자본주의 비판
Mrs Warren’s Profession: Shaw and Marx’s Criticism of Capitalism
현대영미드라마 |
25 |
2 |
2012 |
현대영미희곡
蔡萬植의 「濁流」에 나타난 女性 再現 樣相 硏究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n Chae Mansik's 「Turbid Waters」(탁류)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2 |
2011 |
한국어와문학
Mrs Warren's Profession: 쇼와 마르크스의 자본주의 비판
Mrs Warren’s Profession: Shaw and Marx’s Criticism of Capitalism
현대영미드라마 |
25 |
2 |
2012 |
현대영미희곡
발견되는 성, 전시되는 성 -식민지 근대와 섹슈얼리티의 접속-
Discovered Sexuality, Exhibited Sexuality -the Connection between Colonized Modernity and Sexuality-
시학과 언어학 |
21 |
2011 |
기타인문학
艱難的學術跨越: 評何玲華撰寫的『新教育·新女性 -北京女高師研究(1919 -1924)』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7)
중국사연구 |
68 |
2010 |
동양사
艱難的學術跨越: 評何玲華撰寫的『新教育·新女性 -北京女高師研究(1919 -1924)』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7)
중국사연구 |
|
68 |
2010 |
동양사
모리악 소설에 나타난 여성상 - 1920~1940년대의 소설을 중심으로
L'Image idéale de la femme dans les romans de Mauriac - autour des romans entre 1920-1940
불어불문학연구 |
84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발견되는 성, 전시되는 성 -식민지 근대와 섹슈얼리티의 접속-
Discovered Sexuality, Exhibited Sexuality -the Connection between Colonized Modernity and Sexuality-
시학과 언어학 |
21 |
2011 |
기타인문학
일제강점기 고등여학교 학생들의 꿈과 이상, 그리고 현실-1945년 동덕고등여학교 학적부를 중심으로-
Dream, Ideal and Reality of the Students of Girlsʼ High Schools in Japanese Colonial Era-Focusing on the 1945 School Register of Dongduk Girlsʼ High School-
서울과 역사 |
78 |
2011 |
역사학
식민지 시기 대중문화영웅의 변모과정 고찰 -최승희를 중심으로-사이의 갈등과 융합
Research to shaping processes Public hero in Colonial era -Centrally discuss to Choi, Senghee-
여성문학연구 |
25 |
2011 |
한국어와문학
계몽의 전사 石評梅(1902-1928)
Shi Ping-mei(石評梅 1902-1928), the Forerunner of the New Culture Movement in the 1920s China
중국근현대사연구 |
51 |
2011 |
중국현대사
근대화의 담지자擔持者 기생妓生 I - 대구 지역 문화 콘텐츠로서의 가능성 -
Kisaeng, a Vector of Modernization: Possibility as a Cultural Content of the Daegu Region
한국학논집 |
43 |
2011 |
기타인문학
김일엽 문학에 나타난 ‘신여성’ 담론 고찰
A Stuy on Kim, Il-Yeop's literature examines the 'New Women' discourse
한민족문화연구 |
39 |
2012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고등여학교 학생들의 꿈과 이상, 그리고 현실-1945년 동덕고등여학교 학적부를 중심으로-
Dream, Ideal and Reality of the Students of Girlsʼ High Schools in Japanese Colonial Era-Focusing on the 1945 School Register of Dongduk Girlsʼ High School-
서울과 역사 |
78 |
2011 |
역사학
근대화의 담지자擔持者 기생妓生 I - 대구 지역 문화 콘텐츠로서의 가능성 -
Kisaeng, a Vector of Modernization: Possibility as a Cultural Content of the Daegu Region
한국학논집 |
43 |
2011 |
기타인문학
근대화의 담지자(擔持者) 기생(妓生) II - 대구 지역 문화 콘텐츠로서의 가능성 -
Kisaeng, a Vector of Modernization: Possibility as a Cultural Content of the Daegu Region II
한국학논집 |
47 |
2012 |
기타인문학
1920~30년대 언론 매체에 나타난 여성 복식 유행과 유행 행동 -사회적 평가와 구별의 논리를 중심으로-
The Fashion and Fashion Behavior of Women's Clothing Manifested in the Media from the 1920s to the 1930s -Focusing on the Social Assessment and the logic of differentiation-
민속학연구 |
26 |
2010 |
역사학
1920~30년대 언론 매체에 나타난 여성 복식 유행과 유행 행동 -사회적 평가와 구별의 논리를 중심으로-
The Fashion and Fashion Behavior of Women's Clothing Manifested in the Media from the 1920s to the 1930s -Focusing on the Social Assessment and the logic of differentiation-
민속학연구 |
|
26 |
2010 |
역사학
근대 여성 잡지와 여성 독자의 형성 - 『신여성』을 중심으로-
192,30's Woman Magazine and The Formation of Woman Reader - focus on 『New Woman』(신여성)
한국문학논총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여성 잡지와 여성 독자의 형성 - 『신여성』을 중심으로-
192,30's Woman Magazine and The Formation of Woman Reader - focus on 『New Woman』(신여성)
