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래부

연구분야 : B101101 사회과학 > 지역학 > 동아시아 > 한국

클래스 : 도시/구/동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504

한자 : 東萊府

x01-03 도시/구/동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y02-05 지도명 지도명

동래고지도 () [ 東萊古地圖 ]

RT (관련어)

 

 

동래부 순절도 [ 東萊府殉節圖 ]

RT (관련어)

 

y02-05 지도명 지도명

동래부 지도 [ 東萊府地圖 ]

RT (관련어)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동래부사 () [ 東萊府使 ]

1878년 두모진 수세를 둘러싼 조일 양국의 인식과 대응

1878年豆毛鎭の收稅をめぐる朝日両国の認識と対応

한일관계사연구 | 39 | 2011 | 역사학

조선후기 동래거주 咸從 魚氏의 武任 家門으로의 성장과 그 사회문화적 의의

The growth of Hamjong Eossi(咸從 魚氏)'s family who lived in Dongnae(東萊) county as a military family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its sociocultural meaning

古文書硏究 | 41 | 2012 | 역사학

조선후기 동래부의 군사 조직과 운영 - 육군을 중심으로 -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Military of Dongrae(東萊)-Bu(府) in the Later Chosun Dynasty

역사와 세계 | 37 | 2010 | 기타역사일반

조선후기 동래부의 군사 조직과 운영 - 육군을 중심으로 -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Military of Dongrae(東萊)-Bu(府) in the Later Chosun Dynasty

역사와 세계 | 37 | | 2010 | 기타역사일반

기억 이미지로서의 동래지역 임진전란도 ―1834년작 변곤의 <동래부순절도>와 이시눌의 <임진전란도>를 중심으로

Imjinjeonrando in Dongrae Depicted as Visualized Images -Focus on Dongraebusungeoldo by Byeon Gon and Imjingeonrando by Lee Si-Nul in 1834

한국민족문화 | 37 | 2010 | 기타인문학

기억 이미지로서의 동래지역 임진전란도 ―1834년작 변곤의 <동래부순절도>와 이시눌의 <임진전란도>를 중심으로

Imjinjeonrando in Dongrae Depicted as Visualized Images -Focus on Dongraebusungeoldo by Byeon Gon and Imjingeonrando by Lee Si-Nul in 1834

한국민족문화 | | 37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