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성과

연구분야 : B020403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비교정치 > 정치사회/문화

클래스 : 결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5392

STNet ID : 1001655

한자 : 集團成果
영어 : group performance

x03-05-02 결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x03-05-02 결과 결과

성과 [ 成果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재량적 노력 [ 裁量的 努力 ]

RT (관련어)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인프라/구조/범위

인적 자본 [ 人的資本 ]

RT (관련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리더십 () [ 指導性 ]

RT (관련어)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집단 성과 배분 제도 [ 集團成果配分制度 ]

Corporate Resource And Institutionalization Characteristics,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And R&D Teams’Performance

기업의 자원특성과 제도화특성, 지식경영활동 및 연구개발팀의 성과

인적자원관리연구 | 17 | 1 | 2010 | 경영학

Corporate Resource And Institutionalization Characteristics,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And R&D Teams’Performance

기업의 자원특성과 제도화특성, 지식경영활동 및 연구개발팀의 성과

인적자원관리연구 | 17 | 1 | 2010 | 경영학

집단구성의 다양성과 군자적 리더십이 집단성과에 미치는 영향: 군자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검증

The Impact of Group Diversity and Kunja Leadership on Group Performance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 25 | 1 | 2012 | 심리과학

대면 집단과 컴퓨터 매체 집단에서의 정서의 역할 비교: 집단 프로세스와 성과를 중심으로

The Role of Positive Affect in Face-to-Face and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Groups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 23 | 3 | 2010 | 심리과학

대면 집단과 컴퓨터 매체 집단에서의 정서의 역할 비교: 집단 프로세스와 성과를 중심으로

The Role of Positive Affect in Face-to-Face and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Groups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 23 | 3 | 2010 | 심리과학

집단리더의 행동과 집단상담 성과간의 관계에서 집단분위기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Group Clim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 Leader Behavior and Group Counseling Outcome

청소년학연구 | 19 | 5 | 2012 | 기타사회과학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Group Performance

변혁적 리더십과 집단성과

질서경제저널 | 14 | 4 | 2011 | 기타경제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