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권 중국사 개설서에 보이는 한국 관련 지도의 실태 분석
An Examination of Korea-Related Maps Seen in the Survey Books of Chinese History Written in English
동북아역사논총 |
27 |
2010 |
역사학
영어권 중국사 개설서에 보이는 한국 관련 지도의 실태 분석
An Examination of Korea-Related Maps Seen in the Survey Books of Chinese History Written in English
동북아역사논총 |
|
27 |
2010 |
역사학
徐熙(942~998)의 외교담판에 담긴 의미와 그 영향 - 현대 韓中關係에 가로놓인 ‘歷史論爭'의 극복과 관련하여 -
The understanding of and research into SeoHee's diplomatic negotiations.
민족문화 |
39 |
39 |
2012 |
기타인문학
중화민족다원일체론의 등장과 동북공정의 논리적 모순
中華民族多元一體論之出現與東北工程之邏輯的矛盾
史叢(사총) |
77 |
2012 |
기타역사일반
체제전환기 중국의 국가민족주의
Chinese State-Nationalism in the System Change Period
국가안보와 전략 |
10 |
3 |
2010 |
정치외교학
체제전환기 중국의 국가민족주의
Chinese State-Nationalism in the System Change Period
국가안보와 전략 |
10 |
3 |
2010 |
정치외교학
중국학계의 ‘箕子朝鮮’ 연구와 그 비판에 대한 검토
Chinese scholars’ perspective of Kijajoseon(箕子朝鮮) research and about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단군학연구 |
26 |
26 |
2012 |
기타역사학
栗谷의 華夷論 認識과 그 展望
Study reconition on Hwayiron and development of its perspective of Yulgok
한중인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7차 국정 「국사」교과서 수록 역사 지도의 구성과 경향성
History maps inserted in the 7th version of the Nationally authorized National History textbooks: Fashion of Composition
한국사상과 문화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7차 국정 「국사」교과서 수록 역사 지도의 구성과 경향성
History maps inserted in the 7th version of the Nationally authorized National History textbooks: Fashion of Composition
한국사상과 문화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병란(丙亂) 트라우마 대응 고소설의 집단서사와 현대적 재매개화 이본으로서의 <최종병기 활>
Collective Epic Narrative of Classical Novel Responding to Trauma of the Manchu War of 1636 and Contemporary Version
고전문학과 교육 |
24 |
2012 |
인문학
7차 국정 「국사」교과서 수록 역사 지도의 구성과 경향성
History maps inserted in the 7th version of the Nationally authorized National History textbooks: Fashion of Composition
한국사상과 문화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7차 국정 「국사」교과서 수록 역사 지도의 구성과 경향성
History maps inserted in the 7th version of the Nationally authorized National History textbooks: Fashion of Composition
한국사상과 문화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건축적 관점에서 본 발해유적에 대한 한국의 연구동향
A Korean research trends on Balhae relics in the architectural point of view
고구려발해연구 |
41 |
2011 |
한국고대사
중화민족론의 성격과 전개과정
A character and development process of Zhonghua minzu
아태연구 |
17 |
3 |
2010 |
사회과학일반
중화민족론의 성격과 전개과정
A character and development process of Zhonghua minzu
아태연구 |
17 |
3 |
2010 |
사회과학일반
고구려 시조모 柳花傳承과 동북아 지역의 崇柳 풍속 사이의 상관성 再論
The Correlations between Yoohwa the Mother of the founder of Goguryeo and willow worship in the Northeast Asia, Review
동아시아고대학 |
22 |
2010 |
기타인문학
고구려 시조모 柳花傳承과 동북아 지역의 崇柳 풍속 사이의 상관성 再論
The Correlations between Yoohwa the Mother of the founder of Goguryeo and willow worship in the Northeast Asia, Review
동아시아고대학 |
|
22 |
2010 |
기타인문학
<아리랑>의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목록 등재로 비롯된 한중간 문화갈등 배경 연구 - 중국 조선족 문화의 이중정체성을 중심으로 -
The study about the background of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that were originated from Listing in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of UNESCO - Dual cultural identity of ethnic Korean in China centered -
한민족문화연구 |
40 |
2012 |
한국어와문학
고구려 고분벽화의 다양한 감상수업 방안 연구 - 집안 고분벽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how to appreciate the mural paintings of the Koguryo Ancient Tombs: focus on the mural painting in jian
미술교육연구논총 |
29 |
0 |
2011 |
예술교육학
중국의 대북 접경지역 개발전략이 갖는 지정학적 함의
Geopolitical implications of border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in China-North Korea
통일문제연구 |
23 |
1 |
2011 |
정치외교학
Contending Perspectives on Koguryo: A Fresh Look at China’s Northeast Project
동북공정을 둘러싼 고구려 역사논쟁의 재검토
동국사학 |
50 |
2011 |
역사학
동북공정 이후 중국 학계의 한국사 연구동향
[Criticism Treatise] Since Northeast Borderland History and the Chain of Events Research Project, a Tendency of Study about Korean History in the Chinese Academia
한국근현대사연구 |
55 |
2010 |
역사학
동북공정 이후 중국 학계의 한국사 연구동향
[Criticism Treatise] Since Northeast Borderland History and the Chain of Events Research Project, a Tendency of Study about Korean History in the Chinese Academia
한국근현대사연구 |
|
55 |
2010 |
역사학
남한 학계의 동북공정 대응논리에 대한 비판적 검토
A Critical Review on the State of South Korean Historian’s Response to China’s Northeast Project
역사문화연구 |
39 |
2011 |
역사학
한중간 역사문제의 현황과 대응방안
The Counterplan and the Present of the Historical Problem between Korea and China
중국사연구 |
73 |
2011 |
동양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