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 철학

연구분야 : A030300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클래스 : 분과학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599

STNet ID : 1000291

한자 : 東洋哲學
영어 : Oriental philosophy

d01-03 분과학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철학 () [ 哲學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동아시아 철학 [ 東--哲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R] 중동 철학 () [ 中東哲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인도 철학 [ 印度哲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동남아 제국 철학 [ 東南亞諸國哲學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유가 철학 [ 儒家哲學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R] 동서양 철학 고전 () [ 東西洋哲學古典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동양 철학사 [ 東洋哲學史 ]

한국공자학회의 회고와 전망

Retrospectives and prospectives on the Korean Socieaty of Confucian Studies

孔子學 | 18 | 2010 | 기타유교학

한국공자학회의 회고와 전망

Retrospectives and prospectives on the Korean Socieaty of Confucian Studies

孔子學 | | 18 | 2010 | 기타유교학

노하우로서의 倫理 ―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인지과학과 동양철학 연구 ―

Ethics as a know-how: Francisco Varela's Cognitive Science and Studies of Asian Traditional Thoughts

동양철학 | 34 | 2010 | 철학

노하우로서의 倫理 ―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인지과학과 동양철학 연구 ―

Ethics as a know-how: Francisco Varela's Cognitive Science and Studies of Asian Traditional Thoughts

동양철학 | | 34 | 2010 | 철학

동양문화와 감성, 그리고 인문치료-건강한 지역 공동체를 위한 시론적 연구-

Eastern Culture and Emotion, Humanities Therapy The Ground Work for Healthy communities-

호남학 | 49 | 2011 | 기타인문학

고대 유가의 악론에서 감정조절을 위한 음악치유론의 가능성 모색 - 『禮記』·「樂記」의 聲․音․樂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Music Therapy for Emotional Control in Old Confucian Theory - focused on the sound, melody, and music in 『Lichi(禮記): record of courtesy』·「Yuehchi(樂記): record of music」 -

양명학 | 31 | 2012 | 철학

도덕과 “동양윤리” 영역 교과지식의 재구조화 원리

Principle of the Restructuring the Subject Knowledge of the East Ethics' Domain in the Moral Subject

도덕윤리과교육 | 30 | 2010 | 교육학

도덕과 “동양윤리” 영역 교과지식의 재구조화 원리

Principle of the Restructuring the Subject Knowledge of the East Ethics' Domain in the Moral Subject

도덕윤리과교육 | | 30 | 2010 | 교육학

교양교육으로서의 동양철학

教養教育としての東洋哲学

철학논총 | 63 | 1 | 2011 | 철학

자아정체성 부정을 통한 새로운 윤리의 가능성

The Possibility of New Ethics on the Denial of Identity

철학연구 | 44 | 2011 | 철학

고전적 행위 개념에 관한 연구 -유가, 도가, 법가를 중심으로-

Between ‘Non-action’ and ‘Action’ -Rethinking Theories of ‘Action’ in Ancient China-

仙道文化 | 9 | 2010 | 기타철학일반

고전적 행위 개념에 관한 연구 -유가, 도가, 법가를 중심으로-

Between ‘Non-action’ and ‘Action’ -Rethinking Theories of ‘Action’ in Ancient China-

仙道文化 | 9 | | 2010 | 기타철학일반

과학, 기심(機心) 그리고 도술(道術) -‘기계’의 논리에서 ‘몸’의 논리로-

Tao and Technique in the Chuang Tzu

동서철학연구 | 59 | 2011 | 철학

河上公의 氣와 王弼의 道 - 『노자』에 대한 하상공과 왕필의 주석 비교 (1) -

Tao and Ch’i in the Lao-tzu ―A Comparing Ho-shang kung with Wang Pi in Their Commentaries

도교문화연구 | 36 | 2012 | 종교학

老子와 帝王의 도 - 노자의 ‘전설’과 <노자> 텍스트에 대한 재검토 -

A Revisited to the Text of Lao-tzu and the legends of Lao-tzu in the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동양철학연구 | 69 | 2012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