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기억

연구분야 :

클래스 : 인식/의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6071

한자 : 歷史的記憶

c02-02 인식/의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기억 () [ 記憶 ]

R1:개념적

RT (관련어)

 

x03-05-02 결과 결과

역사적 산물 [ 歷史的産物 ]

시집살이담의 담화적 특성과 의의 ―‘가슴 저린 기억’에서 만나는 문학과 역사―

Features of Married Life Stories and Their Significance -Literature and history met with ‘heart aching memories’-

구비문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 60년, 한반도와 세계

Facing 6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World

역사비평 | 91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 60년, 한반도와 세계

Facing 6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World

역사비평 | | 91 | 2010 | 역사학

‘소리’의 징후, 원한의 역사성 - 한승원 연작 「안개바다」 읽기

The Signs of ‘Sound’, Record of Rancor - Reading The Foggy Sea, a Sequence of Han Seung-won

기호학 연구 | 28 | 2010 | 언어학

‘소리’의 징후, 원한의 역사성 - 한승원 연작 「안개바다」 읽기

The Signs of ‘Sound’, Record of Rancor - Reading The Foggy Sea, a Sequence of Han Seung-won

기호학 연구 | 28 | | 2010 | 언어학

‘우리’와 ‘그들’의 접촉지대: 영국 인류학 박물관에서 보는 현대 미술

The Contact Zone between ‘Us’ and ‘Them’: Contemporary Art in the Anthropological Museum in Britain

역사와 문화 | 21 | 2011 | 문화사(역사학)

사모일로프 창작에 있어서의 ‘기억’의 문제

Проблема ‘памяти’ в творчестве Давида Самойлова

러시아연구 | 21 | 2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역사의 의미 — 청말 중국의 ‘역사’ 인식과 ‘역사’ 읽기 —

The Significance of History -On the “History” of the Cognitive and Reading in the Late Qing Dynasty-

개념과 소통 | 8 | 2011 | 역사학

‘6·4천안문사건’에 대한 ‘역사적 기억’과 중국의 외교정책: 중국지도부의 상황 인식과 외교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Historical Memory of ‘6·4 Tienanmen Incident’ and China’s Foreign Policy: Inquiry into the Perception of Chinese Leadership and Foreign Policy Changes

민주주의와 인권 | 10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6·4천안문사건’에 대한 ‘역사적 기억’과 중국의 외교정책: 중국지도부의 상황 인식과 외교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Historical Memory of ‘6·4 Tienanmen Incident’ and China’s Foreign Policy: Inquiry into the Perception of Chinese Leadership and Foreign Policy Changes

민주주의와 인권 | 10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