한국문학논총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최초의 여성작가 김명순의 자아 정체성
Self Identity of Early Modern Woman Writer of Korea, Kim Myung-soon
한국사상사학 |
39 |
2011 |
역사학
근대 최초의 여성작가 김명순의 자아 정체성
Self Identity of Early Modern Woman Writer of Korea, Kim Myung-soon
한국사상사학 |
39 |
2011 |
역사학
근대 여성작가가 그리는 성애(性愛) -다무라 도시코와 우노 지요의 작품을 중심으로-
The Eros Drawn by the Modern Female Novelists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Chiyo Uno” and “Toshiko Tamura”
일본근대학연구 |
36 |
2012 |
일본문화학
근대 상품광고로 본 新소비문화와 신여성
The modern girl and new consumption culture seen through the product advertisement in modern times
동국사학 |
52 |
2012 |
역사학
‘거리영화(Straßenfilme)’에 재현된 바이마르 사회와 여성의 이미지
The Image of Society and Women represented in Weimar Street Film
코기토 |
69 |
2011 |
기타인문학
<고백>의 시대와 <자기개조>의 욕망
<告白>の時代と<自己改造>の欲望
일본연구 |
32 |
2012 |
일본어와문학
이선희 소설에 나타난 젠더의식 연구
A study on gender consciousness in Lee Sun-Hee's novel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선희 소설에 나타난 젠더의식 연구
A study on gender consciousness in Lee Sun-Hee's novel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조선영화에 나타난 가족 이데올로기 연구-<미몽><지원병><조선해협>의 여성 이미지를 중심으로-
A Study of Family Ideology in Korean Cinem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cusing on female image in Sweet Dream (Mimong), Volunteer (Ji―wonbyeong), and Straits of Joseon (Joseonhaehyeob)
한민족문화연구 |
37 |
2011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근대 공간에서 여성음악가의 사회적 성격
Feminine musician' social meaning in colonial modern space: centering Pansori society
음악과 민족 |
39 |
2010 |
음악학
식민지 근대 공간에서 여성음악가의 사회적 성격
Feminine musician' social meaning in colonial modern space: centering Pansori society
음악과 민족 |
|
39 |
2010 |
음악학
艱難的學術跨越: 評何玲華撰寫的『新教育·新女性 -北京女高師研究(1919 -1924)』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7)
중국사연구 |
68 |
2010 |
동양사
艱難的學術跨越: 評何玲華撰寫的『新教育·新女性 -北京女高師研究(1919 -1924)』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7)
중국사연구 |
|
68 |
2010 |
동양사
창작과 평가: 요로즈 데츠고로 <풍선을 든 여인>을 중심으로
Creativity and Value: Focusing on Yorozu Tetsugorô’s Woman with a Balloon
美術史論壇 |
33 |
2011 |
미술
근대 일본 미디어에 나타난 신여성 논의의 지형
The Form of Discussion on New Women in Modern Japanese Media
여성문학연구 |
27 |
2012 |
한국어와문학
<고백>의 시대와 <자기개조>의 욕망
<告白>の時代と<自己改造>の欲望
일본연구 |
32 |
2012 |
일본어와문학
식민지 시기 대중문화영웅의 변모과정 고찰 -최승희를 중심으로-사이의 갈등과 융합
Research to shaping processes Public hero in Colonial era -Centrally discuss to Choi, Senghee-
여성문학연구 |
25 |
2011 |
한국어와문학
현대 중국의 신여성과 연애담론 ― 『부녀잡지』를 중심으로
New Woman and Love Discourse in the Ladies’ Journal of Modern China
중국현대문학 |
53 |
2010 |
중국어와문학
현대 중국의 신여성과 연애담론 ― 『부녀잡지』를 중심으로
New Woman and Love Discourse in the Ladies’ Journal of Modern China
중국현대문학 |
|
53 |
2010 |
중국어와문학
남성의 틈새에서 새어나온 여성의 목소리
Women’s Voice Sounding through Men
韓國古典硏究 |
22 |
2010 |
고전산문
남성의 틈새에서 새어나온 여성의 목소리
Women’s Voice Sounding through Men
韓國古典硏究 |
|
22 |
2010 |
고전산문
일제시기 고황경의 여성의식과 가정·사회·국가관
Whang-Kyung Koh's view of new womanhood, home, society and na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1910∼1945)
한국사상사학 |
36 |
2010 |
역사학
일제시기 고황경의 여성의식과 가정·사회·국가관
Whang-Kyung Koh's view of new womanhood, home, society and na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1910∼1945)
한국사상사학 |
|
36 |
2010 |
역사학
일제시기 고황경의 여성의식과 가정·사회·국가관
Whang-Kyung Koh's view of new womanhood, home, society and na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1910∼1945)
한국사상사학 |
36 |
2010 |
역사학
일제시기 고황경의 여성의식과 가정·사회·국가관
Whang-Kyung Koh's view of new womanhood, home, society and na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1910∼1945)
