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복과 신간회 강령의 이념ㆍ노선 -민족주의 좌익전선의 선언ㆍ명문화-
Lee Sǔng-Bok and the Ideological Line of the Shinganhoe’s Platform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2 |
2010 |
역사학
이승복과 신간회 강령의 이념ㆍ노선 -민족주의 좌익전선의 선언ㆍ명문화-
Lee Sǔng-Bok and the Ideological Line of the Shinganhoe’s Platform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
62 |
2010 |
역사학
한국현대연극비평의 기원으로서의 오화섭과 여석기 -1950․1960년대 신문비평을 중심으로
OH HWA-SUP AND YOH SUK-KEE, THE ORIGIN OF KOREAN MODERN THEATER CRITICISM-FOCUSED ON 1950․1960S CRITICISM IN NEWSPAPERS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현대연극비평의 기원으로서의 오화섭과 여석기 -1950․1960년대 신문비평을 중심으로
OH HWA-SUP AND YOH SUK-KEE, THE ORIGIN OF KOREAN MODERN THEATER CRITICISM-FOCUSED ON 1950․1960S CRITICISM IN NEWSPAPERS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염상섭 초기 소설의 변화 과정 고찰 ― 매체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Consideration for Changes of Initial Novel of Yeom Sang-Seop ― Centered on Correlationship with Media ―
한민족문화연구 |
38 |
2011 |
한국어와문학
역대 총선별 ‘선거’ 관련어의 변화 양상 -동아일보를 대상으로-
Trends of Change in co-words of ‘election’ based on DongA Ilbo
민족문화연구 |
56 |
2012 |
기타인문학
김성수의 친일의식 형성과 전개
Kim Sung-Soo’s pro-Japanese activities
仙道文化 |
13 |
2012 |
기타철학일반
한국 언론과 5.18 광주민주화운동 담론: 「동아일보」의 보도 기사와 사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5.18 Discourse in Korean Newspaper: An Analysis of the Dong-A Ilbo
한국언론정보학보 |
58 |
2 |
2012 |
신문방송학
일제하 '조선미술전람회' 관련 신문보도에 나타난 일본의 오리엔탈리즘
Discourse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Chosun Art Exhibition in the Japanese Occupational Era
한국언론정보학보 |
54 |
2 |
2011 |
신문방송학
한국 보수신문의 유사성과 차별성: 조선-중앙-동아일보 사설의 이념성을 중심으로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Korean Conservative Newspapers: An Analysis of Ideology in Chosun-Jungang-Donga Dailys’ Editorial
미디어, 젠더 & 문화 |
15 |
2010 |
신문방송학
한국 보수신문의 유사성과 차별성: 조선-중앙-동아일보 사설의 이념성을 중심으로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Korean Conservative Newspapers: An Analysis of Ideology in Chosun-Jungang-Donga Dailys’ Editorial
미디어, 젠더 & 문화 |
|
15 |
2010 |
신문방송학
1937년 일본군의 중국 난징 점령 관련 한국언론의 보도태도 : 『동아일보』와 『조선일보』 기사를 중심으로
The report attitude of the Korean press on Nanjing, China occupation by the Japanese in 1937 : Focused on the related articles in 『Dong A Ilbo』 and 『Chosun llbo』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
14 |
1 |
2010 |
인터넷신문/방송
1937년 일본군의 중국 난징 점령 관련 한국언론의 보도태도 : 『동아일보』와 『조선일보』 기사를 중심으로
The report attitude of the Korean press on Nanjing, China occupation by the Japanese in 1937 : Focused on the related articles in 『Dong A Ilbo』 and 『Chosun llbo』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
14 |
1 |
2010 |
인터넷신문/방송
광주학생운동 이전 동맹휴학의 성격
Characteristics School Strike before Gwangju Student Movement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5 |
2010 |
역사학
광주학생운동 이전 동맹휴학의 성격
Characteristics School Strike before Gwangju Student Movement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
35 |
2010 |
역사학
1926년 민족주의세력의 정세 인식과 ‘민족적 중심단체’ 결성 모색 -‘연정회 부활’ 계획에 대한 재해석-
A Nationalist Group's Understanding of the Political Situation and Ac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Leading Organization in 1926: Reinterpretation of the “Revival Plan of the Yônjônghoe”
동방학지 |
152 |
2010 |
기타인문학
1926년 민족주의세력의 정세 인식과 ‘민족적 중심단체’ 결성 모색 -‘연정회 부활’ 계획에 대한 재해석-
A Nationalist Group's Understanding of the Political Situation and Ac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Leading Organization in 1926: Reinterpretation of the “Revival Plan of the Yônjônghoe”
동방학지 |
|
152 |
2010 |
기타인문학
1920년 대정친목회의 조선일보 창간과 운영
Daejongchinmokhoe's Management of Chosun Ilbo in the 1920s
역사비평 |
92 |
2010 |
역사학
1920년 대정친목회의 조선일보 창간과 운영
Daejongchinmokhoe's Management of Chosun Ilbo in the 1920s
역사비평 |
|
92 |
2010 |
역사학
일제기 부산 지역 언론인 연구
A Study on the Journalists in Bus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한국언론정보학보 |
56 |
4 |
2011 |
신문방송학
문학시장의 형성과 인쇄매체의 역할(2) - 1925년 전후의 문학사의 국면
Formation of Literary Marketplace and Roles of Print Media(2) - The Situation of Korean Modern Literary History Around 1925
대동문화연구 |
78 |
2012 |
기타인문학
