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공간 구조

연구분야 : B080600 사회과학 > 사회학 > 인구/노인/지역사회학

클래스 : 인프라/구조/범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4970

한자 : 都市空間構造
영어 : urban spatial structure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인프라/구조/범위

공간 구조 [ 空間構造 ]

세력권 방식의 공간적 연관성을 이용한 인구분포 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 in the Population Distribution Based on Spatial Relationship Using the Sphere of Influence

국토연구 | 73 | 2012 |

19세기 마르세유 항만의 기능변화와 도시공간구조

Changes of Harbors’ Functions and the Urban Structure at Marseille in the Nineteenth-Century

대구사학 | 103 | 2011 | 역사학

인구잠재력을 이용한 부도심권 영향력 분석: 1970~2010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Sub-centers Based on Population Potential: Focus on Busan Metropolitan City in 1970-2010

국토연구 | 69 | 2011 |

인구감소시대의 축소 도시계획 수립방안 : 전라남도 중소도시의 도시공간구조를 중심으로

Urban Planning of Shrinking Cities in Jeollanam-do in the Age of Population Decrease

한국지역개발학회지 | 23 | 4 | 2011 | 국제/지역개발

도시기본계획상 주요 계획지표 설정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계획인구, 시가화예정용지, 도시공간구조 설정을 중심으로

Study of the Appropriacy of Key Plan Index Set-up in Comprehensive City Plan: Focusing on Projected Population, Planned Urbanized Area and Urban Spatial Structure

국토연구 | 68 | 2011 |

서울시 도시공간구조의 압축성 측정

A Measurement of Urban Compactness in Seoul Metropoliton Area

국토지리학회지 | 45 | 4 | 2011 | 지리학

자율시장에 의한 효율적 도시재생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icient Urban Regeneration Approach Based on Market System

Crisisonomy | 7 | 2 | 2011 | 정책학일반

서울 수도권과 북경 수도권의 교외화 특징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and employment suburbanization between Seoul and Beijing Metropolitan Regions

한국지역개발학회지 | 22 | 2 | 2010 | 국제/지역개발

서울 수도권과 북경 수도권의 교외화 특징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and employment suburbanization between Seoul and Beijing Metropolitan Regions

한국지역개발학회지 | 22 | 2 | 2010 | 국제/지역개발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계획요소와 공간구조 측면의 도시계획수립방안 : 일본과 한국 사례분석 및 적용

Urban Planning Measurements in Pursuit of a Low-carbon Green City - Case Analyses of Basic Planning Elements and Spatial Urban Structures in Korea and Japan -

한국지역개발학회지 | 22 | 1 | 2010 | 국제/지역개발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계획요소와 공간구조 측면의 도시계획수립방안 : 일본과 한국 사례분석 및 적용

Urban Planning Measurements in Pursuit of a Low-carbon Green City - Case Analyses of Basic Planning Elements and Spatial Urban Structures in Korea and Japan -

한국지역개발학회지 | 22 | 1 | 2010 | 국제/지역개발

보행중심 대전역광장 조성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of Daejeon Station as a Pedestrian Plaza

도시설계 | 11 | 1 | 2010 | 도시개발/계획

보행중심 대전역광장 조성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of Daejeon Station as a Pedestrian Plaza

도시설계 | 11 | 1 | 2010 | 도시개발/계획

역세권의 적정 공간범위 설정 방법론을 통한 지하철 이용수요와 역세권의 도시공간구조간의 연관성 분석

A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Subway Transit Demand and Urban Spatial Characteristics in the Subway Station Area

도시설계 | 13 | 4 | 2012 | 도시개발/계획

도시 스프롤에 대한 논의 재조명과 공간 분석 방법론에 토대한 도시 스프롤 측정 연구 ― 수도권을 사례로 ―

Reappraisal of the Issues on the urban sprawl and the urban sprawl measurement based on spatial analysis methodology: the case of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서울법학 | 19 | 3 | 2012 | 법학

토지이용 특성과 도시압축성의 관계분석 연구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Use Patterns and Urban Compactness

한국지역개발학회지 | 22 | 3 | 2010 | 국제/지역개발

토지이용 특성과 도시압축성의 관계분석 연구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Use Patterns and Urban Compactness

한국지역개발학회지 | 22 | 3 | 2010 | 국제/지역개발

신도시 개발이 도시공간구조에 미친 영향: 수도권 1기 신도시가 인구 및 고용분포 변화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New Town Development on Urban Spatial Structure : The Change of Population and Employment Distribu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by the Five New Towns

국토연구 | 64 | 2010 |

신도시 개발이 도시공간구조에 미친 영향: 수도권 1기 신도시가 인구 및 고용분포 변화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New Town Development on Urban Spatial Structure : The Change of Population and Employment Distribu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by the Five New Towns

국토연구 | 64 | | 2010 |

우리나라 지가연구의 동향과 과제: 지리학 및 인접분야를 중심으로

Trends and Issues of Land Values Studies in Korea: Focusing on Geography and Related Disciplines

국토지리학회지 | 45 | 3 | 2011 | 지리학

디지털 공공예술과 도시공간구조

Digital Public Art and the Urban Spatial Structure

한국영상학회논문집 | 8 | 1 | 2010 | 예술일반

디지털 공공예술과 도시공간구조

Digital Public Art and the Urban Spatial Structure

한국영상학회논문집 | 8 | 1 | 2010 | 예술일반

6대 광역시 부도심 지역의 성장추이 분석과 계획대응방안 연구

Analyzing Growth Trends and Responsive Plans of Urban Subcentersin the Korean Six Largest Metropolitan Cities

국토연구 | 68 | 2011 |

물리적․기능적 공간변화에 따른 지방해안도시의 공간구조 분석 - 창원(구마산시)과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Urban Spatial Structure based on Physical and Functional Change with Centrality in Local Cities - A case of Changwon(Masan) & Busan ㅡMetropolitan City -

주거환경 | 10 | 1 | 2012 | 국제/지역개발

도시 확장과정에서 나타난 진해의 시설 접근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Accessibility of Facilities due to the Expansion of Jinhae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 36 | 2011 | 기타예술체육

서울시 도시구조변화에 따른 탄소배출모형구축과 성장관리

Building Carbon Emission Model for the Change of Urban Spatial Structure and Growth Management Using System Dynamics Approach

지역연구 | 26 | 3 | 2010 | 국제/지역개발

서울시 도시구조변화에 따른 탄소배출모형구축과 성장관리

Building Carbon Emission Model for the Change of Urban Spatial Structure and Growth Management Using System Dynamics Approach

지역연구 | 26 | 3 | 2010 | 국제/지역개발

박스 계수법을 이용한 도시공간구조의 프랙탈 차원 분석: 청주시의 건축물 분포 및 도로구조 사례를 중심으로

Analysis of Fractal Dimension for Urban Spatial Structure Based on Box Counting Method: Focusing Buildings Locations and Road Compositions in Cheongju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4 | 2010 | 지리학

박스 계수법을 이용한 도시공간구조의 프랙탈 차원 분석: 청주시의 건축물 분포 및 도로구조 사례를 중심으로

Analysis of Fractal Dimension for Urban Spatial Structure Based on Box Counting Method: Focusing Buildings Locations and Road Compositions in Cheongju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4 | 2010 | 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