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개음화

연구분야 : A090000 인문학 > 언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3922

STNet ID : 1001613

한자 : 口蓋音化
기타 : 口蓋化
영어 : palatalization
동의어(UF) : 입천장소리되기(--天障--)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음운, 음성, 철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경구개음화 [ 硬口蓋音化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동시 조음 [ 同時調音 ]

isKindOf (상위 유형)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국어 음운론 [ 國語音韻論 ]

R1:개념적

resultsIn (산물/결과)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과도교정 [ 過度矯正 ]

RT (관련어)

 

a01-08-01 신체(부분체) 신체(부분체)

조음위치 [ 調音位置 ]

중국어와 한국어의 분절음 음운변동 대조 연구

汉语与韩语的语流音变对比研究

중국학 | 36 | 2010 | 기타중문학

중국어와 한국어의 분절음 음운변동 대조 연구

汉语与韩语的语流音变对比研究

중국학 | | 36 | 2010 | 기타중문학

영남대본 『發心修行章』 연구 - 자료의 實相과 復原을 중심으로 -

A Study on Yeungnam University Collection (嶺南大本) of Balsimsuhaengjang (發心修行章) - Focusing on its status and restoration -

민족문화논총 | 48 | 2011 | 기타인문학

영남대본 『發心修行章』 연구 - 자료의 實相과 復原을 중심으로 -

A Study on Yeungnam University Collection (嶺南大本) of Balsimsuhaengjang (發心修行章) - Focusing on its status and restoration -

민족문화논총 | 48 | 2011 | 기타인문학

19세기 초기 전라 방언 자료 『수운정비회유록』(睡雲亭悲懷遺錄) 연구

A study on “Suunjeongbihoeyurok” reflected Jeolla dialect in the early period of 19th Century

한국문화 | 53 | 2011 | 기타인문학

일본어 가고시마 방언의 말음약화: 조화직렬적 최적성이론에 기반한 분석

Coda Reductions in Kagoshima Japanese : An Analysis based on Harmonic Serialism

언어와언어학 | 54 | 2012 | 언어학

자유 변이의 공시론과 통시론-소신애(2009)를 중심으로-

Synchronic and diachronic approaches to free variations

형태론 | 14 | 1 | 2012 | 언어학

18세기 국어 현실 한자음의 대응 및 변화 양상

A Study on Correspondence and Change Aspects of Real Sino-Korean of the 18th Century

구결연구 | 28 | 2012 | 한국어와문학

18세기 국어 현실 한자음의 대응 및 변화 양상

A Study on Correspondence and Change Aspects of Real Sino-Korean of the 18th Century

구결연구 | 28 | 2012 | 한국어와문학

16세기 후반․17세기 國語 漢字音 韻母의 대응 양상 및 특징(2)

An Inquiry into Final's Correspondency Aspects and Features in Late 16th and 17th Century's Sino-Korean(2)

대동문화연구 | 74 | 2011 | 기타인문학

『진법언해(陣法諺解)』의 표기와 음운

A Phonological Analysis on the Jinbeop- eonhae.

언어과학연구 | 56 | 2011 | 언어학

Untersuchungen zu Ausspracheabweichungen koreanischer Deutschlernender in Daegu und in Daejeon - Auf segmentaler Ebene -

대구와 대전지역 한국인 독일어 학습자의 발음편차 연구 - 분절음운적 측면에서 -

독어교육 | 53 | 53 | 2012 | 독일어와문학

Two Types of L1 Palatalization in L2: A Constraint-based Approach

영어영문학연구 | 52 | 1 | 2010 | 영어와문학

Two Types of L1 Palatalization in L2: A Constraint-based Approach

영어영문학연구 | 52 | 1 | 2010 | 영어와문학

송준길 가 한글편지에 나타나는 구개음화의 양상과 특징 - 발신자의 ‘세대’, ‘성’, ‘수신자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A Social Linguistic Study on t-Palatalization in the Hangeul Letters of Song Family in the 17-8th Century

國語學 | 61 | 2011 | 한국어와문학

나주임씨 언간의 구개음화 교정 현상 연구

A Study on the Corrections of t-palatalization in the Hangeul Letter of Naju Lim Family

한글 | 289 | 2010 | 한국어와문학

나주임씨 언간의 구개음화 교정 현상 연구

A Study on the Corrections of t-palatalization in the Hangeul Letter of Naju Lim Family

한글 | | 289 | 2010 | 한국어와문학

「高麗詞之事」에 나타난 구개음화 양상에 대하여

A Report of 「KORYOSAJISA」-About of Palatalization on the Korean Materials Written in Kana-

한국언어문학 | 81 | 2012 | 한국어와문학

ㅎ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f h-Palatalization

언어학 연구 | 17 | 2010 | 기타언어학

ㅎ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f h-Palatalization

언어학 연구 | | 17 | 2010 | 기타언어학

A Parallel Approach to Palatalization and Spirantization in English

영어영문학연구 | 54 | 3 | 2012 | 영어와문학

구개음화 규칙의 전파와 어휘 확산 - 조선족 육진방언의 경우

The Spread of Palatalization Rule and Lexical Diffusion

國語學 | 61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