부산 · 경남지역 아동문학의 현황과 전개과정 연구 -1920∼1930년 『동아일보』 게재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development of juvenile literature of Busan and Kyungnam region - centering around works published in Donga-ilbo during the 1920-1930 -
우리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부산 · 경남지역 아동문학의 현황과 전개과정 연구 -1920∼1930년 『동아일보』 게재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development of juvenile literature of Busan and Kyungnam region - centering around works published in Donga-ilbo during the 1920-1930 -
우리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시대 창작시조와 『동아일보』
Shijo in Colonial period and Dongailbo
어문논집 |
64 |
2011 |
한국어와문학
『동아일보』와 시조 정전
Dongailbo and Shijo Canon
한국시학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爲堂 鄭寅普의 選詩 의식 -동아일보 ‘今古詩叢’란을 중심으로-
A Sense of Poem Selection of Widang Jeong In-bo -Focusing on ‘Geumgosichong’ Column of Dong-a-il-bo-
漢文學報 |
22 |
2010 |
한문학
爲堂 鄭寅普의 選詩 의식 -동아일보 ‘今古詩叢’란을 중심으로-
A Sense of Poem Selection of Widang Jeong In-bo -Focusing on ‘Geumgosichong’ Column of Dong-a-il-bo-
漢文學報 |
22 |
|
2010 |
한문학
신간회 창립 주도세력과 민족주의세력의 정치 지형
The Prime Groups of the Establishment of Singanhoi and Political Topography of the Nationalist Groups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8 |
2011 |
역사학
식민지시대 신문 연작시조 연구
A Study on Newspaper Shijo Series from the Colonial Period
민족문화연구 |
53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시대 신문 연작시조 연구
A Study on Newspaper Shijo Series from the Colonial Period
민족문화연구 |
|
53 |
2010 |
기타인문학
동아일보의 신탁통치 왜곡보도 연구
A Study on Trusteeship Reports of Dong-a Ilbo
한국언론정보학보 |
52 |
4 |
2010 |
신문방송학
동아일보의 신탁통치 왜곡보도 연구
A Study on Trusteeship Reports of Dong-a Ilbo
한국언론정보학보 |
52 |
4 |
2010 |
신문방송학
연극경연대회의 탄생과 제도화 -동아일보사 주최 연극경연대회의 정치경제학-
The Birth and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Drama Concours -Political Economics of Dongailbo drama concours-
한국극예술연구 |
31 |
2010 |
예술체육학
연극경연대회의 탄생과 제도화 -동아일보사 주최 연극경연대회의 정치경제학-
The Birth and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Drama Concours -Political Economics of Dongailbo drama concours-
한국극예술연구 |
|
31 |
2010 |
예술체육학
1920년대 ?동아일보? 소재 아동 서사 문학 연구
The Study of Children’s Narratives Serialized in Dong A Ilbo in the 1920s
인문과학연구논총 |
33 |
2012 |
기타인문학
1920년대 전반 민족주의 세력의 민족운동 방향 모색과 그 성격 - 동아일보 주도세력을 중심으로-
The Character and the Grope for Racial Movement and the Nationalist Group in the first half of 1920’s - With Dong A Daily‘s Initiative group -
사학연구 |
98 |
2010 |
역사학
1920년대 전반 민족주의 세력의 민족운동 방향 모색과 그 성격 - 동아일보 주도세력을 중심으로-
The Character and the Grope for Racial Movement and the Nationalist Group in the first half of 1920’s - With Dong A Daily‘s Initiative group -
사학연구 |
|
98 |
2010 |
역사학
1920년대 중반 민족주의 세력의 정세인식과 합법적 정치운동의 전망 ―동아일보 주도세력을 중심으로―
In mid 1920's, Nationalist Group's Situation Recognition and Legal Political Activity View
한국근현대사연구 |
53 |
2010 |
역사학
1920년대 중반 민족주의 세력의 정세인식과 합법적 정치운동의 전망 ―동아일보 주도세력을 중심으로―
In mid 1920's, Nationalist Group's Situation Recognition and Legal Political Activity View
한국근현대사연구 |
|
53 |
2010 |
역사학
『동아일보』 <島嶼巡禮>를 통해서 본 1920년대 도서 민속에 대한 인식
The awareness of island folklores in 1920s with reference to in Dongailbo
『도서문화』 |
39 |
2012 |
기타인문학
1931년 『동아일보』의 ≪讀書週間≫ 연구
Study on ≪Book Week≫ of Dong-A Ilbo in 1931
반교어문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1931년 『동아일보』의 ≪讀書週間≫ 연구
Study on ≪Book Week≫ of Dong-A Ilbo in 1931
반교어문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제국의 사이클과 지역 정치문화: 전간기 동아일보의 ‘민주주의’와 ‘자유주의’
The Cycles of Empire and Local Political Culture: Tong-A Ilbo’s Democracy and Liberalism during the Inter-war Period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4 |
2012 |
사회학
1920년대전반동아일보계열의 정치운동구상과 ‘민족적중심세력’론
Plans for Political campaigns devised by the Dong’a Ilbo Newspaper faction in the early half of the 1920s, and the argument to become the ‘Central faction of the Korean people’
역사문제연구 |
14 |
2 |
2010 |
역사학
1920년대전반동아일보계열의 정치운동구상과 ‘민족적중심세력’론
Plans for Political campaigns devised by the Dong’a Ilbo Newspaper faction in the early half of the 1920s, and the argument to become the ‘Central faction of the Korean people’
역사문제연구 |
14 |
2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