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 정치

연구분야 : B020405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비교정치 > 의회/정당/선거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4811

STNet ID : 9001584

한자 : 政黨政治
영어 : party politics

d02-02 정치/법률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정치 () [ 政治 ]

R1:개념적

RT (관련어)

 

x03-06 상호작용 상호작용

당정 관계 [ 黨政關係 ]

RT (관련어)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안철수 현상 () [ 安哲秀現像 ]

RT (관련어)

 

a02-01 행정/공공기관 행정/공공기관

대중 정당 [ 大衆政黨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의회 주의 [ 議會主義 ]

RT (관련어)

 

c02-01 감정 감정

정당 일체감 [ 政黨一體感 ]

RT (관련어)

적용/적용대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계급 정치 [ 階級政治 ]

RT (관련어)

적용/적용대상

 

소수 정당 제도 [ 少數政黨制度 ]

RT (관련어)

적용/적용대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다당제 [ 多黨制 ]

RT (관련어)

적용/적용대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복수 정당제 [ 複數政黨制 ]

X: 제외

isOppositionOf (대항/억제)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오픈 프라이머리 [Open primary]

영국과 유럽통합: EU 사회정책과 영국의 對 EU 정책의 변화와 연속성

EU Social Policy and Party Politics in the UK

유럽연구 | 29 | 3 | 2011 | 지역학

제19대 국회의원선거와 부산지역 정당지지도 분석

The 19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and Party Support of Busan in Korea

Oughtopia (오토피아) | 27 | 1 | 2012 | 기타정치외교학

한국 정당사 연구의 현황과 쟁점, 그리고 향후 과제

The Present Situation, Issues, and Future Tasks in Korean Party History Studies

한국시민윤리학회보 | 24 | 2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국회의원후보자 선정과정의 동학: 제18대 총선에서 한나라당과 통합민주당의 공천을 중심으로

Dynamics of Candidate Selection Process: The Grand National Party and the Democratic Party in the 18th General Election for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한국정치연구 | 20 | 1 | 2011 | 한국정치사회

독일 통일의 국내정치적 결정요인 분석: 수상리더십과 정당정치적 요인

Domestic Political Process of German Reunification: The Chancelor Leadership and Partisan Political Factor

한국정치학회보 | 45 | 4 | 2011 | 정치외교학

온라인공간의 정당정치: 연구방법과 동향에 관한 시론적 연구

Party Politics on the Online Space: An Introductory Research of the Methodology and Trends

21세기정치학회보 | 21 | 1 | 2011 | 정치외교학

포스트 신자유주의 시대의 한국 정치: 거버넌스의 정치에 대한 소고

Korean Politics in the Post-Neoliberal Era: Politics of Governance

한국과 국제정치 | 28 | 1 | 2012 | 정치외교학

한국 민주주의의 발전과 정당정치: 최장집교수의 정당민주주의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and the Party Politics in Korea: The Critical Review on Choi Jang-jip's Views of the Party Democracy

민족문화연구 | 56 | 2012 | 기타인문학

인터넷, 정당정치 그리고 사회적 자본: 대만사례를 중심으로

Internet, Party Politics and Social Capital In Case of Taiwan

평화연구 | 19 | 2 | 2011 | 정치외교학

미국의회 소위원회제도의 역사적 변천과 그 정치적 동학

Political Dynamics behind Historical Changes in the U.S. Congressional Subcommittee System

미국학 논집 | 42 | 2 | 2010 | 영어와문학

미국의회 소위원회제도의 역사적 변천과 그 정치적 동학

Political Dynamics behind Historical Changes in the U.S. Congressional Subcommittee System

미국학 논집 | 42 | 2 | 2010 | 영어와문학

정부의 공공지출에 대한 태도와 정당정치

Public Attitudes toward the Government Expenditure and Party Politics

한국동북아논총 | 17 | 3 | 2012 | 사회과학일반

한국 정당정치의 변화 가능성과 시민정치운동: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과정과 결과를 중심으로

The possibility of change of party politics and citizen politics movements in Korea: Focusing on the process and outcomes of Seoul Mayoral by-election on 26 October 2011

법과사회 | 41 | 2011 | 법학

독일 복지국가의 변화와 정당정치

The Change of German Welfare State and Party Politics

한독사회과학논총 | 22 | 3 | 2012 | 지역학

시민정치의 부상과 정당정치

The Rising of Civic Politics and its Implication for Party Politics: Threat or Opportunity?

역사비평 | 98 | 2012 | 역사학

정당정치의 위기와 선거제도개혁 필요성: 뉴질랜드사례에서의 시사점

The Crisis of Party Politics and Electoral Reform : Suggestions from the New Zealand Case

인문사회과학연구 | 34 | 2012 | 학제간연구

한국 정당의 후보공천과 대표성: 제19대 국회의원선거를 중심으로

Candidate Nomination and Representation of Political Party in Korea: With Focus on the 19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정치·정보연구 | 15 | 1 | 2012 | 정치외교학

한국의 정당정치와 매니페스토 운동: 제19대 국회의원선거를 중심으로

Party Politics and Manifesto Movement in Korea: With Focus on the 19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동북아연구 | 27 | 1 | 2012 | 국제관계/협력

정당정치와 참여확대: 정치 참여확대를 위한 정치·사회적 기반 고찰

Party Politics and Expansion of Participation : the Study of Political and Social Bases for Political Participation of Citizens

사회과학연구 | 24 | 1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