한국사상사학 |
|
36 |
2010 |
역사학
1920년대 일본 신여성의 서양복 수용 고찰
Exploration on the Reception of Western Clothing by Modern Japanese Women in the 1920s
일본근대학연구 |
35 |
2012 |
일본문화학
김일엽 문학에 나타난 ‘신여성’ 담론 고찰
A Stuy on Kim, Il-Yeop's literature examines the 'New Women' discourse
한민족문화연구 |
39 |
2012 |
한국어와문학
은유 표현을 통해 본 신여성의 사회적 위치
Social position of ‘New Women' -The using with the concept of cognitive linguistic metaphor-
어문연구 |
64 |
2010 |
한국어와문학
은유 표현을 통해 본 신여성의 사회적 위치
Social position of ‘New Women' -The using with the concept of cognitive linguistic metaphor-
어문연구 |
64 |
|
2010 |
한국어와문학
1차 留學時期 廉想涉 文學 硏究
A Study on the Early Writings of Yeom Sang-Seop in His First Trip to Japan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1차 留學時期 廉想涉 文學 硏究
A Study on the Early Writings of Yeom Sang-Seop in His First Trip to Japan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Narrating Oppressions against the Chinese “New Woman”: Mei Niang on Japanese Colonial Domination
Asian Journal of Women's Studies |
18 |
2 |
2012 |
사회학
1920년대 장편소설의 여성 초점화와 근대적 주체 -<환희>, <재생>, <이심>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ocalization Of Modern Girls in the 1920’s Popular Novels
현대문학의 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장편소설의 여성 초점화와 근대적 주체 -<환희>, <재생>, <이심>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ocalization Of Modern Girls in the 1920’s Popular Novels
현대문학의 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무라 도시코(田村俊子)の 『그녀의 생활(彼女の生活)』론
“Kanozyo no Seikatsu” by Toshiko Tamura
일본근대학연구 |
28 |
2010 |
일본문화학
다무라 도시코(田村俊子)の 『그녀의 생활(彼女の生活)』론
“Kanozyo no Seikatsu” by Toshiko Tamura
일본근대학연구 |
|
28 |
2010 |
일본문화학
남성의 틈새에서 새어나온 여성의 목소리
Women’s Voice Sounding through Men
韓國古典硏究 |
22 |
2010 |
고전산문
남성의 틈새에서 새어나온 여성의 목소리
Women’s Voice Sounding through Men
韓國古典硏究 |
|
22 |
2010 |
고전산문
1930年代上海‘新女性談論’의 企劃 -『申報』와 『晨報』의 영화평과 독자평을 중심으로-
1930年代上海“新女性談論”的企劃 -以『申报』, 『晨报』的影评以及读者评为中心-
중국사연구 |
70 |
2011 |
동양사
신여성 하란사의 해외유학과 사회활동
New Woman Nansa K. Hahr’s Study Abroad and Social Participation in Korea
史叢(사총) |
77 |
2012 |
기타역사일반
남성의 틈새에서 새어나온 여성의 목소리
Women’s Voice Sounding through Men
韓國古典硏究 |
22 |
2010 |
고전산문
남성의 틈새에서 새어나온 여성의 목소리
Women’s Voice Sounding through Men
韓國古典硏究 |
|
22 |
2010 |
고전산문
성폭력 피해자/생존자로서의근대 최초 여성작가 김명순
A victim and survivor of sexual violence- Korean early-modern woman writerKim Myoung Soon
여성과 역사 |
14 |
2011 |
여성사(역사학)
은유 표현을 통해 본 신여성의 사회적 위치
Social position of ‘New Women' -The using with the concept of cognitive linguistic metaphor-
어문연구 |
64 |
2010 |
한국어와문학
은유 표현을 통해 본 신여성의 사회적 위치
Social position of ‘New Women' -The using with the concept of cognitive linguistic metaphor-
어문연구 |
64 |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여성의 근대체험과 영화의 재현 - <사의 찬미>와 <청연>을 중심으로 -
The Modern Experience of New Women and the Representation in Movies
인문과학연구 |
28 |
2011 |
기타인문학
신여성 하란사의 해외유학과 사회활동
New Woman Nansa K. Hahr’s Study Abroad and Social Participation in Korea
史叢(사총) |
77 |
2012 |
기타역사일반
신여성 시 연구 -김명순과 노천명 시를 중심으로-
Korean Woman Poetry and Narcissism
인문과학 |
47 |
2011 |
기타인문학
신여성의 근대체험과 영화의 재현 - <사의 찬미>와 <청연>을 중심으로 -
The Modern Experience of New Women and the Representation in Movies
인문과학연구 |
28 |
2011 |
기타인문학
다무라 도시코(田村俊子)の 『그녀의 생활(彼女の生活)』론
“Kanozyo no Seikatsu” by Toshiko Tamura
일본근대학연구 |
28 |
2010 |
일본문화학
다무라 도시코(田村俊子)の 『그녀의 생활(彼女の生活)』론
“Kanozyo no Seikatsu” by Toshiko Tamura
일본근대학연구 |
|
28 |
2010 |
일본문화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