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어

연구분야 : A170100 인문학 > 독일어와문학 > 독일어학

클래스 : 각국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448

한자 : 獨逸語
영어 : German language
동의어(UF) : 독어(獨語)
독일어 : Deutsch

e03-02 각국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x01-02 국가명 국가명

독일 () [ 獨逸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게르만어 () [ --語 ]

B2:전체

isIngredientOf (인공물 전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뎅글리시 [denglisch]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게르만어파 () [ --語派 ]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독일어권 [ 獨逸語圈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독일어 어순 () [ 獨逸語語順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독일어 사전 () [ 獨逸語辭典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통제 독일어 [ 統制獨逸語 ]

R2:기능적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독일 문예학 [ 獨逸文藝學 ]

에스토니아어에 끼친 독일어의 영향 - 에스토니아어의 발음, 표기, 어휘를 중심으로

Über den Einfluss des Deutschen auf das Estnische - Die estnische Aussprache, Buchstaben, Wortschatz

독일어문학 | 18 | 4 | 2010 | 독일어와문학

에스토니아어에 끼친 독일어의 영향 - 에스토니아어의 발음, 표기, 어휘를 중심으로

Über den Einfluss des Deutschen auf das Estnische - Die estnische Aussprache, Buchstaben, Wortschatz

독일어문학 | 18 | 4 | 2010 | 독일어와문학

‘학문언어로서의 도이치말’ 논쟁 I- 학문의 ‘영어화’와 자국 학문어의 홀대, 무엇이 왜 문제인가? -

Zur Debatte: Deutsch als Wissenschaftssprache I - Die zunehmende Anglisierung der Wissenschaften und die daraus erwachsenden Probleme -

독어학 | 21 | 2010 | 독일어와문학

‘학문언어로서의 도이치말’ 논쟁 I- 학문의 ‘영어화’와 자국 학문어의 홀대, 무엇이 왜 문제인가? -

Zur Debatte: Deutsch als Wissenschaftssprache I - Die zunehmende Anglisierung der Wissenschaften und die daraus erwachsenden Probleme -

독어학 | | 21 | 2010 | 독일어와문학

근대 서양의 가족관에 대한 현대적 조명 -헤겔의 가족이론을 중심으로-

Eine Untersuchung in das westliche Verständnis der modernen Familie - In Bezug auf die Familienlehre bei Hegel -

철학논총 | 67 | 1 | 2012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