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차별

연구분야 : B081100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계층/계급
B090700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노인복지

클래스 : 격차/차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4943

STNet ID : 9005077

한자 : 老人差別
영어 : Ageism

c03-02 격차/차이

대상4

노인 (老人)

원인_t

연령집단에 대한 차별 및 편견이 발생.

결과_t

부정적인 편견이 차별의 형태로 작용함.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노인 문제 [ 老人問題 ]

isKindOf (상위 유형)

 

c03-02 격차/차이 격차/차이

차별 () [ 差別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고령자 취업 [ 高齡者就業 ]

RT (관련어)

 

C02 심리 심리

노인에 대한 태도 [ 老人--態度 ]

한국중년의 노인차별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집단간불안의 매개효과

Middle-aged Korean's ageism affecting factors mediated by intergroup anxiety

한국노년학 | 32 | 2 | 2012 | 사회복지학

노인의 차별경험이 자아통합감을 매개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geism Experience on Ego Integrity and Quality of Life

한국노년학 | 30 | 2 | 2010 | 사회복지학

노인의 차별경험이 자아통합감을 매개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geism Experience on Ego Integrity and Quality of Life

한국노년학 | 30 | 2 | 2010 | 사회복지학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노인차별경험의 영향요인 - 사회적 지지와 건강관련 삶의 질을 중심으로 -

A Study of Elders Experience on Ageism in Urban and Rural Areas in Korea - Focused o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

한국지역사회복지학 | 34 | 2010 | 사회복지학일반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노인차별경험의 영향요인 - 사회적 지지와 건강관련 삶의 질을 중심으로 -

A Study of Elders Experience on Ageism in Urban and Rural Areas in Korea - Focused o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

한국지역사회복지학 | | 34 | 2010 | 사회복지학일반

노인차별경험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고독의 매개효과

Effects of Ageism Experience of the Elderly on Depression Mediated by Loneliness

한국노년학 | 31 | 4 | 2011 | 사회복지학

한국중년의 노화불안요인이 노인차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ddle-aged Korean's aging anxiety factors on ageism

노인복지연구 | 55 | 2012 | 사회복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